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읽기학습부진 위험군 아동의 조기선별 및 조기개입의 효과 검증

Title
읽기학습부진 위험군 아동의 조기선별 및 조기개입의 효과 검증
Other Titles
The Effects of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at-risk of Reading Underachievement
Authors
박현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reening tests for children at risk of reading uncerachievement,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predicting reading skills, and to confirm the early-stage intervention program's enhancing effects on the children's reading capability.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55 elementary first grad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screening tests composed of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automatized naming(RAN), orthographic knowledge, and working memory were conducted. At the end of the school year, word recognition(word and pesudo-word), oral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s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reading skills. Results from these test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beginning of the year to verify how effectively the screening predicted the reading skills. To test the prediction abilities of screening system, I conducted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reading skills and screening tests. In addition, the screening results were able to predict the reading skills at the end of school year. In particular, word and pseudo-word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were very effectively predicted. Among the screening sub-tests, phonological deletion, digit naming, object naming, and sound-letter correspondence knowledge were determined as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However, it is of note that 12 screening sub-factors had a very high correlation with all reading skill predictor sub-factors, and in light of the mutual relevance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I concluded the it is worthwhile to consider working memory and other variables no integrated in the regression model. The second part of the research was guided by the screening results and was focused on the at-risk children. I developed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phonics instruction integrated with various other reading elements and tested its effects on improving reading skills. Fourteen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composed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18 non-participating children composed the comparison group. The two groups' word reading, oral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measures in May, August, and November for a total of three times, while pseudo-word recognition was only measured once in November.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two groups and to test the intervention program's effectiveness. Over time,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better the comparison group in word reading, oral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further accentuated as time continued to progress. However, when the final analysis was performed in November, only the oral reading fluenc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uggests that unlike word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fluency cannot be dramatically changed in a short period of time. Furthermore, when comparing the temporal changes of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ntinuously showed very significant progress during the entire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while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show much change, again proving the necessity of an early intervention.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pseudo-word reading skills based on one-way ANOVA.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arly intervention program can significantly improve children's reading skills. To further ascertain clinical implications besides statistical verification of our research hypothesis, ad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o discern how closely the children belonging to the risk group were in proximity with the normal group. Upon independent samples t-test, it was determined that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normal froup, but pseudo-word reading and oral reading fluency still showed a difference. This implied that early intervention is effective but a longer focused intervention would be required for developing the reading skills of the at-risk children to the normal level. The first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indings demonstrate the possibility for early screening by verifying that our multivariate and comprehensive screening test can effectively predict future reading skills. The second significance is that the research was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spanning about nine months for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school year. The third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is that,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early intervention with first-grad elementary students, secondary issues that could result from underachievement and be prevented by rescuing at-risk children at an early state. However, the limitations that exist with the current study period, tools, subjects, and procedur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future studies to continuously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학습부진 위험군 아동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검사를 구성하여 실제 읽기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지를 검증하고, 선별검사 결과에 따라 위험군에 속한 것으로 규명된 아동에게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조기개입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1은 조기선별검사의 예측력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 아동 155명을 대상으로 하여 음운인식, 빠름이름대기, 철자지식 및 작업기억으로 구성된 선별검사를 학년 초에 실시하였고, 선별검사 결과가 학년 말 단어재인(단어 및 무의미 단어), 읽기 유창성 및 읽기 이해력으로 측정한 읽기 능력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선별검사의 예측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선별검사에 포함된 모든 예측변수와 읽기 능력 변수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산출되었다. 또한 학년 초의 선별검사 결과를 가지고 학년 말의 읽기 능력 즉, 단어 읽기, 무의미 단어 읽기, 읽기 유창성 및 읽기 이해력을 매우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선별검사 하위 척도 중 음운탈락, 숫자 이름대기, 사물 이름대기, 소리-글자 대응 지식 등 4가지 하위요인이 유의미한 설명 변수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선별검사에 포함된 12개의 하위 요인과 읽기 능력을 측정하는 모든 하위 변수 간 상관관계가 매우 높고, 개개 독립변수 간의 상호관련성을 고려할 때 작업 기억을 비롯해 회귀모형에 투입되지 못한 나머지 변수의 설명력도 충분히 고려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연구 2에서는 선별검사 결과에 따라 읽기학습부진 위험군 아동으로 분류된 아동을 대상으로 발음중심법을 근간으로 하되 다양한 읽기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시행이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 14명과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아동 18명에게 5월, 8월, 11월 세 번에 걸쳐 단어 읽기,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력을 측정하였다. 단, 무의미 단어만 11월에 1회 시행한 후 두 집단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시행한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단어 읽기, 읽기 유창성 및 읽기 이해력 모두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수행이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욱 커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하지만 11월에 시행된 최종 검사 결과 읽기 유창성만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가 유의한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창성의 경우는 단어 재인이나 읽기 이해력과는 달리 짧은 시간 극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분리하여 시기에 따른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전체 프로그램 진행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당히 유의미한 진전을 보인 반면 비교집단은 크게 변화되지 않는 양상을 보여서 위험군 집단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이 다시 한번 입증되었다. 그리고 무의미 단어 읽기 능력의 집단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일변량분석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모두 종합할 때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읽기 능력을 유의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구 가설을 위한 통계 검증 이외에 임상적인 시사점을 얻기 위한 추가 분석을 통해 위험군에 속한 아동의 수행이 정상집단에 얼마나 근접한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시행한 결과, 단어 읽기와 읽기 이해력은 정상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무의미 단어와 읽기 유창성에서는 여전히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조기개입이 유효하기는 하지만 위험군 아동의 정상적인 읽기 발달을 위해서는 좀 더 충분한 기간 동안 집중적인 개입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로 첫째, 다변인으로 구성된 포괄적인 선별검사를 통하여 앞으로의 읽기 능력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음을 검증하여 조기선별의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는 것이다. 둘째, 연구 기간이 학년 초와 학년 말에 걸쳐 대략 9개월 동안 진행되어 단기종단형식을 취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조기개입의 효과성을 입증한 것은, 읽기학습부진 위험군 아동을 되도록 이른 시기에 구제하여 학습부진으로 인해 파생될 수 있는 이차적인 문제를 예방할 수도 있다는 실질적인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연구 시기, 도구, 대상 및 절차상의 문제를 안고 있는 만큼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조기선별검사 및 조기개입의 실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