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 몰입, 성취도, 만족도 간의 관계 규명

Title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 몰입, 성취도, 만족도 간의 관계 규명
Other Titles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uthenticity of Tasks, Flow,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Environment
Authors
박에스더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수
Abstract
In terms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students should use Internet for finding information, communicate their findings with others, and then make projects or tasks(Laffey, 1998). This leaning helps students engaged in activities such as problem solving, making decision, reflective thinking, and knowledge constructing(Liu & Hsiao, 2002). Unlike traditional classrooms or individual learning environments, therefore, learners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environment are able to make their own learning as well as collaborate with peers for a task in the group learning situation. In addition to these, web-based resources such as multimedia material, hypermedia, and online chatting enable the learner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t anytime and anyplace, and this broad way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nfluence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Althaus, 1997). To dates, investigators have been focused on learner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flow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Park & Kim, 2006). Specifically, Palloff and Pratt(1999) and Wilson and Ryder(1998) reported that collaboration and participation through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motivate students involved enthusiastically in their learning, participated in learning activities, and this motivation and flow impact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Authentic task has been said that it provides authentic experience and context-based learning. So it helps students understand better, motivates them, and aids them to acquire useful information and knowledge. Authentic task can be closely related to learners’ personal life, so that they make their learning significant and interesting as to be engaged in. For example, Woo et al.,(2007) investigated that learners build important knowledge and greatest performance particularly when they use graphics, audios, and videos, and bulletin board and instant messenger in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together with authentic tasks. As a result, it is critical to adopt authentic tasks into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Herrington, 2005; Herrington, Oliver & Reeves, 2003). However, most studies have been narrowly focused on theoretical concept rather than practical analysis(Herrington, & Herrington, 1998; Herrington, & Oliver, 2000; Herrington wt al., 2003). Thus, this study will show the relationship among authenticity of tasks, flow,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environment. First, to do thi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effect of authentic tasks on flow,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 satisfaction. Then, it will suggest ideas about design strategies to instruct learners in the web-based environment for the future research. There are research questions as below, 1. Is the relationship among Task Authenticity, flow,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 satisfaction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2. Is flow mediated to the estimation of the amount of Task Authenticity identified by learners for the amount of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2-1. Does the amount of Task Authenticity identified by learners estimate the amount of flow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2-2. Does the amount of Task Authenticity identified by learners and flow estimate the amount of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2-3. Is flow mediated to the estimation of the amount of Task Authenticity identified by learners for the amount of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3. Is flow mediated to the estimation of the amount of Task Authenticity identified by learners for the amount of learner satisfaction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3-1. Does the amount of Task Authenticity identified by learners estimate the amount of learner satisfaction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3-2. Does the amount of Task Authenticity identified by learners and flow estimate the amount of learner satisfaction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3-3. Is flow mediated (influenced) to the estimation of the amount of Task Authenticity identified by learners for the amount of learner satisfaction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45 college students who are taking the L class and the college is located in Seoul. The class is about leadership and vocational education instructing learners to be trained and developed as a member of the society. The participants have taken the classes in the web-base project learning environment for 7 weeks from September 30, 2009 to November 11, 2009. The instruments in this study are surveys that asked the participants task authenticity, flow,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satisfaction in the class. This study has a few important findings. First, it found that there is correlation among authenticity of tasks, flow,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environment. For example, authenticity of tasks is positively related to flow(r = .51), academic achievement(r = .50), and learner satisfaction(r = .53). It reported that there can be a possible effect of authentic task for learner flow,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low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r = .43) and learner satisfaction(r = .78), and it showed a strong relationship with learner satisfaction in r = .78. It is possible that the large amount of flow can make students to be strongly satisfied with their learning. In addition, academic performance is correlated to learner satisfaction in r = .48. Second, the amount of task authenticity estimates 26% variation of flow in the web-based project classroom(F(1, 43) = 12.66, p < .01, β = .51). In a word, a learner who identified the task authentic showed the large amount of flow in this study. Third, the amount of task authenticity estimates 25% vari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web-based project classroom(F(1, 43) = 12.24, p < .01, β = .50). In a word, a learner who identified the task authentic was highly performed in this study. However, flow is not a factor to estimate the variation of academic performance. Fourth, the amount of task authenticity estimates 28% variation of learner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project classroom(F(1, 43) = 14.69, p<.001, β = .53). Also, flow is a factor to estimate learner satisfaction(F(2, 42) = 31.08, p < .001, β = .68). In a word, high task authenticity and flow estimate the strong satisfaction in this study. Fin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low is mediate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other factors, task authenticity,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er satisfaction. So this study made two regression models with and without flow as a predictor. The result of the two regression models showed that flow is a predictor to display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authenticity and learner satisfaction, but it is not a predictor to display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authentic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propose a few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related to task authenticity, flow,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er satisfaction. First, task authenticity that indicates familiar, meaningful, and context-based estimates the variation of learner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so that educators and researchers should consider authenticity into designing student tasks.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done about learner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considering authentic tasks. Accordingly, future study should develop instruments to identify authentic tasks and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learning with the help of authentic tasks. Second, more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investigate flow as well as transfer in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among task authenticity, flow, and learner satisfaction in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further study needs to report the relationship among ask authenticity, flow, achievement, learner satisfaction, and transfer because Park and Kim(2006) found that learner satisfaction is a factor to influence student achievement as well as transfer. Third, task authenticity and flow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variables of learning.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rs who reported task authenticity and flow influenced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but few researchers examined other learning variables. Hence, future studies should make connection between various factors and environmental variation and authentic task. Finally, it will be critical that further research conduct a qualitative analysis by using open-ended questionnaire, interviews, and observation for looking at learning in the web-based environment. These will help improv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udies about web-based project learning.;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이란 학생들이 인터넷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며,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교환하고 논의하는 가운데 특정 과제를 직접 수행하도록 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며(Laffey,1998), 학습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반성적 사고의 능력을 개발할 수 있고, 지식의 재구성을 경험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이다(Liu & Hsiao, 2002). 즉,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학습자는 전통적인 교실수업이나 개별화수업과는 달리 학습활동을 스스로 능동적으로 수행해야 하며, 모둠 단위별로 협력학습활동을 통해 과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이 때 주어진 의미있는 과제의 수행과 문제해결을 위해 멀티미디어, 하이퍼미디어, 온라인 채팅 등과 같은 다양한 지식 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웹의 환경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시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나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준다(Althaus, 1997). 최근에는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과 같은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상호협력적인 학습활동과 관련된 심리적 현상으로 몰입(flow)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박성익, 김연경, 2006). 특히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환경이 제공하는 협력적이고 참여적인 학습풍토는 사회적, 매체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에 대한 욕구를 높이고 학습과정에의 몰입을 촉진시켜 줌으로써 자발적이고 참여적인 학습활동을 촉진시켜 주게 되고 나아가서 학습 성취도와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Palloff & Pratt, 1999; Wilson & Ryder, 1998). 학습 몰입을 촉진하고 학습자에게 지식을 보다 쉽고 유의미하게 이해하도록 하게 위해서는 실제 상황을 경험할 수 있는 맥락적 학습과 실제적인 학습과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능해 질 수 있다. 실제적인 과제는 학습자의 개인적 삶과도 관련되어, 학습 활동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고, 이런 과제의 실제성은 특별한 동기적 요소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과제가 실제적이라는 사실만으로도 학습자들의 동기가 유발할 수 있고, 학습몰입을 촉진할 수 있다. 특히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다양한 학습자원들과 게시판, 쪽지 기능과 같은 상호작용 도구들은 실제적 과제와 결합했을 때 학습자에게 의미있는 지식을 구성하고, 실제상황에 전이 가능한 학습 산출물을 생성해 낸다(Woo, Herrington, Agostinho, & Reeves, 2007). 즉,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과제의 실제성을 고려한 학습환경의 설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Herrington, 2005; Herrington, Oliver & Reeves, 2003). 그러나 웹 기반 학습에서 과제의 실제성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그 정의와 개념을 밝히는 이론적인 연구에 치중되어 있어(Herrington & Herrington, 1998; Herrington & Oliver, 2000; Herrington et al., 2003)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제의 실제성과 몰입간의 관계, 그리고 학습 성과, 만족도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과제의 실제성이 몰입과 학업 성취, 학습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향후 웹을 기반으로한 학습에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수설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 몰입, 성취도, 만족도 간에 상관이 있는가? 2.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이 성취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2-1.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은 몰입을 예측하는가? 2-2.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과 몰입은 성취도를 예측하는가? 2-3.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이 성취도를 예측하는데 몰입은 매개 역할을 하였는가? 3.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 과제의 실제성이 만족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3-1.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은 만족도를 예측하는가? 3-2.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과 몰입은 만족도를 예측하는가? 3-3.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이 만족도를 예측하는데 몰입은 매개 역할을 하였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의 E 대학교에 개설된 학부 과목 중 L과목 수강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L과목은 재학생이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하여 전문여성으로서 리더쉽을 발휘할 자질과 역량을 훈련 · 개발시킬 기회를 갖도록 하는 목적을 지닌 교양과목이다. 주로, 자신의 이해를 통해 셀프리더쉽을 개발하고 리더쉽 역량 함양에 중요한 주제들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진다. 연구를 위해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진행되었고, 연구 기간은 2009년 9월 30일부터 11월 11일까지 7주 동안이였으며, 연구도구로는 학습 과제의 실제성, 몰입, 성취도, 만족도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학습 과제의 실제성, 몰입, 성취도, 만족도간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학습 과제의 실제성은 몰입(r = .51), 성취도(r = .50), 만족도(r = .53)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 과제의 실제성이 학습에의 몰입, 성취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몰입은 성취도(r = .43)와 만족도(r = .78)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특히, 만족도와의 상관계수는 .78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성취도 역시 만족도(r = .48)와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둘째, 학습과제의 실제성은 몰입을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으며,(F(1, 43) = 12.66, p < .01, β = .51), 몰입의 총 변화량의 26%가 학습 과제의 실제성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즉,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 과제의 실제성이 높을수록 몰입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 과제의 실제성은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으며(F(1, 43) = 12.24, p < .01, β = .50), 성취도 총 변화량의 25%가 학습 과제의 실제성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즉,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 과제의 실제성이 높을수록 성취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몰입은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 과제의 실제성은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1, 43) = 14.69, p < .001, β = .53), 만족도 총 변화량의 28%가 학습 과제의 실제성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그리고 몰입도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2, 42) = 31.08, p < .001, β = .68. 즉,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 과제의 실제성, 몰입 수준이 높은 학습자가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습 과제의 실제성과 성취도, 만족도 사이에 몰입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 과제의 실제성이 만족도를 예측함에 있어서 몰입은 완전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였지만, 학습 과제의 실제성이 성취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몰입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과제의 실제성과 몰입, 성취도, 만족도 부분에 관한 통합적 연구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과제의 실제성, 즉 학습 과제가 학습자들에게 친숙하고 유의미하며 실제 생활의 맥락성을 반영한다고 느끼는 수준에 따라서 학습몰입과 성취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학습 과제를 선택하고 설계할 때에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적 학습 과제 선택시 고려해야 할 학습자 변인 및 학습 환경요소와 관련된 연구는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따라서 앞으로 실제적 과제를 선택할 수 있는 구체적인 도구의 개발과 더 나아가 실제적 과제 제공 시 학습 결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웹 환경에서의 몰입과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가 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 몰입, 만족도는 서로간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만족도는 학습 성과를 다음 학습에의 전이를 촉진시키는 변인이기 때문에(박성익, 김연경, 2006) 후속연구에서는 학습 과제가 실제적으로 제시되었을때, 몰입과 만족도를 넘어서, 학습전이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습과제의 실제성과 몰입을 다양한 학습변인과 연계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학습 과제의 실제성과 몰입은 학습 성취도 및 만족도,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많지만, 다른 학습 변인과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학습 관련 변인들 및 다양한 학습환경과 연관시켜 학습 과제의 실제성과 몰입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후속연구에서는 개방형 질문이나 인터뷰, 관찰 등의 질적 연구를 통해 보다 다양한 관점의 준거들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다양한 변인간의 관계를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과정과 학습결과를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방법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