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예술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Title
예술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Other Titles
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music department in the art high school : especially focused on the art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Authors
우경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희선
Abstract
본 연구는 개정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예술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르는 전문교과목의 운영 실태를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서양음악전공 전문교과목을 중심으로 각 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편성된 내용과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한국의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많은 영향을 끼친 미국 예비학교의 전문교과목 편성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예술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편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년 현재 전국 예술고등학교의 현황, 개정 7차 음악과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와 교육부기준 보통교과 및 전문교과의 편성·운영방법에 대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전국에는 25개교의 예술고등학교가 설립되어 있으며, 이 중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7개교의 예술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전문교과의 운영 실태를 설문 및 인터뷰로 조사하였다. 또한 미국 뉴욕에 위치한 맨하탄 음대, 줄리아드 음대, 메네스 음대에서 운영하는 예비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각 예술고등학교 음악과의 전문교과는 학교 재량에 의해 운영되고 있었으며 교과재량활동에 편성되어 있는 10단위 중 필요에 따라 전문교과로 대체하여 이수하고 있었다. 하지만 일부 예술고등학교에서는 음악과 교육과정에 편성되어 있는 전문교과명과 실제로 운영하는 내용이 일치하지 않음을 발견하였으며 각 학교마다 교육부에서 제시한 이수단위에 최대한 맞추어 운영하고 있었으나 예술고등학교의 설립취지와는 달리 전문교과보다 보통교과에 더 높게 배당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학생 개개인의 실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공실기 시간은 정규 수업 시간 내에 진행되기 보다는 학교의 상황에 따라 방과 후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학교마다 전문교과 이수단위가 많게는 50단위씩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 음대에서 운영하는 예비학교들을 분석한 결과 필수과목의 경우 우리나라의 예술고등학교에서 편성한 교육과정과 비슷한 부분이 많았으나 선택과목에서는 큰 차이가 있었다. 미국의 예비학교에 편성된 선택과목에는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분야의 음악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음대로 진학할 학생들에게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전문교과목들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7개교의 예술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는 학교활동을 살펴보면 7개교에서 공통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정기연주회, 향상음악회, 마스터클래스가 있다. 그 외에도 실기가 우수한 학생들을 선별하여 실시하는 실기우수자 연주회, 해외 음악 캠프, 강사(교수)음악회, 음악콩쿠르가 있다. 예술에 관한 체계적인 전문 교육을 통하여 전문 예술인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기 위해 설립된 예술고등학교의 목적에 맞게, 각 학교에서 실천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부에서는 각 학교가 자율적으로 정해진 시간 안에서 학교의 특성에 맞게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전문교과목을 개설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재량권을 확대해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에게 더 다양한 전문교과목을 접하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이 틀에 박힌 교과가 아닌, 외국의 예술교육처럼 활동적이고 학생들의 선택에 의해서 본인들이 필요한 수업 및 활동들을 접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생들 개개인의 실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공실기 수업은 전공실기 지도의 개별화 학습에 보다 적극적인 실천방법들이 필요하며, 현재 정규 수업시간 내에 전공실기 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들도 개인 레슨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수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예술고등학교의 재량으로 각 학교의 특성에 맞게 학생들을 위한 전문교과 및 학교활동을 개선시켜 나간다면 21세기 우리나라에 참다운 전문예술인들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This corresponding study analyzes curriculums amended through the 7th amendment to the art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and compare the following professional training courses to the conditions of actual operation. By analyzing the contents and operations of each school's music curriculum in relation to the subject of Western Music, and by studying the effect of Western Pre-school's core-curriculum structure on music classes in art high schools of Korea, issues in Korea's core curriculum structure can be found and resolved. In this study, literary research were conducted over the current status of national art high school, 7th revised art high school curriculum with standard curriculum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professional subject‘s organization and operating methods. There are 25 art high schools established nationwide, and surveys and interview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curriculum, were conducted on 7 selected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Also b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Music preparatory schools of Manhattan School of Music, The Juilliard School, Mannes College The New School for Music,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ere analyzed for comparisons. The research shows each professional curriculum was run by the discretion of each school and 10 credits of the discretionary activities, which needed to be completed are allowed to be replaced by the professional curriculum. In fact, the content of some music curriculum does not match the actual running and some music curriculum were not being followed. Moreover, each school was operating to meet the credit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a heavier focus on ordinary subject rather than professional subject was found unlike art high school 's founding principles. Applied Music, practical class to improve individual students practical ability, were placed during the after school hours rather than the regular school time causing increment up to 50 credits of professional subject throughout each school. The preparatory school of Music operating in the States shared similar required courses as the curriculum of Korean Art School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lective courses. Further, the elective courses of the preparatory schools in the States gave a diverse curriculum for greater exposure in the field of music and provided with professional courses for students wanting to progress to University of Music. Finally, seven individual schools promoting diverse musical experiences look at the following school activities. The 7 schools are common in holding concerts, conducting master classes and selecting outperforming students to conduct practical concerts, international music camp, concert conducted by professors, music competitions and etc. Each school should be practical in the following inform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education fulfilling to give preparation to grow as professional artists and the principles where each school was established. First,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 to expand the range of sole discretion of each school to open new courses and practice its curriculum. Secondly, a diverse courses specialized for students and efficient ways to operate such courses must be measured into a consideration. Such curriculum must allow students to select courses and activities solely on their needs and discretion. Applied Music, which is for enhancing individual student's ability to play music, requires more applicable methods for individualized studying of instruction. Also, schools currently running Applied Music during the regular school hours need to adapt such environment where organized private lesson can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teaching surrounding. In concluding this study, improving curriculums and activities adap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and mending the issues mentioned above, I strongly believe these corresponding efforts will be able to foster true professional artists in the 21st centu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