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2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22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하루일과 동안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실제적-외현적 정서, 이들의 불일치정도에 따른 정서노동유형을 경력별, 담당연령별로 알아보았다. 또한 정서노동유형과 정서노동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보육교사의 실제적-외현적 정서는 어떠한가? 1-1. 보육교사의 실제적 정서는 경력별, 담당연령별로 어떠한가? 1-2. 보육교사의 외현적 정서는 경력별, 담당연령별로 어떠한가? 2.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은 어떠한가? 2-1.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은 경력별, 담당연령별로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은 정서노동요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1. 보육교사의 자연적 정서노동은 정서노동요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2. 보육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은 정서노동요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3. 보육교사의 내면적 정서노동은 정서노동요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11개의 어린이집 교사 28명을 대상으로 경력(1년 미만의 초임교사, 3년 이상의 경력교사)과 담당연령(만1~2세 영아반교사, 만4~5세 유아반교사)에 따라 같은 비율로 목적표집 하였다. 연구방법은 면담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2009년 8월 31일부터 9월 23일까지 교사 당 한차례씩 이루어졌다. 수집된 면담자료는 다음의 3가지 범주체계에 의해 분류되었다. 첫째, 보육교사의 실제적-외현적 정서를 분류하기 위해 Waston, Clark, & Tellegen(1988)의 PANAS(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를 한국판 긍정-부정 정서 척도의 타당화 연구로 수정한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2003)의 연구를 토대로 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Gilstrap(2005)의 ELS(Emotional Labor Scale)를 셋째, 정서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류하기 위해 Grandey(2000)의 정서노동요인을 번안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알아보고 X²검증과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루일과 동안 느끼는 보육교사의 실제적 정서를 살펴보면, 화, 불안, 기쁨, 애정의 순으로 긍정정서보다 부정정서를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실제적 정서는 경력별로 차이가 없었고, 담당연령별로 영아반교사는 긍정정서와 부정정서가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유아반교사는 긍정정서보다 부정정서를 훨씬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하루일과 동안 표현하는 보육교사의 외현적 정서를 살펴보면, 실제적 정서를 억제하고 표현하지 않는 것이 가장 많았으며, 열정, 기쁨, 화, 애정의 순으로 긍정정서를 부정정서보다 많이 표현하고 있었다. 외현적 정서는 경력별로 초임교사는 정서표현을 많이 억제하는 반면 경력교사는 긍정-부정정서를 모두 많이 표현하고 있었고, 담당연령별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하루일과동안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정서노동유형을 살펴보면, 표면적 정서노동, 자연적 정서노동, 내면적 정서노동의 순이었다. 정서노동유형은 경력별로 초임교사는 표면적 정서노동을 많이 경험하는 반면 경력교사는 자연적 정서노동과 내면적 정서노동을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정서노동유형은 담당연령별로 영아반교사는 내면적 정서노동을 많이 경험하는 반면 유아반교사는 자연적 정서노동과 표면적 정서노동을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하루일과 동안 경험하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과 정서노동요인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자연적 정서노동과 표면적 정서노동이 정서노동요인과 관련이 있었다. 정서노동유형별로 구체적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자연적 정서노동은 조직적 요인인 직무환경이 좋을수록, 상황적 요인인 사회문화적인 보육교사로서의 인식이 높을수록 많이 경험하였다. 표면적 정서노동은 개인적 요인인 정서적 탄력성이나 정서성, 정서표현능력이 높을수록, 어린이집에서 요구하는 정서표현규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많이 경험하였다. 내면적 정서노동은 상황적 요인인 사회문화적인 보육교사로서의 인식이 높을수록 많이 경험하였다.;The study concentrated on felt-expressed emotion that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during their daily routine and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depending on careers and child's ages that teachers are in charge of.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and the factors of emotional labor. The following are research problems. 1. What is the felt-expressed emotion of childcare teachers like? 1-1. What is the felt emotion of childcare teachers like depending on careers and child's ages that teachers are in charge of? 1-2. What is the expressed emotion of childcare teachers like depending on careers and child's ages that teachers are in charge of? 2. What is the types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like? 2-1. What is the types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like depending on careers and child's ages that teachers are in charge of?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and the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3-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factors of emotional labor? 3-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face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factors of emotional labor? 3-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factors of emotional labor?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28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11 all-day kindergartens in Seoul or KyungKi area. At the same ratio, they were purposefully grouped according to their careers(either newly appointed teachers with one-year working experience or teach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nd child's ages (either the age of 1-2 or the age of 4-5). I made use of interviews, require once per a teacher from August 31th to September 23th, 2009 and analyzed data through three category system. First, to classify childcare teachers' felt-expressed emotion, Waston, Clark, & Tellegen(1988)‘s PANAS(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 modified by Lee Hyun-Hee, Kim Eun-Jung, Lee Min-Gyu(2003)'s the Korean version of measure for positive-negative emotion was based on. Second, to classify the types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Gilstrap(2005)'s ELS(Emotional Labor Scale) and Third, Grandey(2000)'s the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s emotional labor were translated and used.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are obtained from collected data. The X²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are perform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during their daily routine childcare teachers's felt emotion was the order of anger, anxiety, happiness, and love. They felt more of negative emotion than positive emotion. There were not any differences in felt emotion depending on careers. In child's ages that teachers were in charge of, teachers of infants felt positive emotion as much as negative emotion. On the other hand, teachers of toddlers felt much more of negative emotion than positive emotion. In case of expressed emotion, during their daily routine childcare teachers tend to oppress their emotions. The order of expressed emotion was passion, happiness, anger, and love. They expressed more of positive emotion than negative emotion. There were not any differences in expressed emotion depending on the age that teachers take charge of. However, in terms of careers, newly appointed teachers smother their emotions and teach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working experience considerably express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Second, during their daily routine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d types of emotional labor, in the order of surface emotional labor, natural emotional labor and deep emotional labor. Whereas newly appointed teachers greatly encounter surface emotional labor, teach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working experience go through natural emotional labor. Moreover, teachers of infants felt more of deep emotional labor and teachers of toddlers faced natural emotional labor and surface emotional labo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and the factors of emotional labor was associated with factors of natural emotional labor and surface emotional labor. The greater the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 of working place and situational factors like recognition as socio-cultural childcare teachers, the greater the natural emotional labor. The higher the individual factors such as emotional elasticity, the ability to express emotion, and the recognition towards standards for emotional expression required by all-day kindergarten, the greater the surface emotional labor. And the greater the situational factors like recognition as socio-cultural childcare teachers, the greater the deep emotional lab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정서와 정서노동 = 5 1. 정서의 개념 = 5 2. 정서노동의 개념 = 7 3. 보육교사의 정서와 정서노동 = 9 B. 정서노동의 요인 = 11 1. 개인적 요인 = 11 2. 조직적 요인 = 12 3. 상황적 요인 = 13 C. 관련연구 = 14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 참여자 = 18 B. 연구도구 = 19 C. 연구절차 = 25 D. 자료분석 = 27 Ⅳ. 결과 및 해석 = 29 A. 보육교사의 실제적-외현적 정서 = 29 B.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 37 C.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과 정서노동요인과의 관계 = 39 Ⅴ. 논의 및 결론 = 43 A. 논의 = 43 B.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2 부록 - 1 연구 참여 동의서 = 60 부록 - 2 면담의 예 = 62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49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About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dc.creator.othernameKim, Ji Young-
dc.format.pageⅶ,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