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영란-
dc.contributor.author김승리-
dc.creator김승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7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2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733-
dc.description.abstract지구온난화는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환경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지구온난화에 대한 교육의 관심이 증대하였고 그에 따라 교육과정이 개정되고 있다.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연구결과는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데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아직까지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식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교육과정 개발과 효과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하는 학교의 초등학생 117명, 중학생 126명, 고등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초등학생 112명을 별도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지구온난화에 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SPSS 1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wo-way ANOVA, Scheffe 사후검증, t-검정, 카이자승 검증,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식의 점수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 급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p< .05). 학교 급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은 지구온난화에 대한 교육과정이 학교 급별에 따라 체계적으로 설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지구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중 지식영역은 평균 3.56이었다. 학교 급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p< .01). 지식의 하위영역인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대한 지식의 점수는 평균 3.64이었다. 학교 급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가 없었다. 지식의 하위영역인 지구온난화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지식의 점수는 3.51이었다. 학교 급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p< .01). 셋째, 지구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중 태도영역은 평균 3.51이었으며 학교 급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가 없었다. 태도의 하위영역인 학생들의 행동의지 영역의 점수는 3.38이었다. 학교 급별에 따라서는 초등학생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에 차이가 있었다(p< .05).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태도영역의 하위영역인 기업의 책임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의 점수는 3.77이었다. 학교 급별에 따라서는 고등학생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간에 차이가 있었다(p< .01). 초등학생과 중학생,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가 없었다. 넷째,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식 중 지식영역과 태도영역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두 영역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1). 각 영역의 하위영역 간에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p< .01). 다섯째, ‘지구온난화 바로알기’ 라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진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초등학생의 인식이 높았다(p< .01). 그러므로 멀티미디어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지구온난화에 대한 환경교육이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구온난화는 일부지역의 환경문제가 아닌 세계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지구환경문제이므로 연구대상의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 국가의 학생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후속연구에서는 인식 중 태도영역을 조사할 때 학생들의 행동의지 영역 뿐 아니라 학생들의 실천도를 함께 측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세계적인 노력에 맞추어 우리나라 교육과정도 지구온난화에 대한 내용이 개발되어야 하며 학교 급별에 따라 체계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통한 환경교육이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Global warming is environmental problem coming out all over the world. Also in our country, Korea, there is promoted awareness on educating global warming, therefore curriculum is being amende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bout student's perception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revising curriculum. But the real situation is that the research of perception about the global warming is out of short. This study has a purpose for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e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on student's perceptions of global warming.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7 elementary school, 126 middle school, 132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part from these students, another 1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bout the global warming.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wo-way ANOVA, Scheffe post hoc test, Chi-Square 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assay with SPSS 15.0.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students' perceptions of the global warming was relatively hig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grade. By gender, boy's perceptions are higher than those of girls(p< .05). I think there wasn't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score by their grade because education program of the global warming was not designed systematically by their grade. Second, the score of students' perceptions on the field of knowledges about global warming was 3.5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grade and boy's perceptions are higher than those of girls(p< .01). The score of students' knowledge of the global warming's influences that is a subordinate province of knowledge areas was 3.6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grade and neither was by their gender. The score of students' knowledge of the way to reduce the global warming that is a subordinate province of knowledge areas was 3.5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grade. By gender, boy's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girls(p< .01). Third, the score of the area of students' attitudes of the perception on the global warming was 3.5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grade neither was by their gender. The score of students' volition to behave that is a subordinate province of attitude's areas was 3.38. By the grade, the scor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est and there was a gap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p< .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lso there was no particular difference by the gender. The score of the area of students' attitudes, which is a subordinate province of attitude's areas, about the responsibility of the company was 3.77. By the grade, the scor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st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p< .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neither was about gender. Forth, after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perceptions about global warming, the result wa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areas(p< .0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ubordinate provinces(p< .01). Fifth, after the educ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nderstanding global warm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who didn't get the education(p< .01). Therefore I think environmental education about the global warming should be carried out frequently through the multi-media educational programs. Global warming is environmental problem coming out all over the world, not the regional problem. So, enlarging the scope of the participant of study is required. Therefore, various students in other regions and countries should be participated in investigating on perceptions about the global warming. Also following study should investigate not only students' volition to behave but also students' standard of behavior. Our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in the contents of the global warming according to worldwide efforts and systematically designed by the grade. Also, for enhanc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multi-media programs should be carried ou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지구온난화 = 4 1. 지구온난화의 정의 및 원인 = 4 2. 지구온난화의 영향 = 6 B. 환경교육에서의 지구온난화 = 9 1. 지구온난화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 9 2. 교육과정에서의 지구온난화 = 10 C. 선행연구 = 11 Ⅲ. 연구 방법 = 14 A. 연구 대상 = 14 B. 연구 절차 = 14 C. 검사 도구 = 1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18 A. 지구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18 B. 지구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지식 = 20 1.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대한 학생들의 지식 = 22 2. 지구온난화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지식 = 27 C. 지구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 33 1. 학생들의 행동의지 영역 = 35 2. 기업의 책임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 40 D. 인식의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 = 43 E. 지구온난화에 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효과 = 45 Ⅴ.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2 부록 -1.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식 측정 설문지- 초등학생용 = 56 부록 -2.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식 측정 설문지- 중·고등학생용 = 60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70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지구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urvey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Global Warming-
dc.creator.othernameKim, Seung Lee-
dc.format.pagex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