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삼근-
dc.contributor.author박지희-
dc.creator박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6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7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687-
dc.description.abstract평생학습사회의 도래로 다양한 유형의 평생교육 기관에서 평생교육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평생교육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평생교육 이념의 올바른 실천 및 확산을 위해서는 평생교육사의 직무 현실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 그들의 직무경험에 대한 '이야기'에 직접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평생교육사의 직무경험에 대한 현장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활용하였고,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교육사들은 그들의 직무경험에 대한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평생교육사들이 인식하는 평생교육사 직무의 현실 및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평생교육사들의 직무경험 내러티브는 평생교육사의 발전가능성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가? 이를 위해 먼저 평생교육사의 직무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는데, 검토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평생교육사가 마땅히 ‘담당해야 할’ 역할을 규정하고 수행하는 직무를 분석하는 정도에 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평생교육 현장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평생교육사가 본인의 직무경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는 법령이나 연구자들이 제시하는 평생교육사의 당위적인 역할과는 별개의 의미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크랜디닌과 코넬리(Clandinin & Connelly)의 논의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 자료는 평생교육사들의 심층 면담에 의해 구성된 이야기(narrative)이다. 효과적인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 참여자 선정에 있어서 ‘기관의 대표성 및 다양성’ 과 ‘실무경력’을 고려하였다. 이에 따라 일정 기간 이상 평생교육 관련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를 섭외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개별적 심층면담은 동료 연구자와 평생교육사에게 검토를 받은 면담 프로토콜과 질문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면담 내용은 모두 전사되어 연구자의 현장 일지와 함께 내러티브 연구의 중요한 현장 텍스트로 활용되었으며, 현장 텍스트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은 이론적 배경에서 논의된 내러티브 연구의 과정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결과는 직무경험에 대한 평생교육사들의 인식에 관련된 것이다. 우선, 연구 참여자들은 평생교육사로서 자신의 직무경험에 대한 반성적 성찰의 기회를 갖지 못하고, 평생교육사로서의 의식이나 평생교육의 가치관과 철학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지 못한 채로 현장에서 발생하는 직무 수행에 급급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생교육사들이 직무를 수행하며 평생교육사로서 자신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역할은 직무의 ‘내용’이 아닌, 개인의 직무 수행 ‘방법’이나 ‘역량’에 관련된 것이었으며, 직무를 계속할 수 있는 동인에 대해서는 개인적 가치에 따라 저마다 다른 모습을 보였다. 평생교육사들은 이에 따라 스스로 동기화 되어 또 다른 변화를 경험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평생교육사들의 직무 경험에 대한 인식은 직무의 우선순위 등에 있어서 소속되어 있는 기관의 성격 및 지향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사의 직무 현실 및 문제점에 대한 평생교육사들의 인식에 관련된 것이다. 면담 결과로써 평생교육 기관 관계자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것, 평생교육사 전문성 인정에 대한 문제인식이 나타났다. 무엇이 평생교육사의 전문성인가에 대한 문제는 법령이나 문헌이 제시하는 것처럼 특정 기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생교육사간 네트워킹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네트워킹의 현실은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연구 결과는 평생학습사의 발전 가능성 모색에 관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직무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계획을 구체화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평생교육 현장의 인적 자원인 평생교육사 스스로가 평생학습자에게 새로운 학습 모델이 되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평생교육사로서의 인식이나 반성적 성찰의 계기가 없이 일을 한다고 말하였지만, 그들의 직무경험 자체가 학습과 성장의 계기가 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의도된 것이 아니라, 일을 하면서 '지금, 여기에서' 자연스럽게 겪게 된 것들이었으며 이는 그들의 일상의 삶 가운데 자연스럽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국, 평생교육사 직무 경험은 또 다른 학습 경험이 되어 학습 리더로서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평생교육 현장에 기반 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는 것과, 법령이나 이론이 보여줄 수 없는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평생교육사의 직무경험이 더 많은 기회를 통해 공유될 필요성을 시사한다.;Since the lifelong learning field has expanded, it stressed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ors conducting the education in the fields. The educators teaching in various kind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re the essential human resources. To conduct and expand the lifelong concept well,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field of lifelong educators. Therefore,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is problem,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 of the lifelong educator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field better. This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and set three research tasks. First, with checking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ors' job experiences,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the job experience affects the educators. Second, through knowing the reality of lifelong educators work and the problem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need of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Third, based on the narratives of lifelong educators' job experience,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n lifelong educator as a job. For the above,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es. In the result, most researches were just analyzing and ruling the role of lifelong educators. The role was what the lifelong educators necessarily and originally takes account. However, the role suggested by the law or the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could be apart from the real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ors in the field. Therefore, this study chose narrative inquiry method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This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method cited a lot based on Clandinin & Connelly's opinion with previous studies used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The main research data is the ‘narrative’organized by the in-depth interview from lifelong educators. To collect effective data, this study considered career in the field and the variety and representation of the institutions. Based on this, this study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field participants working in certain institutions and for certain period. The in-depth interview was progressed by questionnaire and interview protocol examined by peer researchers and lifelong educators.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as used as important field text.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as conducted based on narrative Inquiry research progress. The research result is as below. The first research result is about the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or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coul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self-reflection. Instead of considering the philosophy and the sense of values on lifelong education, they were busy working in the field. The role lifelong educators think what they need was ‘the method’ of doing their work rather than ‘the contents ’of the work. For the standard of work satisfaction, each showed different opinion based on each other’s value. The lifelong educators were self-motivated and experiencing another change. This kind of experience was not intended. It may be natural to experience as a lifelong educator. The job experience affected not only their work, but also their routine life. In addi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ption about their job experiences affected from the character and the pursuit of the institutions, which the lifelong educators are involved. According to the result as above, the job meaning, which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nk, showed some difference. The second research result is about the lifelong educators' perception on the working reality and the problem. First, the lack of perception on the problem in the related people working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as the cause of the issue. Some people related with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perceive that lifelong educator certification is not necessary for the related work. They believe that anyone can do lifelong education-related work. On the other side, some people require lifelong education certificate to be hired as a lifelong educator, but lead the educator to work following a certain manual instead of considering lifelong education. Another problem is ap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ors. By the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found many things. For example, lifelong educators' most works are administrative support. It led the educators confused about what the lifelong educators' professionalism is. However, according to each educator's perception, they could display their ability more than they are expected. Moreover, lifelong educators' professionalism is not determined by a certain standard like law or other data. The professionalism is determined by the lifelong educator him/herself doing self-reconsideration. For networking factor among lifelong educators, they feel the need. However, they just want to share some information, which they can apply right after. They worried the competition among institutions through networking, or tried to find solutions on their own when they are in trouble as well. That is why the reality of networking would be difficult. The third research method is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n lifelong educators. The research participants tried to take concrete shape for plan based on the job experience in lifelong education field. For sure, some lifelong educators are too eager to work, so they do not reconsider themselves. However, for most cases, the experience in the real field of lifelong education gives the best learning. The knowledge about lifelong education, which lifelong educators learn in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provide the opportunity, which the educators themselves consider what they need for their working role. In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the lifelong educators encourage students, set the place to learn, provide potential students to learn about lifelong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lifelong educators themselves in the field could be a new learning model. It means that lifelong educators not only provide some knowledge to students, but also show lifelong education's value as a role model through their life with working as lifelong educators. Consequently, even though the participants said they just work without self-reflection on their work,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ir job experience itself is the factor of learning and improving. This experience is not intended. Working as lifelong educators, they unconsciously experienced. The experience naturally affected their life as well. As a result, lifelong educator job experience was another learning experience to them.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are more needs on lifelong education research in the field. Future researchers should pursue of finding a method sharing lifelong educators' job experience which law or knowledge can not show and tea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평생교육사 직무 5 1. 평생교육사의 역할 5 2. 평생교육사 직무의 개념 9 3. 평생교육사 직무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 고찰 16 B. 내러티브 연구 19 1. 내러티브 연구의 정의 19 2. 내러티브 연구의 과정과 방법 21 3. 내러티브 연구의 특징과 한계 25 Ⅲ. 연구방법 28 A. 연구 설계 28 B. 연구 참여자 29 1. 연구 참여자 선정 29 2. 연구 참여자 소개 30 C. 자료 수집 33 D. 자료 분석 및 해석 36 1. 자료 분석 및 해석 과정 36 2. 연구의 타당성과 정당성 문제 38 Ⅳ. 연구결과 40 A. 평생교육사 직무경험에 대한 의미 인식 40 1. 직무경험에 대한 반성적 성찰 기회 부족 41 2. 평생교육사 직무경험의 주관적 의미 44 3. 기관별 직무경험의 의미 인식 차 54 4. 논의 61 B. 평생교육사 직무의 현실 및 문제점 인식 62 1.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들의 인식 부족 62 2. 평생교육사 전문성 인정의 문제 66 3. 평생교육사간 네트워킹의 문제 80 4. 그 밖의 문제점 84 5. 논의 88 C. 평생교육사의 발전가능성 모색 89 1. 평생학습자로서의 평생교육사 90 2. 평생학습사회의 새로운 역할 모델 기대 92 3. 논의 96 Ⅴ. 결론 및 제언 98 A. 결론 98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100 참고문헌 103 부록. 면담 프로토콜 및 질문지 106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12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평생교육사의 직무경험 이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Understanding of Lifelong educators' Job Experiences through Narrative Inquiry-
dc.creator.othernamePark, Ji Hee-
dc.format.pageviii,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