View : 671 Download: 0

대학교 성악전공 학생들의 자기조절을 통한 성악학습 방안

Title
대학교 성악전공 학생들의 자기조절을 통한 성악학습 방안
Other Title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for Voice Major College Students
Authors
한희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희선
Abstract
현대사회의 대학교육은 지식을 전수하는 곳에서 스스로 배움을 지속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책무성 강화를 위한 곳으로 그 교육방향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성악학습에서는 질적으로 우수한 연주능력을 갖추기 위해 학습자 스스로의 학습전략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성악전공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능력을 알아봄으로써 자기조절을 통한 성악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실제적 분석에 앞서 자기조절학습의 개념과 성악학습의 일반적인 특징, 성악분야에 적용된 자기조절학습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학교 성악전공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어떠한지,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학년, 성악학습 시간, 연주능력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지, 음악학습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학습요소가 무엇인지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의 2~4학년 재학생들 중 설문조사에 참여한 283명이다. 그리고 설문을 위한 도구는 정미경(2008)의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 문항’을 토대로 성악전공 학습자의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성악전공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은 전체의 평균이 3.51점으로 보통정도의 수준이었으며, 자기조절 영역별로는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특히 자기조절학습 능력 상위그룹은 행동조절이 잘 이루어지고, 중·하위 그룹은 인지조절이나 행동조절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은 학생들의 학년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5). 둘째,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음악학습 시간은 매우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p<.001). 이들은 음악학습 시간을 주로 성악실기연습 시간으로만 활용하고 있었는데, 전체 연습시간이 길어질수록 곡에 대한 이론적 해석과 음악적 분석을 병행하는 학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학습 시간은 길지만 자기조절 능력이 낮은 사람은 자기조절학습 영역 중 공부환경, 계획, 외현적 목표, 연주불안의 요소들에서 평균점수가 보통 이하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실기성취도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p<.01). 자기조절학습 능력은 뛰어나지만 실기성취도가 낮게 나타나는 사람은 특히 외현적 목표와 연주불안의 요소에서 평균점수가 보통 이하로 나타났다. 넷째, 성공적인 연주를 위해 중요하다고 사료되는 구체적인 성악학습 요소들은 다수가 응답한 순으로 바른 호흡과 발성, 발음의 요소, 꾸준한 연습이나 마음가짐, 곡에 대한 이해, 곡의 완성도, 타고난 음악성, 곡에 대한 표현력, 레슨을 통한 학습 내용의 이해, 실기지도교수와의 관계, 노력, 컨디션조절, 건강관리, 자신에게 맞는 곡의 선정, 실력 있는 반주자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교 성악전공 학생들에게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향상이 무엇보다 요구된다. 이에 교수자와 학습자가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학습방안들을 더욱 효과적, 효율적, 전략적으로 성악 학습에 적용하고자 노력한다면, 교수-학습의 질이 더욱 향상될 뿐 아니라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능력과 습관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교 성악전공 분야에 자기조절학습 이론을 적용시킨 첫 시도로서 이를 통해 효과적인 성악학습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앞으로도 이 분야에 관한 후속연구가 계속 이루어져 보다 효과적인 성악학습을 위한 더욱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how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s affect to study. For this, the current study analyzed into two steps. First, this study focuses on the theoretical aspects: the concept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vocal learning, a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applied in the field of the vocal music. Second,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practical aspects: how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whether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grades, time for self-vocal study, and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of the vocal performance or not; which factors for music learning the most important are. The 283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the vocal college students who go to one of the main universities in Seoul: Kyung Hee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Hanyong University. The applied questions for test in this study are based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test items for students(Jeong Mi Kyeong, 2008) and each survey question is reconstructed by adjusting for the voice major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on the average, and the averag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core by the grad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5). However,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of the voice major college students has very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ability of self-regulated learning, time for music learning, and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of the practical skill. Also, the factors of the vocal techniques such as correct respiration, vocalization, pronunciation are the most significant learning factors for the successful vocal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for voice major college students is improving the ability of self-regulated learning. For this, if teachers and learners try to apply the suggested learning methods strategically, efficiently, and effectively, we can easily expect that the improvement of quality in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building good abilities and desirable habits for self-leading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