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문학사 교육 방안 연구

Title
문학사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ntents and methods for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uthors
여경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nd to find solutions to position properly the status of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To this end, this thesis studies the current history of literature and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nd reviews the methodologies of literature history description and literature history curriculum separately. In chapter I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urriculum and the literature history curriculum was investigated. First, the literature history curriculum was investigated as a part of a literature curriculum, then, by observing the progress of Korean curriculum, the evolut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literature history curriculum was studied. Finally, the revised literature curriculum of 2007 was examined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literature history component to understand its status and future. In chapter III, literature history curriculum of 18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from the 7th revision of the scholastic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history curriculum were observed in terms of: how the scope of the Korean literature was set, how the periods of literature history were divided, and how the literature was categorized. The literature list of 18 textbooks was then observed to find problems with the selection criteria and describing methodologies. Through this process, the need of more revision and study of the 2007 revis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s was identified. The need for a cohesive set of rules for the elements in literature textbooks so as to limit the confusion of students whilst studying literature history was confirmed. In chapter IV,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chapter, methodologies of site instruction for educating literature history were studied. This chapter clarified that the literature history section should be independently categoriz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This could help students to achieve a greater understanding of literature history in its entirety by presenting it in a complete and systemic manner. This means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literature history should be delivered in one unified section instead of as dispersed pieces across various textbooks. Considering the needs of the literature history section, this thesis recommends section goals and directions. Also, in term of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literature history section, a student centered approach was chosen as a preferred methodology rather than of presentation centered approach. The literature history curriculum analysis and establishing an independent literature history section are significant in terms of providing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new direction in a literature history curriculum at schools. Also, enough revision and discussions of previously mentioned matters could be happen so that the contents of literature history curriculum of the literature textbook become adequate and systemized.;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사 교육의 제 위상을 정립하고자 문학사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사 교육에 대한 해결점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문학에 있어서 지식의 하나로 존재하는 문학사는 문학 교육에 있어서 문학의 보조적인 지식으로만 자리하여 그 위상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현재까지의 문학사와 문학사 교육 연구 논문들을 선행 연구로 삼았다. 선행 연구 검토는 문학사 기술방법에 관한 연구와 문학사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문학사 교육에 관한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의 연구가 대부분이고 실제적인 대안과 관련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모든 연구들이 문제의식은 있으나 구체적 대안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Ⅱ장에서는 교육과정과 문학사 교육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다. 먼저 문학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문학사 교육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수요목기서부터 제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의 문학교육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교육과정 안에서의 문학사 교육의 위상과 전개 양상을 파악해 보았다. 그 다음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문학교육 내용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점검해 보고, 개정 교육과정 안에서 문학사 교육의 위상과 전개 양상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문학사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때 연구의 자료로 삼은 것이 7차 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검인정 18종 문학 교과서이다. 이 장에서는 문학사 교육 내용을 크게 ‘한국 문학의 범위 설정, 문학사 시대 구분, 문학의 갈래 구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자료들을 검토·분석한 결과, 현행 문학사 교육 내용의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국 문학의 범위 설정의 문제, 문학사 시대 구분의 문제, 문학의 갈래 구분의 문제, 그리고 북한 문학과 재외 동포 문학에 대한 문제 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18종 문학 교과서의 작품 목록을 살펴보고 선정 기준과 서술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문학사의 제 요소들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재조명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문학사 학습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몇몇 요소들은 일관되게 규정되어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가 이를 반영해야 할 것임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앞 장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문학사 교육의 현장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앞서 살펴본 내용들을 통해 그동안의 문학사 교육이 문학교육의 작은 일부분으로만 또는 보조적 지식 정도로만 그 역할을 담당해 왔기에 문학사에 대한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하기가 어려웠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문학사 전반에 대한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문학 교과서에 ‘문학사 단원’을 독립적으로 설정해야 함을 밝히었다. 그동안의 교과서에서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문학사 관련 내용을 하나로 묶어 통합적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학사 단원 설정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단원의 목표를 설정하고 단원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제 문학사 단원의 학습 내용으로는 교사의 설명식 교수를 통학 학습이 아닌 학생들의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이 가능한 활동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습 활동의 방식을 택하였다. 학습 내용은 앞서 살펴본 문학사 교육 내용의 세 가지 범주인 ‘한국 문학의 범위, 한국 문학의 흐름, 한국 문학의 갈래’에 따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문학사 교육 내용에 대한 분석과 독립적인 문학사 단원의 설정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 현장의 문학 교육에 있어서 문학사 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설정해 볼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앞으로 이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논의가 이루어져서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문학사 교육 내용이 적절성과 체계성을 갖추게 될 것을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