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식품 평가 시에 소비자의 주관적인 태도 및 감정 개입여부와 감각 예민도와의 연관성

Title
식품 평가 시에 소비자의 주관적인 태도 및 감정 개입여부와 감각 예민도와의 연관성
Other Titles
Consumers’ perceptual process and sensitivity for food discrimination: comparison of affective and analytical approach
Authors
채지은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감정적이고 종합적인 식품 인지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친숙화 절차(familiarization procedure) 및 레퍼토리 그리드 방법(Repertory Grid Method, RGM) 인터뷰 과정을 개발하여 소비자들의 우유 시료에 대한 감각 예민도를 측정하는 차이식별검사와 소비자 감각 프로필 기술 수행 시에,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태도와 감정의 개입여부가 평가 예민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선호/감정적 인식전략을 유도하는 친숙화 과정을 선행한 동일-비동일 차이식별 검사 결과가 분석적인 친숙화 과정을 선행한 결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예민도를 나타냈다(signal detection analysis with beta-strategy, p<0.05). 연구 2에서는 일반화된 프로크러스테스 분석(Generalized Procrustes Analysis, GPA)과 다중 요인 분석(Multiple Factor Analysis, MFA)으로 시료간의 차이식별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선호/감정적 인식전략을 유도하는 질문 유형의 인터뷰 과정이 구성된 레퍼토리 그리드 방법(Repertory grid method)을 수행하였을 때 분석적 인식전략을 유도하는 질문 유형으로 수행한 경우보다 감각 특성이 매우 비슷하게 분석된 시료들간에 더 높은 차이식별 예민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식품의 종합적인 감각 특성에 대한 소비자 감각 평가 시에, 평가 이전의 친숙화 과정에서 유도된 평가 태도 및 인지 전략이 평가 시까지 전이되었고, 친숙화 과정을 통해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태도와 감정이 개입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시료들의 차이를 식별하는 감각 예민도가 더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감정개입이 없는 분석적인 감각평가 상황에서는 식별되지 못했던 매우 유사한 식품 시료들도 기호/선호와 관련된 주관적인 태도가 개입된 감정적인 감각평가 상황에서는 그 차이가 식별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검사원의 주관이 개입되지 않는 분석적인 관능검사를 사용했을 때 차이 식별이 되지 않는 식품들이라 하더라도, 소비자들이 자연스런 섭취 및 평가 환경에서 주관적인 태도로 평가했을 때는 이들 식품간의 차이를 감지하고 식별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Affective and analytical discrimination test and sensory profiling for assessing the ability of consumers to discriminate between milks with subtle differences were designed by applying familiarization and interview procedures to induce an affective/synthetic and analytical/synthetic perceptual strategy. In Experiment I, same-different discrimination tests employing an affective /synthetic perceptual approach (which is the normal consumer perceptual process) resulted in higher discriminability than tests that employed an analytical /synthetic approach(signal detection analysis with beta-strategy, p<0.05). In Experiment II, Generalised Procrustes analysis and multiple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affective attention/ hedonic interview in conjunction with repertory grid method resulted in higher discriminability between 6 milk products than the analytical reasoning interview approach.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awing consumers’ attention in affective modes enhances consumers’ perceptual sensitivity and might also provide a different way of differentiate foods in sensory difference tes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