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현의-
dc.contributor.author손혜진-
dc.creator손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8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863-
dc.description.abstractSince September of 2005, the school counselors have been assigned to the schools in Korea, starting from all the offices of education, taking full charge of counseling the students without any subject given to teach. It has been done in order to prevent teenager crimes, internet addictions, and all kinds of deviations of teenagers including school dropouts. However, this attempt which came up as a solution to the teenagers at risk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s, with several aspects to be improved. For example, school counselors often face a role conflict, since they are uniquely given two different responsibilities; to be a teacher as well as a counselor. They are sometimes vulnerable to several kinds of mistreatment, such as a smaller salary, lower positions, or more demanding work, since the operation system for the school counselors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Yet, what is interesting is that some school counselors have been able to find their identity without much of the burnout symptoms in spite of the challenges they fa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ee if there were some factors that prevent the counselors from getting burnout. Since school counseling is still new to school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 difficulties but also to the positive structural aspects that could have contributed to the satisfactory establishment of the school counselor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challenges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the school counselors, highlighting the positive elements that might have prevented them from getting burnout even in the midst of the occupational stresses and difficulties. The subjects were two hundred and three school counselors in the offices of education or in schools.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and cause of burnout, the study made use of Maslach and Burnout Inventory (MBI) created by Maslach and Jackson(1981), which was translated by Sung-ho Park(2001). To evaluate the occupational stresses for the school counselors, the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made by Jayaratne and Chess(1981), which was translated by Bu-sung Yoon(2000).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Caplan, Cobb, French, Harrison and Pinneau(1980) and translated by Sung-ho Park(2001), were also used to check social support that the school counselors were able to recognize. First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of the inventories and the questionnaires by calculating Cronbach's alpha, finding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Secondly, to measure how the risk elements contribute to burnout, the study sets the systematic challenges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keeping burnout as a dependent variable, coming up with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rdly, to evaluate social supports and their impact on burnout of the school counselors, the study put the various social supports, having burnout as a dependent variable. Lastly, to se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cial supports on the occupational stresses that could have lead to burnout, the study di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ly, the occupational stresses of the school counsel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leading them to burnout. Secondly, the social supports that the school counselors themselves sense have a power to ease the stresses that might have caused burnout. According the study, it was evident that the school counselors could experience less burnout when they receive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or colleagues than when they do not. Thirdly, even when they were in the process of getting burnout, it turned out that the social supports that the school counselors got could ease the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burnout of the school counselors, which would eventually enhance the quality of the counseling that they give to the students, it is important to organize the social support structure that would allay the occupational stresses of the school counselors. Lastly, with studies like this, I hope that there would be more serious attempts to help the school counselors who are trying hard to reduce misbehavior and deviations of the students despite the poor working conditions that still need institutional compliments.;2005년 9월부터 수업시수 없이 학교상담만을 전담으로 하는 전문상담교사가 각 시·도 교육청을 시작으로 각급 학교에 배치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입시위주의 학교 교육과 핵가족화로 인한 가족 붕괴 등으로 인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 범죄, 인터넷 중독, 자살, 일탈행동, 학교중도탈락 등을 예방하고 이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위기 청소년에 대한 시대적 요구로 인해 시작된 전문상담교사제도는 현재 시행 초기로서 보완해야 할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와 상담자의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해야하는 업무의 특성상 역할갈등을 경험하기도 하고, 일원화된 업무 체계가 제시되지 않아 교육 행정가의 재량에 따라 산발적으로 업무를 요구당하기도 하며, 일반 교사와는 다른 보수 및 대우 또한 감수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이렇게 동일하게 열악한 업무환경에도 불구하고 어떤 전문상담교사들은 심리적 소진을 덜 경험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스스로 확립해가며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해내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이 가능한 이유를 심리적 소진에 이르게 하는 위험요소들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보호요소에서 찾고자 하였다. 즉, 학교 현장의 특수성과 전문상담교사제도가 시행 초기인 점 등을 고려할 때 전문상담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 뿐만 아니라 보호요소에 대한 탐색도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전문상담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직무환경의 위험요소가 심리적 소진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보호요소인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은 심리적 소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 위험요소의 하위요인별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심리적 소진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변인은 도전기회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반면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업무과다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전문상담교사가 업무를 수행할 때 자신의 능력을 개발시킬 수 있는 적절한 도전의 기회가 제공되는 직무환경의 여건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문상담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전문상담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줄이는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원천인 지지원 별로 심리적 소진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동료의 지지와 상급자의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부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의 지지는 심리적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전문상담교사는 상급자와 동료에게서 지지를 받을 때 심리적 소진을 덜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상담교사가 심리적 소진을 덜 경험하기 위해서는 상급자와 동료에게서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지지체계가 견고히 구축될 필요가 있다. 셋째, 전문상담교사들이 경험하는 직무환경의 위험요소가 심리적 소진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상담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줄이고 예방하여 궁극적으로는 상담을 받는 학생들에게 질 높은 상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문상담교사가 자신의 직무환경에서 자신의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도전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사회적지지 체계가 조직적으로 구성되어 직무환경이 전문상담교사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시행 초기에 있어 불가피한 제도적 미흡함과 학교 현장의 열악함을 감수하고 청소년들의 부적응행동을 예방하고자 노력을 다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전문상담교사 = 5 1. 학교상담 = 5 2. 전문상담교사 = 6 B. 전문상담교사의 심리적 소진(burnout) = 9 1. 심리적 소진(burnout)의 개념 = 9 2. 전문상담교사의 심리적 소진 = 10 3. 심리적 소진과 직무환경의 위험요소 = 11 4. 심리적 소진과 사회적 지지 = 13 Ⅲ. 연구 방법 = 18 A. 연구 대상 = 18 B. 연구 도구 = 20 1. 심리적 소진 = 20 2. 직무환경의 위험요소 = 21 3. 사회적 지지 = 22 4.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위험 관련 실태조사 문항 = 23 C. 연구 절차 = 24 D. 자료 분석 = 24 Ⅳ. 연구결과 = 25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및 상관 = 25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 25 2. 주요 변인들의 차이 분석 = 26 3. 주요 변인들의 관계 분석 = 28 B. 연구 가설 검증 결과 = 30 1.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에 대한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 30 2.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에 대한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 31 3.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간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 32 4.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위험 관련 실태조사 문항 결과 및 분석 = 34 Ⅴ. 결론 및 제언 = 43 A. 결과 요약 및 논의 = 43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0 부록 1. 설문지 = 56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22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전문상담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n the occupational stresses of the school counselors that could have lead to burnout-
dc.creator.othernameSon, Hye Jin-
dc.format.pageⅵ,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