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9 Download: 0

만 1세반 자유놀이시간에서의 영아-교사의 상호작용과 교사의 민감성

Title
만 1세반 자유놀이시간에서의 영아-교사의 상호작용과 교사의 민감성
Other Titles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Teacher's Sensitivity Shown during Free Play Time in the 1 year-old Infant Class
Authors
이선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만 1세 영아반의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난 영아-교사 상호작용 과 민감성의 전반적인 경향과 교사의 개인적 변인과 기관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상호작용 경향과 민감성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1세 영아반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난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1-1.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전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1-2.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1-3. 교사의 기관적 변인에 따라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2. 만 1세 영아반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난 교사의 민감성은 어떠한가? 2-1. 교사 민감성의 전반적 경향과 하위요인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교사의 민감성에 차이가 있는가? 2-3. 교사의 기관적 변인에 따라 교사의 민감성에 차이가 있는가? 3. 영아-교사 상호작용 경향(빈도, 지속시간, 영아 수)과 교사의 민감성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어린이집(구립 1곳, 법인 1곳, 직장 7곳) 만 1세 영아반 교사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아-교사 상호작용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Vaughan, Mundy, Block, Burnette, Delgado, Gomez, Meyer, Neal과 Pomares(2003)가 사용한 Bakeman과 Adamson(1984), Tomasello와 Farrar(1986)의 체계에 따라 영아-교사 상호작용 에피소드 내에서 관찰범주별로 분석하였다. 교사의 민감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Bigelow, Maclean과 Proctor(2004)의 어머니의 민감성 측정도구를 연구자가 번안하고 영아반 교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을 산출하고 t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1세 영아반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난 영아-교사 상호작용 에피소드 빈도는 총 223회, 개인 당 평균 10.14회, 지속시간은 평균 134.33초였으며, 1 회당 평균 2.23명의 영아와 상호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교사에 의해 시작되고 종료되는 비율이 영아에 의한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영아-교사 상호작용 경향은 교사의 학력, 영아반 경력에 따라 관찰범주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4년제 대졸 이상 학력을 소지한 교사와 영아반 경력 2년 이상인 교사가 더 적은 수의 영아와 더 오래 상호작용하였으며 영아가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종료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교사의 기관적 변인에 따라서는 담당 학급의 교사 대 영아 비율, 집단 크기, 자유놀이시간 양에 따라 관찰범주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교사 대 영아 비율이 1대 4미만이며 집단 크기가 10명 이하일 때 영아가 주도적으로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종료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자유놀이시간 양이 3시간 이상일 때 더 많은 수의 영아와 상호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민감성 하위요인 가운데 따라가기 수준은 교사의 학력이 4년제 대졸이상이며, 담당하고 있는 학급의 집단크기가 10명 미만일 때 더 높았으며, 비계설정하기 수준은 교직 경력 3년 이상인 교사와 영아반경력 2년 이상인 교사가 더 높았다. 특히, 교사 대 영아 비율이 1대 4미만이고, 자유놀이시간의 양이 3시간 이상인 학급의 교사가 따라가기와 비계설정하기 수준이 모두 높았다. 교사의 민감성 하위요인인 따라가기와 비계설정하기 간에는 높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영아-교사 상호작용 경향과 교사의 민감성 간의 관계는 종료주체 영아와 따라가기, 지속시간과 비계설정하기 간에는 정적상관이, 영아 수와 따라가기, 종료주체 교사와 따라가기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즉, 영아가 상호작용을 종료할수록 교사의 따라가기 수준이 높으며, 교사의 따라가기 수준이 높을수록 영아가 상호작용을 종료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상호작용의 지속시간이 길수록 비계설정하기 수준도 높다고 할 수 있으며, 교사의 비계설정하기 수준이 높을수록 상호작용의 지속시간도 길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영아 수가 많을수록 교사의 따라가기 수준이 낮으며, 교사의 따라가기 수준이 낮을수록 영아 수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사가 상호작용을 종료할수록 따라가기 수준도 낮다고 할 수 있으며, 교사의 따라가기 수준이 낮을수록 교사가 상호작용을 종료하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The purposes of the research were to examine the general trend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and teacher's sensitivity shown during free play time in the 1 year-old infant class and the difference by individual factors and institutional factors of teacher, and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interaction trend and sensitivity. The research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shown during free play time in the 1 year-old infant class ? 1-1. How is the general trend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of teacher? 1-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according to institutional factors of teacher? 2. How is the sensitivity of teacher shown during free play time in the 1 year-old infant class ? 2-1. How is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trend of teacher sensitivity and sub factors?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ensitivity of teacher according to the individual factors of teacher? 2-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ensitivity of teacher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 factors of teacher? 3. How is the relation between infant-teacher interaction trend(frequency, duration time, number of infants) and the sensitivity ofteacher? This study was based on 22 teachers of the 1year-old infant clas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public 1, corporation 1, job 7)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study tool was based on the system of Bakeman and Adamson(1984), Tomasello and Farra(1986) which was used by Vaughan, Mundy, Block, Burnette, Delgado, Gomez, Meyer, Neal and Pomares(2003) to look at infant-teacher interaction trend and analyze per observation category in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episode. In order to measure the sensitivity of teacher, the researcher translated the measurement tool to measure the sensitivity of mother used by Bigelow, Maclean and Proctor(2004) and modified to meet the level of teacher of infant class for use.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minimum value and maximum value and carried out th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infant-teacher interaction episode shown during free play time of infant class less than 1 year-old was total 223 times, average per person 10.14 times, average duration 134.33 seconds which showed the interaction with average 2.23 infants per time. The rate to start and end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by teacher appeared higher than by infants. The infant-teacher interaction trend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 of teacher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per observance category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and career of infant class of teacher.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 factor of teacher such as the proportion of teacher vs. infant of the class that the teacher is in charge of, the size of group, the amount of free play time, the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per observance category. Second, among the sub factors of sensitivity of teacher, the level of following was higher when the level of education of teacher is more than graduates of 4-year university and the group size of class that the teacher is in charge of is below 10 persons, and the level of scaffolding was higher in case of teachers more than 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eachers more than 2 years of infant class experience. In particular, for the teachers who have the proportion of teacher vs infant below 1:4 , and have more than 3 hours of free play time, the level of following and the level of scaffolding appeared both higher. There was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following and the level of scaffolding which are sub factors of sensitivity of teacher. Third, the relation between infant-teacher interaction trend and the sensitivity of teacher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nd subject infant and the level of following and between duration and the level of scaffolding while it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infant and the level of following and between end subject teacher and the level of follow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