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김은경-
dc.creator김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8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65-
dc.description.abstractIn the current knowledge-driven society, paradigm of education is shifted to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yber university is introduced to realize lifelong education society, and quantitative growth of cyber university has been very fast. Despite of the quantitative growth, adult learners in cyber universities have reported that both the quality of learning and educational effect were degraded compared to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al institutions. Therefore, there has been an increased interest in studying presence as a key variable to explain the learning process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learning outcome of their experience. Moreover, it is important to consider learners' perception about using cyber education system as well as presences for the successful learning. Therefore, it is need to investigate integrated casual relationship among presence, usuability, and learning outcom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ence(teaching, social, cognitive presences) and usuability(usefulness, ease of use) and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learning persistence) variables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by formula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lso to provide the base data to recommend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and management strategies to promote positive learning outcomes of cyber education by verifying the effect of learner’s presences and the effect of usability on learning outcom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Does teaching presence have direct effect on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2. Does social presence have direct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3. Do presences(teaching, social, cognitive presences) and usuability have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4. Do presences(teaching, social, cognitive presences), usuability, and satisfaction have direct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5. Does teaching presence have indirect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through social presence as a mediator? 6. Do presence(teaching, social, cognitive presences), usability have indirect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through satisfaction as a mediator? For thi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arners who were enrolled at X cyber university in second semester of 2009. In the first survey,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usability were asked at the fourteenth week of the cours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ere asked at the fifteenth week in the second survey.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iv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Sobel's test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teaching presence has direct effect on social presence(β=.206) and cognitive presence(β=.648). Second, learners' social presence(β=.297) has difect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Third, learners' teaching presence(β=.297), cognitive presence(β=.263), and usability(β=.262) have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Fourth, learners' satisfaction has direct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Fifth, learners' teaching presence has indirect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through social presence as a mediator. Sixth, learners' 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usability have indirect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through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a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709 students during one semester in a cyber university, the SEM analysis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Thus, subsequen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similar results will be found at other cyber university settings or corporate cyber education. Second, since the levels of perceived presence are expected to vary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a variety of learner motivation variables such as academic self-efficacy,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er self-regulation. Thirdly, for discussing presences in depth, the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ubelements of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are necessary. Fourth, the factors were measur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 this study. Therefore, in-depth research about learning process should be conducted using various measurement method. Fifth, This study regarded learning outcomes as learners’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t ought to reconsider achivement as variable of learning outcomes for further research.;오늘날의 지식기반사회에서 교육의 패러다임이 평생학습체제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평생학습 사회를 구현한다는 취지에서 사이버대학이 도입되었고 양적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이버대학은 낮은 학습성과, 높은 중도탈락률 등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자들의 학습과정의 경험을 규명하여 이를 통해 학습자가 경험하게 되는 학습과정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학습과정을 설명해 주는 실재감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사이버교육의 성공을 좌우하는 시스템 이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역시 실재감과 함께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실재감과 유용·용이성, 그리고 학습성과 간의 통합적 인과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에서의 실재감과 유용·용이성, 학습성과와의 관계를 확인하여 사이버교육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수립하여 설계 및 운영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기초자료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대학생의 교수실재감이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사이버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사이버대학생의 실재감(교수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과 유용·용이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4. 사이버대학생의 실재감(교수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유용·용이성, 만족도가 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5. 사이버대학생의 교수실재감은 사회적 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인지적 실재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6. 사이버대학생의 실재감(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유용·용이성은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X사이버대학의 2009학년도 2학기 재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은 학기 14주차에 실시하여 교수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그리고 유용·용이성을 측정하였으며, 2차 설문은 학기 15주차에 실시하여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측정하였다. 1차, 2차 설문에 모두 응답한 학습자는 732명이었고, 이 중 불성실한 응답 23부를 제외한 709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결과분석은 다음과 같이 실시되었다. 먼저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측정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수집된 자료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조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수정모형의 검증을 통해 학습성과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Sobel의 검증방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수정된 연구모형에 따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교수실재감은 사회적 실재감(β=.206)과 인지적 실재감(β=.648)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이버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β=.297)이 인지적 실재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이버대학생의 교수실재감(β=.297), 인지적 실재감(β=.263), 유용·용이성(β=.262)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이버대학생의 만족도(β=.697)는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교수실재감이 사회적 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인지적 실재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유용·용이성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X사이버대학생 7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결과가 타 사이버대학이나 기업의 사이버교육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갖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자 특성에 따라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므로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는 학습자 동기 변인 등과 함께 연구될 필요가 있다. 셋째,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서 교수실재감과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 요소들을 세분화하여 각각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등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실재감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만족도와 지속의향을 학습성과 변수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학업성취도를 학습성과 변수에서 제외한 이유는 진도율이나 레포트 제출, 오픈북 형태의 시험으로 학업성취도가 평가되기 때문에 시험의 변별도가 떨어진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학습성과 측정에 성취도 변수를 포함시키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성취도가 학습성과 변수로서 재고려되어 학습성과 변수에 대한 보다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실재감 5 가. 교수실재감 5 나. 사회적 실재감 6 다. 인지적 실재감 6 2. 유용·용이성 7 3. 학습성과 7 가. 만족도 8 나. 학습지속의향 8 Ⅱ. 이론적 배경 9 A. 사이버교육과 사이버대학 9 1. 사이버교육 9 2. 사이버대학 10 B. 사이버교육의 학습성과 요인 11 1. 만족도 12 2. 학습지속의향 13 C. 사이버교육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 1. 실재감 14 가. 교수실재감 16 나. 사회적 실재감 19 다. 인지적 실재감 20 2. 유용·용이성 22 D. 관련 선행연구 24 1. 실재감 간 관계 관련 선행연구 24 2. 실재감과 학습성과 관련 선행연구 26 가. 교수 실재감과 학습성과 26 나.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 29 다.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성과 31 3. 유용·용이성과 학습성과 관련 선행연구 33 Ⅲ. 연구방법 38 A. 연구대상 38 B. 연구절차 40 1. 선행연구 분석 41 2. 설문조사 실시 41 3. 결과분석 42 C. 측정도구 43 1. 실재감 43 2. 유용·용이성 45 3. 만족도 46 4. 학습지속의향 46 D. 자료의 분석방법 48 Ⅳ. 연구결과 52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52 1. 측정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 결과 52 2. 측정변수들의 상관분석 결과 54 B. 측정모형의 검증 55 C. 구조모형의 검증 57 D. 매개효과 검증 64 Ⅴ. 결론 및 제언 68 A. 결론 및 논의 68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76 참고문헌 78 부록 87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35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이버대학생의 실재감, 유용·용이성, 학습성과간의 구조적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esences, Usability and Learning Outcomes In Cyber University-
dc.creator.othernameKim, Eun Kyung-
dc.format.pageix,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