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고등학교 ‘사회문화’ 및 ‘기술가정’의 가족 관련 단원 내용 분석

Title
고등학교 ‘사회문화’ 및 ‘기술가정’의 가족 관련 단원 내용 분석
Other Titles
A Content Analysis of the Family-Related Units in High School Textbooks 'Social & Culture' and 'Home Economics' : from the Theoretical Viewpoint of Structure
Authors
김민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훈
Abstract
본 연구 목적은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와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족관련 단원에서 가족이 어떠한 관점으로 접근되어 있는지를 구조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으로 비교분석하여 가족 관점에 대한 교과서의 개선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문과 참고자료, 사진과 그림을 대상으로 가족구조, 가족역할, 발달주기, 가족관계, 노후적응, 결혼과 출산이라는 6가지로 분석요소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의 대단원 ‘공동체 생활과 지역 사회’에 속한 ‘가족 생활과 친족 관계의 이해’와 대단원 ‘인간과 문화 현상의 이해’에 속한 ‘문화의 속성과 일상 생활의 이해’ 중, ‘혼인과 가족 및 친족’에 관한 부분을 가족구조, 가족역할과 관련된 내용에서 구조기능론과 갈등론 관점으로 얼마나 표현되어 있는지 본문과 참고자료를 통하여 심층 분석하고 또한 가족 구조와 가족역할에 관련된 내용을 사진과 그림, 본문과 참고자료의 가족의 예를 통하여 계량 분석한다. 둘째,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의 대단원 ‘공동체 생활과 지역 사회’에 속한 ‘가족 생활과 친족 관계의 이해’와 대단원 ‘인간과 문화 현상의 이해’ 에 속한 ‘문화의 속성과 일상 생활의 이해’ 중, ‘혼인과 가족 및 친족’에 관한 부분을 갈등·가족문제 해결, 노후적응, 성·이성교제 및 배우자선택과 결혼, 부모됨과 출산 및 자녀양육과 관련된 내용에서 구조기능론과 갈등론적 관점으로 얼마나 표현되어 있는지 본문과 참고자료를 통하여 심층 분석한다. 셋째, 고등학교 교과 중 가족을 다루고 있는 기술·가정 교과서를 선택하여 위의 사회·문화 교과서를 분석한 방법과 동일하게 분석한다. 기술·가정 교과에서 분석 범위에 해당하는 가족 관련 단원은 ‘가정 생활의 설계’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 분석에서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 ‘가족 생활과 친족 관계의 이해’ 단원과 ‘문화의 속성과 일상 생활의 이해’ 단원의 관점을 비교해본 결과 다섯 가지 분석요소 모두에서 갈등론적 가족 관점이 구조기능론적 가족 관점보다 많게 나왔다. 갈등론적 관점이 가장 많이 서술된 분석 요소를 순서대로 정리해보면 가족관계, 가족구조, 결혼과 출산, 가족역할, 노후적응 이었다. 전체적으로 갈등론적 가족 관점이 총 122줄로 구조기능론적 가족 관점 30줄보다 무려 4배 이상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분석 결과 알 수 있었다. 둘째,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의 설계’ 단원의 관점을 비교해본 결과 갈등론적 가족 관점이 구조기능론적 가족 관점보다 많게 나온 분석요소는 총 4항목으로 가족역할, 가족구조, 결혼과 출산, 노후적응 순이었다. 구조기능론적 가족 관점이 갈등론적 가족 관점보다 많이 나온 분석요소는 총 2항목으로 발달주기, 가족관계 순이었다. 그리고 발달주기 분석요소에서 특히 발달론 관점이 갈등론적 가족 관점보다 약 6배정도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구조기능론적 가족 관점이 총68.5줄로 갈등론적 가족 관점 62.2줄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문화 교과서는 구조기능론적 관점(19.7%)에 비해 갈등론적 관점(80.3%)에 비중을 두어 서술하고 있는 반면에, 같은 가족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는 기술·가정 교과서는 구조기능론적 관점(52.4%)이 갈등론적 관점(47.6%)과 비슷하지만 더 많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교과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거울처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가족의 모습을 반영할 수 있어야하며, 그에 따라 현실에 적응가능한 가족 이념을 배우고 습득하여, 가족을 바라보는 현실적이고 올바른 관점을 제시해야 한다. 이것이 사회·문화 교과의 학습목표이자 기술·가정 교과의 목표이다. 이러한 점에서 보았을 때, 사회과는 가정과 보다 좀 더 변화는 가족의 모습에 맞추어 서술되어 있으며, 변화 속에 일어나는 여러 가족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초점을 두고 서술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문화 교과서 역시 현실과 괴리되거나 본문의 관점과 시각자료의 관점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었다. 사회·문화 교과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갈등론적 가족 관점은 현대 가족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적합한 것이다. 교과서는 이러한 적합한 관점을 바탕으로 가족에 일어나는 문제들을 구조기능론적 관점에서처럼 묵인하거나 부정적인 것으로만 보지 않고,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능동적이고 민주시민적인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학생들을 지도할 자료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현장의 적용측면에서는 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칠 때 현재 교과서의 구조기능론으로만 서술되어 현실 적용에 부족한 내용을 갈등론적 관점으로 접근해야한다. 이를 위해 최근의 현대 가족의 모습을 반영하는 인터넷자료나 신문자료 등의 다양한 매체자료를 참고해서 고등학생 수준에 적합한 건강가정 관점의 활동자료를 개발하여 문제해결 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high school 'social & culture'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within the 7th Curriculum from two theoretical viewpoints: structure functionalism and conflict theory. A quantitative and in-depth content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the six elements of family structure, family role, family relation, family life cycle, adjustment to the aged, marriage and childbirth. From the in-depth analysis the 'social & culture' textbook, a conflict theoretical viewpoint was reflected in the all of family structure, family role, family relation, adjustment to the aged, marriage and childbirth elements. Bur from the in-depth analysis the 'home economics' textbook, a conflict theoretical viewpoint was reflected in the family role, adjustment to the aged, elements and a structure functionalist viewpoint was found in the family structure, family relation, marriage and childbirth element. The family life cycle elements reflected a strong tendency of structure functionalism(family development theory). Th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consisting of pictures, illustrations, examples indicated that a structure functional viewpoint was prevalent in both the family structure and family role elements. Overall, conflict theoretical viewpoint were reflected more than structure functionalism in the 'social & culture' textbook. But structure functionalism and conflict theoretical viewpoint were reflected at similar level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teaching methods and future study were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