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 on Career Maturity
Authors
장여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에 참석한 실험집단 학생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학생보다 진로성숙도의 능력, 행동, 태도면에서 각 각 의미 있게 향상 될 것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대해 설정한 연구 가설은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진로 성숙도의 능력, 행동, 태도면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경기도에 위치한 인문계 남녀 공학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로 학력평가 성적과 내신 성적이 비슷한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학급(34명)과 비교집단 1학급(32명)을 선정하여 총 6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12회기의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같은 회기동안 클래식 음악을 들려 주었다.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은 진로교육 시범학교에서 실시한 진로 프로그램과 김소연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2004), 서정희의 인터넷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2007)등을 바탕으로 상담 심리학 전공교수의 자문과 지도를 받아 학생들의 관심과 수준을 고려하여 내용을 선정, 재구성하여 구성하였다. 진로 성숙도 검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에서 개발된 것으로 이전의 검사들이 ‘태도’와 ‘능력‘영역으로 구성 되어 있는 것에 추가하여 이 검사도구는 진로에 관한 능력, 진로에 관한 태도, 진로에 관한 준비행동 등 세 개의 하위검사로 이루어져 있다. 진로 성숙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대상간의 사전, 사후 검사를 하였고 자료 처리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측정치를 비교하여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종속 측정치 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연구에서 얻어진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능력면에서 차이를 살펴 볼 때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의 구성면에서 진로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방법에 대한 내용이 미흡하여 진로 성숙도의 능력을 향상시키기에 충분치 못하여 진로 성숙도의 능력영역인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직업선내용을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 기르기 위한 활동 내용을 포함하여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의 폭을 넓혀야 했다. 둘째,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실험집단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행동면에서 차이를 살펴 볼 때 비교집단의 학생들에 비해 진로 성숙도 행동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진로의사 결정 훈련 프로그램이 학생들이 활동지를 통해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발견하고 자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신감을 갖게 되고 진로 계획을 세워보면서 진로에 대한 계획성을 발전시켰다고 해석된다. 셋째,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태도면에서 차이를 살펴 볼 때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비교집단의 학생들에 비해 진로 성숙도 태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자신에게 알맞은 직업을 찾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결정함으로써 진로계획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및 상담 실제를 위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 선정에 있어 고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나온 결과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년과 실업계 등 전문학교 학생을 대상을 위한 진로의사 결정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좋은 프로그램의 개발에만 그치지 않고 학교 내의 여러 가지 실정을 고려하여 진로시간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위해 프로그램의 적용이 요구되어진다. 고등학교 시기에 프로그램을 통해 직업수행에 필요한 기술, 직업윤리, 일과 관련된 사회적․심리적 요인, 직업과 관련된 흥미와 적성의 발견, 원하는 직업과 자신의 특성과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고 이해하여 자신의 진로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실험집단의 행동과 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능력 면에서는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그리 큰 차이가 나타나진 않았다. 이는 진로 성숙도의 능력은 1~2개월의 짧은 시간동안 학생들의 변화를 기대하긴 어렵고 보다 장기간에 걸쳐 꾸준히 진로시간을 잘 활용하여 수업을 한다면 좀 더 진전이 있을 꺼라 기대되어진다. 그러므로 좀 더 효과적인 진로의사결정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교 수업 과정에서의 지속적인 활용이 요구되어 지고 이에 어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purpose is that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 will meaningfully improve students' Career Maturity ability, action and attitude. Questions for the hypothesis are, first, will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attend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 meaningfully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ability than the comparative group students who do not attend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 Second, will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meaningfully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action than the comparative group students? Third, will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meaningfully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attitude than the comparative group students? Subjects for the study are sixty six high school students in Kyong-gi Do which a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thirty four students) and the comparative group(thirty two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twelve times'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 while the comparative group listened to classical music for the same period of time.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 for this study was devised referring to High School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Kim, Soyeon, 2004), and Internet-based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Seo, Jeonghee, 2007), considering the students' interest and study level. Career Maturity Tes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1) is composed of three sub-tests in students' ability, attitude and preparation for career compared to the previous tests which only tested career attitude and ability. Using Career Maturity Test, two group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prove the qualitative similarity of the two groups, independence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ubordinated metameter of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paired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not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terms of their career maturity ability. Also,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sub-categories of career search, rational decision-making, knowledge for the career, wage and work condition, and the necessary ability and academic background. Second, experimental group's career maturity ability was meaningful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It can be interpret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discover their aptitude and interest, become confident by the result of self-understanding, and develop their plan for the career through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 Third, experimental group's career maturity attitude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It can be interpreted that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 offered the chance to search an appropriate career for the students who was not certain about their career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for the following study and career counselling on site are as follows. First,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for the other grades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for high school first grade students. Second, further application of various care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ere is need for career performance skill, career ethics,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discovery for the career interest and aptitude through appropriate career programs. Third, continuou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areer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 should be conducted and also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this fiel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ability although meaningful development was made in the career maturity action and attitude. Considering that, it can be interpreted that career maturity ability cannot be achieved during short-term of a couple of months, however, long-term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