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송지윤-
dc.creator송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3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정서표현성, 사회적지지, 신체증상경험에 남·녀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고,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밝히며, 주요 변인들의 신체증상경험에 대한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중학교 1, 2학년 학생 44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Walker, Garber 및 Green(1991)의 척도를 바탕으로 한 신현균(2003)의 「한국판 아동 신체화 척도」, Olweus(1993)의 가해/피해 설문지를 이춘재와 곽금주(2000)가 번안한 「또래괴롭힘 척도」, King과 Emmons(1990)가 제작하고 하정(1997)이 번안한 「정서표현성 척도」, Dubow와 Ulman(1989)의 척도를 김명숙(1994)이 번안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사회적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또래괴롭힘, 정서표현성, 사회적지지, 신체증상경험의 남·녀차이를 알아본 결과, 친밀정서표현, 긍정정서표현, 친구지지, 신체증상경험이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네 변인 모두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정서표현, 또래괴롭힘 피해, 또래괴롭힘 가해, 부모지지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또래괴롭힘, 정서표현성, 사회적지지, 신체증상경험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또래괴롭힘 피해, 또래괴롭힘 가해, 친밀정서표현, 부정정서표현, 긍정정서표현은 신체증상경험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부모지지는 신체증상경험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친구지지는 신체증상경험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또래괴롭힘, 정서표현성, 사회적지지가 신체증상경험에 대해 갖는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요인으로 상정한 부정정서표현은 여학생의 신체증상경험만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환경적 요인으로 상정한 또래괴롭힘과 사회적지지 변인 중 또래괴롭힘 피해가 성별에 상관없이 신체증상경험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또래괴롭힘 가해와 피해경험이 신체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나 친구의 사회적지지가 조절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여학생의 경우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남학생의 경우는 또래괴롭힘 피해 정도가 부모지지와 상호작용하여 신체증상경험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친구지지와 상호작용하여 신체증상경험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별 차이를 고려한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정서표현성, 사회적지지, 신체증상경험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 변인간의 관련성을 토대로 청소년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중학생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to check the different effect of bullying, emotional expressiveness, social support and somatic complaints in male/female students 2)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four variables, and 3) to find the variables which would ease somatic complaints. For the study,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440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 1st and 2nd grades.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The measurement of Children's Somatization - Korean Version of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KCSI)," by Walker, Garber and Green(1991), edited by Shin, Hyun Kyun(2003), "Bully/Victim Questionnaire" by Olweus(1993), translated by Lee, Chun Jae & Kwak, Keum Ju(2000),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by King & Emmons(1990), translated by Ha, Jeong(1997) and "The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by Dubow & Ulman(1989), translated by Kim, Myung Suk(1994).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girls expressed friendliness, positive emotion better than boys. Girls had more support from friends than boys. Girls also showed more somatic complaints than boys. Second, victimization, bullying, expressing friendly emotion, expressing positive/negative emotion showed a correlation with somatic complaints. Parental support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somatic complaints. Third, for girls expressing negative emotion and victimiza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somatic complaints. However, victimiza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somatic complaints for boys. For boys, victimization buffered with parental support had positive relation with somatic complaints. But support from friends showed negative relation with somatic complaints for boy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variable that best explains the somatic complai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victimization for both boys and girls. Boys who are victims of bullying had eased somatic complaints when they have support from friends. Therefore, when a student shows signs of somatic complaints, checking to see if he or she is a victim of bullying would be a good idea. For boys, building a support from friends can help to ease somatic complai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신체증상경험 = 4 B. 또래괴롭힘 = 6 C. 정서표현성 = 9 D. 사회적지지 = 11 Ⅲ. 연구 방법 = 14 A. 연구대상 = 14 B. 측정도구 = 14 C. 분석방법 = 18 Ⅳ. 연구결과 = 19 A. 또래괴롭힘, 정서표현성, 사회적지지, 신체증상경험의 성별 차이 = 19 B. 또래괴롭힘, 정서표현성, 사회적지지, 신체증상경험 간의 관계 = 20 C. 또래괴롭힘, 정서표현성, 사회적지지가 신체증상경험에 대해 갖는 설명력 = 21 Ⅴ. 결론 및 논의 = 25 A. 요약 및 논의 = 25 B. 연구의 제한점 = 29 참고문헌 = 30 부록 = 35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09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생의 또래괴롭힘, 정서표현성, 사회적지지 및 신체증상경험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Bullying, Emotional Expressiveness, Social Support and Somatic Complai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Song, Ji Yoon-
dc.format.pageⅶ, 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