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유아학비 및 보육료 지원 정책의 추진 현황 분석

Title
유아학비 및 보육료 지원 정책의 추진 현황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n the Current Implentation of Preschool Tuition and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Authors
이보미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학비 지원계획 및 보육사업 안내, 관련 정부문건, 통계자료 등을 통하여 교육과학기술부의 유아학비 지원 정책과 보건복지부의 보육료 지원 정책의 추진 현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학비 지원 정책의 추진 현황은 어떠한가? 1-1. 유아학비 지원 정책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유아학비 지원 정책의 재정은 어떠한가? 1-3. 유아학비 지원 정책의 대상은 어떠한가? 1-4. 유아학비 지원 정책의 급여는 어떠한가? 1-5. 유아학비 지원 정책의 전달체계는 어떠한가? 2. 보육료 지원 정책의 추진 현황은 어떠한가? 2-1. 보육료 지원 정책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2-2. 보육료 지원 정책의 재정은 어떠한가? 2-3. 보육료 지원 정책의 대상은 어떠한가? 2-4. 보육료 지원 정책의 급여는 어떠한가? 2-5. 보육료 지원 정책의 전달체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아학비 지원정책이 도입시행된 1999년부터 2010년까지의 유아학비 지원 정책 및 보육료 지원 정책과 관련된 사업계획서 등 정부문건, 통계자료, 정책연구 보고서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나정(2009)의 연구와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Gilbert, Specht, & Terrel, 1993; Gilbert & Terrell, 2005)을 참고로 하여 정책의 분석틀을 정책목적 및 목표, 재정, 정책대상, 급여, 전달체계의 다섯 가지 하위요소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유아학비 지원 정책과 보육료 지원 정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학비 지원 정책의 정책목적 및 목표 측면에서 ‘유아교육 공교육화 실현’ 부분이 2010년에 들어 정책 목적에서 삭제되었다. 유아학비 지원 정책의 재정과 관련하여서는 전체 유아학비 지원 예산의 총액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총액 규모의 증가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나 2008년에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2008년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이 개정되어 유아학비 지원 사업이 지방으로 이양되었고, 이에 따라 관련 예산이 거의 전액 지방비로 충당되고 있다. 유아학비 지원정책 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의 유아이며, 대상자격 및 대상선정 기준이 정책 세부 내용별로 차별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대상 선정에 있어서는 2004년부터 보건복지부의 보육료 대상자 선정지침이 준용되고 있으며, 2007년도부터 보육료 지원 정책에서 마련한 기준이 유아학비 지원 정책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의 범위는 지난 십여 년 간 꾸준히 확대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일한 대상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동일 기간 동안 보육료 지원 정책에 비하여 지원율이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급여의 경우, 2009년 하반기부터 전자바우처제도가 도입되면서 정책급여의 형태가 현금지원에서 증서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유아학비 지원 정책의 급여의 수준인 지원단가는 세부 정책별로 다양하게 책정되고 있으며, 세부 정책 모두 대체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학비 지원 정책의 전달체계는 관련 업무 처리에 있어서 행정적인 통일화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였으나, 지방사업화 됨에 따라 사업주체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시도교육감 및 교육장으로 변화되었다. 유아학비 전달체계에서 행재정적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료 지원 정책은 정책의 목적 및 목표가 사업 안내에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보육료 지원 예산은 대체로 세부 정책별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다. 보육료 지원 예산의 증가율이나 전체적인 규모는 동일한 기간 내의 유아학비 지원 예산의 경우보다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료 지원 정책은 유아학비 지원 정책의 대상 연령보다 더 광범위한 연령의 아동을 정책대상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대상 선정기준은 장애아 무상보육료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연령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2007년부터 유아학비 지원 정책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료 지원 정책 급여의 경우, 보육료 지원단가는 유아학비 지원 정책과 마찬가지로 세부 정책별로 다양하게 책정되며, 장애아 보육료와 두자녀 이상 보육료를 제외하고는 지원단가가 유아학비와 동일한 금액으로 책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학비와 마찬가지로 2009년부터 전자바우처제도가 도입되면서 급여의 형태가 현금급여에서 증서로 변화되었다. 급여인 보육료는 보건복지부, 시도, 시군구, 보육시설의 전달체계를 통해 제공되며, 전달체계상 행정적 통일성, 포괄성 등의 원칙이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학비 지원 정책과 마찬가지로 보육료 지원 정책의 전달체계에서도 행재정적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quo of the promo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s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through data such as statistics and guides to assistance planning and child care services. The objects for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What is the status quo of the promotion of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1-1. What is the purpose and aim of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1-2. How is the financial condition of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1-3. Who are the subjects of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1-4. How much does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pay? 1-5. How does the delivery system of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work? 2. What is the status quo of the promotion of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2-1. What is the purpose and aim of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2-2. How is the financial condition of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2-3. Who are the subjects of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2-4. How much does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pay? 2-5. How does the delivery system of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work?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governmental documents, statistics data, studies such as the mission statements of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and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from 1999, when the preschool tuition policy was first introduced and implemented, until 2010. The studies of Jung Na(2009)and The Dimensions of Social Welfare(Gilbert, Specht, & Terrel, 1993; Gilbert & Terrell, 2005) have been referenced to construct the analytic frame of the policy. The analytic frame of the policy is constituted of five subcomponents which are the purpose and aim of the policy, financing, subject of the policy, payments and delivery system and accordingly, the status quo of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and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were analyzed. The following is a summar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Firstly, the elimination of 're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in the policy's purpose clause in 2010 for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signaled concerns for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degenerating to a means of the Low-Income Group Assistance Policy. As for the financing of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since 2008, as the policy disintegrated into local services, the key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olicy became the financial conditions and management capa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The subjects of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apply to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s recipients of child care fees and its selection guidelines from 2004, and since 2007 the same criteria have been applied to preschool tuition as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Although the range of recipients has steadily increased, having the same recipients as the standard, the numb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In the case of policy salaries, the amount of assistance has increased in general since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has taken effect, however, appropriation of unrealistic unit prices for assistance have been found to have possible negative effect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Although the delivery system of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has become unified in terms of administration, as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has been implemented locally, the government's management and supervision on regional financial management of preschool tuition has become difficult, thus presenting possibilities of moral laxity in each region's office of education. Secondly, sinc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were not presented in the guidelines, as in the case of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it revealed that there would be difficulties in connection with performance evaluation. The child care assistance budgets by detailed policies are generally increasing. The rate of increase or overall size of the child care assistance budget showed to be much greater than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budget within the same period.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included a broader age range of children as their subjects of policy compared to the policy subject age range of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In terms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when setting children of the same age range as their subjects, excluding free education for disabled children,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was shown to be unchanged since 2007. Similarly to preschool tuition salaries, the form of salary has shifted from cash to electronic certificates since the electronic voucher system was adopted in 2009. The delivery system of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re city-province, city-county-suburb child care facilities which showed to be considering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unity, professionalism, and comprehensiveness. Like the Preschool Tuition Assistance Policy, the delivery system of the Child Care Expense Assistance Policy proved to lack an institutional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misu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