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Arts PROPEL을 적용한 관현악합주수업이 중학생의 기악연습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Arts PROPEL을 적용한 관현악합주수업이 중학생의 기악연습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Orchestra Ensemble Class Based on Arts PROPEL on Self 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Instrumental Practice
Authors
여성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희선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chestra ensemble class based on Arts PROPEL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instrumental practice. For this purpose, we made theoretical review of Arts PROPEL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does orchestra ensemble class based on Arts PROPEL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music instrumental practice? Second, what effects does orchestra ensemble class based on Arts PROPEL have on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hich are cognition regulation ability, motivation regulation ability, and behavior regulation ability?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mad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and adopted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25 7th~9th‐grade students in the school orchestra of Y Middle School in Seoul for 10 weeks and 2 sessions each week.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 in music instrumental practice developed by Kim‐il Yeong and Kim Jong‐baek (2006) an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for supplementing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from the test. The tes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Data from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4.0,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presented in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rchestra ensemble based on Arts PROPEL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ability in the regulation of cognition. When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ere analyzed through t-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rough learning based on Arts PROPEL, students recognized their performance and tested their skills by themselves, and applied various cognition strategies to their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learning was highly effective for the sub‐factors of the cognition regulation ability such as demonstration, elaboration and examination. Second, orchestra ensemble based on Arts PROPE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ability in the regulation of motivation. The results of pretest‐posttest 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suggested that students came to understand the state of their own performance better and this improved their achievement value of instrumental music learning. Furthermore, this le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more active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b‐factors were analyzed, the mean level of self‐efficacy was raised, but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p>0.05, so the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orchestra ensemble class based on Arts PROPEL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earners’ ability in the regulation of behaviors. The results of pretest‐posttest t-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suggested that the students used the sub‐factors of behavior regulation such as practice time management and help seeking in the course of recognizing and reflecting on their performance, which is the learning method of Arts PROPEL.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bove proved that orchestra ensemble class based on Arts PROPE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overall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music instrumental practice. Accordingly, if instrumental class integrating production, cognition and reflection is utilized in school education, students may develop an active learning attitude based on self‐regulation in addition to the acquisition of performance skill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induce student‐centered self‐directed instrumental learning and to contribute to achieving the ultimate goal of music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Arts PROPEL을 적용한 관현악합주수업이 중학생의 기악연습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Arts PROPEL은 예술교육의 교육과정 및 평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으로써 생산-지각-반성의 통합에 기반을 두어 학습자가 다양한 인지전략을 사용하여 전문음악가와 같은 음악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프로그램이다. Arts PROPEL을 기악학습에 적용하여 이것이 학습자의 기악연습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는 이루어진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 이에 대해 연구하여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서 Arts PROPEL과 자기조절능력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Arts PROPEL을 적용한 관현악합주수업이 중학생의 기악연습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Arts PROPEL을 적용한 관현악합주수업이 자기조절능력의 각 하위요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으며,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서울시 소재 Y중학교 1-3학년으로 구성된 관현악부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총 10주간 주 2회 방과 후 학교 수업시간에 실험처치를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김일영과 김종백(2006)이 개발한 기악연습 자기조절능력 검사지와, 검사지 통계분석의 결과보완을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연구의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수집한 사전사후 검사지는 SPSS 14.0으로 입력 처리하여 통계분석 하였고, 설문지 결과는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관현악합주는 인지조절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사후 t-검정 실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고 질적분석 결과 학생들은 아츠 프로펠 학습방법을 통해 자신의 연주를 스스로 지각하고 실력을 직접 점검하고 다양한 인지전략을 사용하여 연주에 적용하였다. 특히 인지조절능력의 하위요인 시연, 정교화, 점검요인은 모두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관현악합주는 동기조절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사전-사후 t-검정 실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질적분석에서는 학생들이 아츠 프로펠을 통해 자신의 연주상태를 더욱 더 잘 이해하게 됨으로써 기악학습에 대한 성취가치 요인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습자가 수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결과도 가져왔다. 반면 자세한 하위요인 분석 결과 자아효능감 하위요인은 평균값의 향상을 나타내었으나, 유의확률이 p>0.05로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관현악합주수업은 학습자의 행동조절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사후 t-검정 실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고, 질적분석 결과 학생들이 아츠 프로펠의 학습방법인 자신의 연주를 지각하고 반성하는 과정에서 연습시간관리, 도움구하기 등 행동조절능력의 하위요인 자기조절을 사용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관현악합주수업이 학습자의 전체적인 기악연습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생산-지각-반성이 통합된 연주수업을 학교현장에서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획일화된 연주기능만 익히는 것이 아니라, 자기조절을 바탕으로 한 능동적인 학습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또 이것은 학생중심의 자기주도적 기악학습이 이루어지게 하여 음악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