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승현-
dc.contributor.author최애나-
dc.creator최애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92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9216-
dc.description.abstractThe Generative Approach, suggested by E. Boardman, is a learning theory that previously and newly acquired knowledge which are interrelated has a process that generating and developing continuously. The Generative Approach, based on the constructivism, intends to student-centered and active teaching-leaning process. The students are able to do musical activity by expressing, performing and creating musical wor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creative activity teaching method, using Generative approach theory. For this, literary research on generative approach theory and pre-survey was conducted. This study tested the state and the awareness of the students, arranged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pplied it directly to the students. This study wa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210 students of the first year of Pusan D junior high school where the researcher practiced the teaching.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beforehand which indicates background knowledge, opinions of the students, and lesson plan, and follow-up questionnaires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s based on precedent studies and references. The educational effects after attending courses utilizing Generative Approach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three modes of presenting knowledge for musical concepts learning can make the students understand and utilize the concept easily. In Generative Approach, the contents of learning is a 'concept'. It pursues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from partial to total elements. For this reason, students can do musical creative activity more flexibly and easily, after concept learning. Second, students are able to apply the previously learned concepts extensively. The Generative Approach can make students learn previously learned musical concepts repetitively and extensively through systematic an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odel and lesson plan. It helps students to learn the musical concepts which they did not know exactly while doing creative activity and to create variation by themselves, by selecting various musical concepts. Third, the Generative Approach strengthens the bond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Enactive Mode, teachers' demonstration should be active. It promotes motivations and positive class atmosphere. It also forms cordial atmospher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promotes learning effectiveness. Forth, the Generative Approach can combine with other methods when a teacher establish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example, after learning musical concepts in the first period, students create variations in groups in the next period. The group activity can promote general understanding for learning by giving opportunities for reviewing and reorganizing what they learned. Students also are able to do integrat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on the process of combining each group's work and playing.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arrange a varie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reative music field through the generative approach theory and verify their effectiveness.;생성적 학습이론(Generative Approach)은 이전에 학습된 지식과 새롭게 얻어진 지식은 상호 연관되어 계속적으로 학습이 생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가진다고 주장한 보드만(E. Boardman)의 학습 방법이다. 이 생성적 학습이론은 구성주의에 그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생 중심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교수·학습을 지향하며 표현하고, 연주하고, 창작하는 음악적 활동을 통해 적극적인 창작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드만의 생성적 학습 이론을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 창작영역의 지도를 위한 교수·학습 계획안을 마련하고 실습하여 창작 영역 지도를 위한 생성적 학습이론 활용의 긍정적인 면을 밝히고자 하며 이를 위해 직접 실습하고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는 과정을 거쳤다. 우선 생성적 학습 이론에 대해 문헌연구를 하고 부산시 D중학교의 1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사전 질문지와 사후 질문지를 제작·배포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구로 사용 된 질문지는 수업이 실시되기 전 학습자들의 배경지식과 의견을 알아보는 사전 질문지와 제작된 교수·학습 계획안으로 수업 후 학습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한 사후 질문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질문지의 내용은 본 연구와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의 설문 내용을 참고하여 이것을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하여 구성하였다. 생성적 학습 이론을 활용한 창작 영역 교수·학습 계획안으로 수업 후 얻은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개념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지식 제시의 세 가지 양식은 학습자로 하여금 개념의 이해와 활용을 용이하게 한다. 생성적 학습 이론은 학습의 내용을 ‘개념’에 두고 있다. 부분적 요소의 개념을 통해 총합적 요소의 개념까지 포괄적인 음악개념의 이해를 추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개념학습을 한 후 학습자들은 창작 활동을 보다 유연하고 쉽게 해낼 수 있었다. 둘째, 과거에 배운 음악적 개념을 보다 심화하고 확장시켜 응용할 수 있다. 생성적 학습 이론은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교수·학습 모형과 계획안을 통해 이전에 학습한 음악적 개념의 반복·심화 학습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것은 창작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알지 못했던 음악적 개념들을 보다 명확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했으며 다양한 음악적 개념들을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하여 변주곡을 창작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셋째, 학습자와 교사 상호 호혜적인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작동적 양식에서의 교사 시연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의 능동적인 시연은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습 동기를 고취시키고 수업 분위기를 유연하게 한다. 이는 학습자와 교사간의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학습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 넷째, 교수·학습 전략시 다른 교수법과의 접목이 가능하다. 1차시의 음악적 개념 학습 후 2차시에서는 모둠별로 변주곡을 창작하는 시간을 갖는다. 모둠별 학습은 모둠원간의 학습한 개념들을 복습하고 정리하는 학습 재구성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전체적인 학습의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다. 그리고 창작 활동에서 한 모둠원이 창작한 변주곡을 다른 모둠원의 변주곡과 함께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시키고 연주하는 과정을 통해 통합학습과 협동학습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후속연구에서 생성적 학습 이론을 활용한 다양한 창작 영역의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4 D. 선행연구 고찰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창작교육의 중요성 = 8 B. 생성적 학습 이론 = 10 C. 생성적 학습이론을 활용한 창작 지도의 교육적 의의 = 24 D. Wolfgang Amadeus Mozart의 <작은 별>주제에 의한 12변주곡 = 27 Ⅲ. 연구 방법 = 30 A. 연구 대상 = 30 B. 연구 절차 = 30 C. 측정도구 = 31 Ⅳ. 생성적 학습 이론을 활용한 교수·학습 계획안 = 33 A. 교수·학습 계획안의 개발 과정 = 33 B. 교수·학습 계획안의 실제 = 35 Ⅴ. 분석 및 결과 = 56 A. 창작 수업 결과 = 56 B. 질문지 결과 분석 = 57 Ⅵ. 결론 및 제언 = 70 A. 결론 = 70 B. 제언 = 72 참고문헌 = 73 부록 = 78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466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생성적 학습 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1학년 창작 영역 지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for Composition with Application of the Generative Approach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reative Activities in Middle School Textbooks-
dc.creator.othernameChoi, Ae Na-
dc.format.pageⅹ,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