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이효진-
dc.creator이효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5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7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56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is to investigate scientific concepts of children in their preschool age by closely watching preschoolers’act and their patterns of play when they play freely in the sandy playground. To dive into the things mentioned above, we raised two key questions first of all. 1. What kinds of behavior does 5-year old children show in the sandy playground? 2. What kinds of scientific concepts does 5-year-old children have in the process of playing on the sandy playing field? The study was conducted at one(the so called so-na-mu class) class of a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W-gu of seoul. 5-year-old children in korean age mainly consisted of the class. The subject of this investigation is 24 preschoolers and a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play with sand. The data collection for the thesis implemen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s,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and documentation by taking pictures, recording scenes on videotapes, tape-recording from August 31 to October 9 in 2009. Total number of investigation is 20. The data is a transcription of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a teacher in charge and children. A rough sketch on real conversations between children in the class was also includ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categorization and encoding according to the method suggested by Bogdan and Biklen(2006). The research shows various kinds of behavior patterns of preschoolers when they play with sand, such as hardening sand into a mass, digging in the ground, piling up, mixing, scattering, fumbling with sand, straining sand through a sieve, punching a hold in the sandy ground, marking with a dot and drawing lines on the sand. Digging sandy ground is divided into two actions when observing children’s play to make puddles or waterways; digging with hands, boring a hole with a shelve. Digging a hole with hands is to make the bottom of a waterway even by using hands to let the water run equally through it. Boring sandy ground with a shelve was shown when children dig a hole deeply by a shelve at the beginning of the play to make a waterway. And the other was shown when they dig a hole to broad the width of a waterway they've already built. Piling sand in heaps can be done by gathering sand with hands or putting sand on top of the sand heaps infants already built. Gathering sand with hands is a behavior we can see when preschoolers get together sand in one place to make themselves feel the bulk of the sand and we can often spot this when they are to make small mountains. Attaching sand over and over again is the thing when children put sand on top of a heap of sand to make the existing bulk of sand mountains or dams they already built large. This generally accompany the behavior of children to make the sand stiff they heaped up, such as pressing or patting sand. Mixing sand was shown as three patterns, like beating it from high to low using a scoop or a spoon, turning those instruments drawing one same circle repeatedly and stirring equipment from left to right again and again in the process of mixing sand. And there is also cases only two of them were shown up. Scattering is an action we can see when infants spread the sand in the air after holding sand tightly by hands or picking very little amount of them up by fingers. Rubbing and pressing sand with fingers is a motion to touch or fumble sand. Straining sand through a sieve was shown when children swing a handle of sieve and they also used shelves when straining sand. Pressing sand is to make a circle-like lump of sand by pressing sand repeatedly. Boring a hole in the sand is divided into things like this; pressing sand to decorate a pile of sand they built or making a hole to show entrance in sand dams and sand heaps they made. Molding sand into a figure through a vessel is a behavior when children turn the vessel over slowly and carefully not to change the original shape after packing the vessel with the sand. Drawing lines are seen when infants draw diverse lines, circles and squares, using their fingers Second, preschoolers’scientific notion we found out in the study of so-na-mu classroom of blue kindergarten is divided into two; scientific idea and scientific misconception. Scientific idea includes color, touch, viscosity, solidity and inclination. scientific concept on color shows two facts; There are various colors in the sand and the color of sand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bsorption and evaporation of water in the sand. A scientific concept of touch is like these; White sand is soft and brown sand is moist. A scientific concept on viscous property is that white sand have little property of pressing together, brown sand have the opposite character. And every sand can be hardened into a mass when water is poured. The scientific notion on hardening is The amount of water to make the sand hard should be adequate. And an idea on inclination was confirmed like this, Water runs through the high to the low ground. Meanwhile, there are two scientific misconceptions children show in the sandy playground; wrong idea on absorption and vaporization. Infants in so-na-mu class looked like well knowing on the idea of absorption and evaporation, however when they are asked on the specific definition of the two concepts mentioned above, they didn't answer well. Mistaken notion on absorption is As deep as the depth of sand digged, the water in the hole can be more long maintained and Water fill the space among a grain of sand. Misconception on evaporation is Wet sand can be only dried by sunlight.;본 연구는 실외 모래놀이장에서 유아가 자연스럽게 놀이하는 상황을 통해 유아가 모래를 가지고 놀면서 보이는 놀이행동과 모래에 대한 과학개념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가 모래놀이장에서 보이는 놀이행동은 어떠한가? 2. 만 5세 유아가 모래놀이장의 놀이상황 속에서 보이는 과학개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 W구에 위치한 단설 유치원의 만 5세 소나무반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모래놀이에 참여한 유아 24명과 담임교사 1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09년 8월 31일부터 2009년 10월 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20회의 참여관찰을 하였다. 그 외에 교사와의 형식적·비형식적 면담, 유아와의 비형식적 면담, 사진 촬영, 비디오 촬영, 녹음을 통해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가 만들고 구성한 자료는 현장 약기와 녹화한 내용을 토대로 만든 현장기록과 면담 전사본이다. 수집한 자료는 Bogdan과 Biklen(2006)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푸른 유치원 소나무반 유아가 모래놀이장에서 보이는 놀이행동은 파기, 쌓기, 섞기, 뿌리기, 주무르기, 거르기, 뭉치기, 모양 찍기, 구멍 뚫기, 선 그리기로 나타났다. ‘파기’는 수로나 웅덩이를 만들기 위해 모래를 파는 행동을 중심으로 관찰할 때, ‘손으로 파기’와 ‘삽으로 파기’로 나타났다. 손으로 파기는 수로에 물이 골고루 흐르도록 하기 위해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모래를 쓸어내어 수로 바닥의 높이가 균등해 지도록 하는 행동이다. 삽으로 파기는 수로를 만들기 시작할 때 긴 삽으로 모래바닥에 흔적을 만들며 깊숙하게 파는 행동과 수로를 확장하기 위해 웅덩이를 아래로 깊이 파거나 이미 파인 웅덩이를 옆에로 길게 팔 때 나타났다. ‘쌓기’는 ‘손으로 모으기’와 ‘덧대기’의 방법으로 모래를 쌓았다. 손으로 모으기는 손으로 모래를 한 곳에 모아 모래의 부피감을 느낄 수 있도록 쌓는 행동으로 유아들이 산을 만들 때 주로 나타났다. 덧대기는 산이나 댐을 높고 크게 만들기 위해 이미 쌓인 모래더미 위에 모래를 더 올릴 때 나타나는 쌓기 행동이다. 이 두 가지는 보통 모래를 쌓은 후에 손으로 누르거나 토닥여서 모래가 보다 견고해 지도록 하는 행동을 수반한다. ‘섞기’는 삽과 숟가락을 사용하여 모래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치기’, ‘동그란 원을 그리듯 돌리기’, ‘좌우로 젓기’로 나타났다. 세 가지 행동은 모래를 섞는 과정에서 한꺼번에 나타나기도 하고, 두 가지가 함께 나타나기도 했다. ‘뿌리기’는 손으로 모래를 움켜잡거나 손가락으로 모래를 집어 손이나 손가락을 펼쳐 모래가 공기 중에 퍼지듯 떨어지게 하는 행동이다. ‘주무르기’는 유아들이 모래를 반죽하듯 손으로 만지거나 주무르는 것이다. ‘거르기’는 체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행동으로 모래를 거를 때 유아들은 체의 손잡이를 잡고 좌우, 위아래로 흔들거나 삽을 이용하기도 했다. ‘뭉치기’는 두 손 안에 모래를 넣고 힘을 주어 여러 번 누르기를 반복하다가 모래가 점점 뭉쳐지면서 동그랗게 빚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모양 찍기’는 모래를 그릇에 가득 담고 난 다음 삽이나 손으로 모래를 판판하게 편 후, 그릇을 모래 바닥에 뒤집어 손으로 그릇을 천천히 위로 빼서 모양 찍기를 완성하는 것이다. ‘구멍 뚫기’는 모래더미를 장식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모래를 살짝 누르는 것과 댐과 산을 만들 때 통로를 만들기 위해 큰 구멍을 뚫는 것이 있다. ‘선 그리기’는 유아들이 손가락을 모래에 대고 움직이며 선, 원, 사각형 등의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둘째, 푸른 유치원 소나무반 유아가 모래놀이장의 놀이상황 속에서 보이는 과학개념은 과학자적 개념과 오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과학자적 개념은 색, 촉감, 점성, 경화(硬化), 경사로 나타났다. ‘색’에 대한 과학자적 개념은 ‘모래의 색은 여러 가지가 있다.’와 ‘물의 흡수와 증발에 따라 모래의 색이 변한다.’로 나타났다. ‘촉감’에 대한 과학자적 개념은 ‘흰 모래는 부드럽다.’와 ‘갈색 모래는 축축하다.’로 나타났다. ‘점성’에 대한 과학자적 개념은 ‘흰 모래는 뭉쳐지지 않고 갈색 모래는 잘 뭉쳐진다.’와 ‘모래에 물을 넣으면 모래가 잘 붙는다.’로 볼 수 있다. ‘경화’에 대한 과학자적 개념은 ‘모래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물의 양이 적절해야 한다.’이며, ‘경사’에 대한 과학자적 개념은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로 확인됐다. 반면 오개념은 흡수와 증발에 대해 나타났다. 소나무반 유아들은 흡수와 증발에 대해 잘 아는 듯 보였으나 개념에 대해 구체적인 질문을 했을 경우 잘 대답하지 못했다. ‘흡수’에 대한 오개념은 ‘모래를 깊이 팔수록 물을 오래 보존할 수 있다.’와 ‘물을 모래에 부으면 물이 모래 알갱이 사이로 들어가 고인다.’이다. ‘증발’에 대한 오개념은 ‘모래는 햇빛에 의해서만 마른다.’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4 D. 연구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유아 과학교육 = 7 1. 유아 과학교육의 중요성 = 7 2. 물리적 지식과 과학개념 = 9 B. 모래놀이 = 13 1. 모래의 특성 = 13 2. 모래놀이 행동 및 과학개념 = 15 Ⅲ. 연구방법 = 18 A. 질적 연구 방법 = 18 B. 연구 대상 = 19 1. 푸른 유치원 = 19 2. 소나무반 = 22 3. 교사 = 26 4. 유아 = 28 C. 연구 절차 = 30 1. 연구 과정 = 30 2. 자료 수집 = 30 3. 자료 분석 = 32 Ⅳ. 만 5세 유아가 모래놀이장에서 보이는 놀이행동 = 33 A. 파기 = 33 B. 쌓기 = 36 C. 섞기 = 39 D. 뿌리기 = 41 E. 주무르기 = 42 F. 거르기 = 44 G. 뭉치기 = 45 H. 모양 찍기 = 47 I. 구멍 뚫기 = 49 J. 선 그리기 = 51 Ⅴ. 만 5세 유아가 모래놀이장에서 보이는 과학개념 = 55 A. 과학자적 개념 = 55 1. 색 = 55 2. 촉감 = 59 3. 점성 = 62 4. 경화(硬化) = 67 5. 경사 = 69 B. 오개념 = 72 1. 흡수 = 72 2. 증발 = 75 Ⅵ. 논의 및 결론 = 79 A. 논의 = 79 B. 결론 및 제언 = 88 참고문헌 = 92 부록 = 98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22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만 5세 유아의 모래놀이 행동 및 과학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behavior patterns of 5-year-old preschoolers in the sandy playground and their scientific concepts-
dc.creator.othernameLee, Hyo Jin-
dc.format.pageⅸ,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