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성희-
dc.contributor.author임미혜-
dc.creator임미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92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2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9257-
dc.description.abstractPeoples are getting interest about the informal science education as the 21st century is the society based on the knowledge that is required to have scientific literacy. As the general interest for the informal science education grows higher, the function of science museums gets emphasize as the best place for the informal science education. Although watching exhibitions is just the basic activity in science museums, it has significant meanings because it gives an enormous effect to the formal education. So,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ce of the internal primary science museums in aspect of the relevance between the contents of exhibitions and the curriculums in school. For this data, National Gwa-cheon Science Museum, National Seoul Science Museum, Seoul Science Park Exploration Center, LG Science Hall were selected as primary science museums.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in those museums were analyzed sophisticatedly and it is also focused on the relevance between school curriculums. And the needs of 150 teachers for the science museum are investigated. The following are the final results. First, The field of contents of the internal science museums shows various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foundation and the aims. The field with the largst proportion is different from the museum to museum. National Gwa-cheon Science Museum and LG Science Hall have fields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the most. And the National Seoul Science Museum and Seoul Science Park Exploration Center have those of basic science the most. Second, the exhibitions related to the curriculums in those museums weigh on the field of movement and energy, specially emphasized on the 6th, 7th, 8th grades. And there is 36.6% exhibitions related to works of elementary schools, 63.4%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So, it is required to develop exhibitions according to the contents, system, fields and the proportions of the works in each grade. And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exhibitions related to the curriculums of elementary schools that the elementary schoolchild can easily understand. Third, The teachers’ needs for the exhibitions are below. The teachers wants the science museums to have the exhibitions that are highly related to the curriculums in school, the explanation of the professionals when watching the exhibitions in the science museums. And regarding the way of exhibition, they need the form of personal experiences and also recognize that the museums need to exhibit all the range of curriculums in schools.;21세기는 과학적 소양이 중시되는 지식기반사회로 비형식 과학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학교 밖 비형식 과학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대표적인 비형식 과학교육 장소인 과학관의 교육적 기능도 점차 강조되고 있다. 과학관의 교육적 기능 활성화를 위해서는 과학관의 전시물이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도록 표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과학관 관람객의 대다수가 학생인 점을 감안할 때, 전시물의 내용이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하며 교육과정과 연계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는 전시 관람의 교육적 효과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학교교육을 이끄는 교사의 과학관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 것은 과학관과 학교 간 연계 활성화를 위한 핵심 요소라 할 수 있으며, 과학관에 대한 교사의 요구가 전시물에 적절히 반영되었을 때 교육적 효과는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과학관의 전시 현황을 전시물의 전시영역 및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과학관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여 과학관의 교육적 기능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과학관 중 국립과천과학관, 국립서울과학관, 서울특별시 과학전시관, LG사이언스홀을 선정하여 전시영역을 분석하고 교과 연계성을 살펴보았으며 초·중등학교 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주요 과학관의 전시영역 구성은 과학관의 설립목적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전시 영역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영역이 과학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국립과천과학관과 LG사이언스 홀은 첨단과학영역 전시물이 많았고 국립서울과학관과 서울특별시 과학전시관은 기초과학영역 전시물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과학관 관람시 특성화된 전시 영역을 선별하여 활용한다면 과학관 전시 관람의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대상 과학관들의 교육과정과 연계된 전시물은 운동과 에너지영역에 편중된 분포를 보였으며, 6학년, 7학년, 8학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다. 또한 초등과학과 연계된 전시물이 36.6%, 중등과학과 연계된 전시물이 63.4%로 학교급간 전시물 분포에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내용체계영역별, 학년별 비율을 고려한 전시물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초등과학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초등학생의 인지적 수준에 맞는 다양한 전시물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셋째, 교사의 과학관에 대한 일반적인 요구사항은 학생 수준에 맞는 전시물과 연계성 높은 전시물의 확보, 전문 해설사 인솔에 의한 관람방식 등이었다. 교과연계 전시물의 내용과 전시방법에 대한 요구도는 학교급간 차이를 보였는데, 초등학교 교사들은 심화학습내용과 최신과학내용을 원하는 반면 중등학교 교사들은 기본교과 내용의 전시를 원하고 있었다. 전시방법에 대한 요구도는 운동과 에너지영역은 작동체험전시, 물질영역은 영상과 작동체험전시, 생명영역과 지구와 우주영역은 영상전시와 실물전시 등을 요구하여, 내용체계 영역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교사의 전시물에 대한 요구들이 총체적으로 반영된다면, 학교 교육과의 연계성 강화를 통한 과학관의 교육적 기능은 향상 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비형식 과학교육(Informal Science Learning) = 4 B. 과학관의 개념과 기능 = 6 C. 과학관의 분류 = 7 D. 과학관 전시물 = 8 E. 선행연구 고찰 = 1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4 A. 연구 대상 = 14 1. 대상 과학관 = 14 2. 대상 교사 = 15 B. 연구 절차 = 17 C. 연구 방법 = 18 1. 과학관 전시물 분석 = 18 가. 전시물 분석 단위 = 18 나. 전시물 분석틀 = 19 다.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분석 = 20 2. 과학관에 대한 교사 요구도 조사 = 2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2 A. 과학관 전시물 분석 = 22 1. 전시영역 분석 = 22 2.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분석 = 24 가. 내용체계 영역별 연계성 분석 = 25 (1) 운동과 에너지영역 = 26 (2) 물질영역 분석 = 28 (3) 생명영역 분석 = 29 (4) 지구와 우주영역 분석 = 31 나. 학년별 연계성 분석 = 33 B. 교사의 요구도 분석 = 34 1. 과학관 활용에 대한 요구도 = 35 2. 전시물에 대한 일반적인 요구도 = 40 3. 교과 연계 전시물에 대한 요구도 = 42 Ⅴ. 결론 및 제언 = 47 참고문헌 = 49 부록1 분석대상 전시물 = 52 부록2 설문지 = 56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60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학관 전시물 내용 분석 및 교사 요구도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Exhibits in the Science Museums and Teachers' Needs-
dc.creator.othernameIm, Mi Hye-
dc.format.pageⅸ,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