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8 Download: 0

소크라테스 윤리학에 기초한 도덕적 토의 활동 방향 모색

Title
소크라테스 윤리학에 기초한 도덕적 토의 활동 방향 모색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moral discussions based on Socratic ethics in order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habit of moral thinking and discussions
Authors
이보윤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현식
Abstract
본 논문은 도덕적으로 선한 사람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도덕교육이 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도덕적으로 사고하고 대화하는 습관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전제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도덕적 사고 습관과 도덕적 대화를 익히기 위한 수업 활동으로 소크라테스 윤리학에 기초한 도덕적 토의 활동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도덕적 토의 활동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그 출발점을 소크라테스의 윤리학에 두고, 소크라테스의 인간관과 인생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크라테스가 어떻게 살았던 사람인가를 잘 묘사하고 있는 대화편 「변론」을 분석하였다. 「변론」에서 소크라테스는 인간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은 영혼을 돌보는 일이라고 역설하고 있다. 영혼을 돌본다는 것은 자신의 정신과 사고를 끊임없이 반성적으로 통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성적 사고를 통해 자신의 의식을 치밀하게 검토하며 살아간 소크라테스의 모습에서 도덕적 숙고 모델의 전형을 찾고자 하였다. 소크라테스의 인간관과 인생관에 이어 소크라테스 윤리학의 일반적 주제들, 즉 덕, 지식 그리고 행복의 상관성을 고찰함으로써 소크라테스가 강조했던󰡐영혼을 돌보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크라테스는 덕이 부에서 오지 아니하고 오히려 부와 그 밖의 모든 것을 공생활이나 사생활에 있어서 진정 인간에게 가치 있는 것이 되게 하는 것이 덕, 즉 탁월성이라고 주장한다.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덕은 어떤 특정의 일에 있어서 능함을 의미하며 인간의 덕은 인간으로서의 기능을 탁월하게 발휘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의 기능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미 규정을 하지 않고 다만 인간의 기능을 아는 것이 필요함을 설파하며 아테네 시민들과 청년들로 하여금 그 기능에 대하여 스스로 탐구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진리관에 바탕을 둔 소크라테스의 윤리관을 상대주의적 진리관을 가진 소피스트들의 윤리관과 비교해봄으로써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소크라테스가 인간의 기능에 대하여 탐구하도록 한 것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마땅히 따라야 하는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진리가 존재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는 인간과 인간의 삶에 있어서 참되고 선한 것, 불변적이고 본래적인 가치가 있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했다. 소크라테스는 우주의 운행에 법칙이 있는 것처럼 인간의 행위에도 보편적인 원리가 있다고 믿고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자기 행위의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마땅히 따라야 하는 보편적인 진리가 있다고 믿고 이러한 진리가 만인에게 개방되어 있음을 선언한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시민들을 진리에로의 여행에 초대했다. 소크라테스가 아테네의 시민들을 진리에로의 여행으로 초대하는 방식인󰡐대화󰡑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진리에로의 여행에 필요한 것은 지혜에 대한 사랑이며 지혜에 대한 사랑의 행위는 '대화'로 나타난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대화'는 대화 참여자들 모두가 진리에 무지한 자라는 공통된 인식 아래에서 이성에 의해 대화의 제 단계에 대한 객관성과 보편성을 검증하면서 합의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진정으로 의미 있는 대화는 상대자를 있는 그대로의 현존으로 인정하고 그의 의도에 귀를 기울이며 양자의 사이에 생동하는 상호성이 생기는 대화이다. 본 연구는 상대방의 영혼을 깨워 스스로 진리를 깨닫도록 하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대화를 실현한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소크라테스는 질문을 통해 상대방의 생각에 모순과 혼란이 있음을 드러나게 했는데, 이러한 대화 방식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은 반어, 대화술 그리고 산파술이다. 반어는󰡐무지의 지󰡑를 통해 자신의 고유한 견해를 유보하는 일이고, 대화술은 끊임없이 시험하는 질문을 통해 대화 상대자를 난문(aporia)의 상황 속에 몰아넣는 대화의 기술이다. 산파술은 질문을 통하여 대화 상대자로 하여금 생산적 사고를 배태하도록 만드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대화 방식을 통해 소크라테스는 대화 상대자 스스로가 진리에로 나아갈 수 있도록 이끌어 주었다. 소크라테스 대화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 데에 이어서 소크라테스 대화법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은 대화 참여자들이 상호적이고 대등한 관계에서 서로의 의견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이의를 제기하고 반문하는 과정을 통해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마침내 객관적 합의에 이르는 역동적인 과정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소크라테스의 윤리학을 바탕으로 도덕적 토의 활동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대화법에 기초한 도덕적 토의 활동은 토의 참여자들이 끊임없는 질문과 대답을 통해 서로의 영혼을 각성시키고, 삶의 진리를 함께 추구하는 공동 탐구를 지향한다. 학생들은 도덕적 토의를 통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삶을 도덕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 이상과 부합되는 삶을 추구하는 구도의 여정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대화법에 기초한 도덕적 토의 활동은 도덕적 판단력의 단순한 발달보다는 학생들로 하여금 참된 자아를 인식하게 하고 보편적인 삶의 원리에로 나아가게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도덕적 토의 활동에서 수행해야 할 도덕교사의 역할도 보편적인 삶의 원리 추구를 돕는 조력자라는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도덕적 토의에서 교사는 학생을 진리 탐구의 주체로 인식해야 한다. 도덕적 토의에서 교사가 행해야 할 중요한 임무는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질문을 통해 학생들의 의식을 깨우고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의 사고 과정을 반성적으로 통찰하게 하는 것이다. 즉 도덕교사는 도덕적 토의를 이끌어가는 역할을 하되 질문을 통하여 학습의 주체인 학생 스스로가 생산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본 논문은 학생을 진리 탐구의 주체로 인식하는 도덕적 토의 활동을 모색함으로써 도덕 교과에서 이루어지는 도덕적 대화가 보다 역동적인 활동이 되도록 구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This study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moral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develop their habit of moral thinking and discussions in order to fulfill its goal of nurturing virtuous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moral discussions based on Socratic ethics as class activities in order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habit of moral thinking and discussions. First, with the starting point of Socratic ethics in setting the direction for moral discussions, the study examines Socrates' view of men and life. To this end, the Apology of the Socratic Dialogues is analyzed as the Apology describes Socrates' life well. In the Apology, Socrates argues that one should be foremost concerned with the soul, which means reflecting on one's mind and thinking incessantly. The study tries to seek the best example of moral thinking model through Socrates' life where he reviewed his thinking thoroughly by reflecting on himself in his lifetime. Second, the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virtue, knowledge and happiness which are general topics of Socratic ethics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caring for the soul' that Socrates emphasized. He claimed that virtue does not come from wealth, but from excellence that makes wealth and everything else valuable for men,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That is, virtue means excellence that enables men to perform their function well. He did not define the meaning of human function, but preached the necessity of knowing human function and encouraged the citizens and the youth of Athens to explore the function by themselves. Third, the study compares Socratic ethics based on universal and objective truth with Sophistic ethics based on relative truth to understand its significance. Socrates' argument of exploring human function stemmed from his belief that there exists universal and objective truth that every man must follow. He tried to obtain an answer to the fundamental question, "what is of the true, virtuous, invariable, and intrinsic value in human life?". He believed that there is a universal principle in human behavior just as there is a principle in the universe, and tried to find grounds for human behavior based on this principle. Socrates proclaimed that the universal truth that every man must follow is open to everyone, and invited the citizens of Athens to a journey toward the truth.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dialogue', the way that Socrates invited the citizens of Athens to the journey toward the truth. The journey needs love of wisdom which is manifested by 'dialogue'. The true dialogue is to make a consensus through the process that reason verifies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of each stage of dialogue under the recognition that every dialogue participant is ignorant of the truth. In addition, the truly meaningful dialogue is where its participants respect each other and listen to each other's intention, which leads to vibrant interactivity between them. The study makes a specific analysis of Socratic dialogue method that draws the true dialogue where its participants awake each other's soul to realize the truth by themselves. Socrates asked questions to reveal contradiction and confusion in his interlocutor's thinking. Such dialogue method centers around ironic method, elenchus, and maieutic method. Ironic method is to make people reserve their own opinions though 'awareness of ignorance', elenchus is to fall people into 'Aporia' by asking continuous questions, and maieutic method is to make people conceive productive thinking by asking questions. Through this dialogue method, Socrates led people toward the truth. Next, the study examines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Socratic dialogue method. His method is of pedagogical importance in that it is a dynamic process where participants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and ultimately make an objective agreement by raising questions about each other's opinions aggressively on an equal footing. Based on Socratic ethics examined so far, the study is able to seek the direction for moral discussions. Moral discussions based on Socratic dialogue method suggested in the study pursue the common goal of making participants awaken each other's soul through continuous questions and answers to seek the truth of life together. Moral discussions will enable students to have a moral perspective toward their life and go through a journey where they seek their life of moral ideal. Moral discussions based on Socratic dialogue method are aimed at helping students recognize their true self to go toward universal principle of life rather than simply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make moral decisions. Lastly, the study recognizes that the role of teachers in moral discussions is to help students seek universal principle of life. Teachers should consider students as an entity seeking the truth. The important task of teachers in moral discussions is not to provide knowledge, but to ask appropriate questions to awaken students and help them reflect on their thinking process by themselves. In other words, teachers should lead moral discussions while asking questions to help students develop productive thinking power by themselves. The study focuses on seeking moral discussions where students are the ones who explore the truth to make them more dynamic in moral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