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creator김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3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8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367-
dc.description.abstract사이버교육에서 학습지속은 만족도, 성취도와 더불어 개별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가늠하는 지표이며, 동시에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향 수립에 중요한 정보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성공적이고 지속적인 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만족도나 성취도, 학습지속에 관련된 요인들을 종합적인 인과관계로 연구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보았을 뿐 아니라 인과관계 보다는 상관이나 예측 위주로 연구해 왔다. 그러나 사이버환경에서 만족도나 성취도, 학습지속의향과 같은 학습성과는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현상이므로 여러 변수들의 직, 간접적인 인과관계를 통합적인 구조관계에서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거쳐 학습성과 영향변수로 내적통제소재와 자기효능감, 과제가치를 설정하였고, 학습성과변수로 만족도, 성취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직, 간접적인 인과관계를 통합적인 구조모형으로 제시하고 변수 간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및 과제가치는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2.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및 만족도는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3.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만족도 및 성취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4.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및 과제가치는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5.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및 과제가치는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6.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및 만족도는 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의표집으로 H 사이버대학을 선정하고, 2009학년도 2학기 컴퓨터활용능력 과목을 수강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2차례에 걸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받은 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차 설문은 1주차에 실시되었으며 학습자의 배경변인을 비롯해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2차 설문은 과제가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5주차에 실시하였다. 1, 2차 설문 모두에 응답한 973명 가운데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897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적합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모형을 검증하기에 앞서 SPSS 17.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AMOS 17.0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모형의 적합성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성과 변수와 학습성과 영향변수들의 직, 간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및 과제가치가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는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내적통제소재와 만족도는 그렇지 않았다. 셋째, 사이버대학생의 과제가치와 만족도, 성취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내적통제소재와 자기효능감은 그렇지 않았다. 넷째, 만족도가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과제가치와 성취도 사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한 결과, 만족도가 성취도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 않아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검정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없었다. 다섯째, 만족도가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과제가치와 학습지속의향 사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한 결과, 만족도가 각각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성취도가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사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는 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내적통제소재는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만족도가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아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검정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없었다.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 H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89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고 있으며 하나의 과정을 편의표집하여 진행하였다.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가 H 사이버대학의 다른 과목이나, 다른 사이버대학의 교육과정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게 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성과를 측정하는 변수로 만족도와 성취도, 학습지속의향을 선정하였다. 학습지속의향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자가보고식 설문지, 실제 재등록률 파악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학습자의 ‘의향’을 측정하는 데 그쳤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학습지속을 측정하려면 연구대상들이 다음 학기에 실제로 등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차원의 변수로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을 선정하였고 환경 차원의 변수로 학습내용에 대한 판단, 즉 과제가치를 선정하였다. 그러나 이 외에도 상호작용, 학습전략, 실재감, 몰입 등 다양한 변수들이 사이버환경에서 학습성과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차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변수로 구성된 모형을 상정하여 그 안에서 변수들의 직, 간접적인 인과관계를 조명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만족도, 성취도와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를 구조모형으로 상정하였다. 나아가 그 안에서 각 변수간의 직, 간접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웹기반학습의 학습성과를 설명하는 변수를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대학의 질적 성장에 필요한 학사운영방안 수립과 학생관리지침 작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intention to complete their study, persistence,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learning outcome variable along with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formation about learners' persistence could be used to determine each learner's learning outcome and also build an institution operation strategy. Previous researches on successful and continuous learning in a cyber environment focused on developing a theoretical model which explains the sequence toward learners' intention to persist their study or revealed the relationship or expectation between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earning outcome. Indeed, learning outcome such as satisfaction, achievement, persistence in a cyber environment are influenced by multitude of variab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a structural model which is composed of multiple variables and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task value are selected as learning outcome related variables, and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are chosen as learning outcome variabl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s learning outcome(satisfaction, achievement, persistence) focus on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task value and to examine the direct, indirect, and mediation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in a cyber universi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s: 1.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task value have direct effect on learners' satisfaction? 2.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task value, and satisfaction have direct effect on learners' achievement? 3.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task valu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have direct effect on learners' persistence? 4.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task value have indirect effect on achievement through satisfaction as a mediator? 5.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task value have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satisfaction as a mediator? 6.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task value, and satisfaction have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achievement as a mediator? To mee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H cyber university was chosen wit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wo online survey were conducted among the students enrolled at "Introduction to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in the fall semester of 2009. Instrument for measuring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task value,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were adop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irst week of semester to ask learners' demographic informa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efficacy.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ifteenth week to ask task value,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A total of 973 learners responded both two surveys, however, only 897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since there were respondents who didn't answered all questions.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administered. Then,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7.0, and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ere done using AMOS 17.0. The major findings of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internal locus of control(β= .247 ), self-efficacy(β= .069), task value(β= .790) have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self-efficacy(β= 2.195) and task value(β= 2.889) have a direct effect on achievement wherea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atisfaction did not. Third, task value(β= .101), satisfaction(β= .647), and achievement(β= .007), have a direct effect on persistence wherea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elf-efficacy did not. Fourth, the attempt to calculate indirect effect between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task value and achievement was failed since satisfaction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achievement. Fifth, learn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task value have an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satisfaction as a mediator. Sixth, learners' self-efficacy and task value have an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achievement as a mediator. However, the attempt to calculate indirect effect betwee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rsistence were failed since internal locus of control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achievement. Also, calculating indirect effect between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was failed since satisfaction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rawn. First, present study draw a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from 897 respondents who enrolled a single course titled "Introduction to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of H cyber university in Korea. Since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us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hoose different subjects such as other courses of H cyber university, other cyber university in Korea, and a corporate e-learning courses. Second, there are two ways of investigating learners' persistence, that are using a self-report survey and checking re-registration rate. However, present study used a self-report survey to check whether learners have strong mind to persist their study. In the true sense of persistence, it is required to have a follow-up study to find out whether the subject of present study re-register in the following semester or not. Last, besides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task value, there are more variables which explains learning outcome in a cyber environment such as interaction, learning strategy, presence, and flow. It is necessary to invite other variables and build a structural model to confirm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s mentioned above, present study set a structural model composed of learn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task value,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Moreover, this study revealed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n the model and confirmed the variables that explain learning outcome in a web-based learning.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esent blueprints on how to increase relatively low persistence rate compared to offline univers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10 A. 사이버대학 10 1. 사이버대학 현황 10 2. 사이버대학의 재등록률 11 B. 사이버교육에서의 학습성과 12 1. 만족도 12 2. 성취도 13 3. 학습지속의향 13 C. 학습성과 영향변수 15 1. 내적통제소재 15 2. 자기효능감 16 3. 과제가치 17 D. 관련 선행 연구 19 1. 내적통제소재와 학습성과 19 2.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 22 3. 과제가치와 학습성과 24 4.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 26 Ⅲ. 연구방법 30 A. 연구대상 30 B. 연구절차 32 1. 선행연구 분석 32 2. 설문조사 실시 33 3. 결과 분석 34 C. 측정도구 35 D. 자료의 분석방법 38 Ⅳ. 연구결과 42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결과 42 1. 측정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결과 42 2. 측정변수들의 상관분석결과 43 B. 측정모형의 검증 45 C. 구조모형의 검증 48 D. 매개효과 검증 54 Ⅴ. 결론 및 논의 58 참고문헌 67 부록 1. 1차 설문지 80 부록 2. 2차 설문지 83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14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Task Value and Learning Outcome in a Cyber University-
dc.creator.othernameKim, Ji Yeon-
dc.format.pagex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