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8 Download: 0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가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가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hadow Reading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Their Learning Attitudes : By targeting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uthors
류계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dow reading on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their Korean learning attitudes by carrying out shadow reading activities in the listening class as a plan to improve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for a short time since it is known to be most necessary to take college lectures out of the Korean classes for academic purposes. The experiment period was eight weeks in total. For the experimental group, after-listening activities were carried out to perform shadow reading requiring learners' attention and positiveness,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listening tests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conclusion was made on the research problem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through before a pre-test and a post-test, it was found tha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mproved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regardless of the activities. In additio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positive improvement of listening comprehension,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improvement rate that the control group, and especially the top group seemed to be affected most by the activities. Secondly,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 group showing the most improvement of listening comprehension was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top group, which indicates that shadow reading activities are more effective to the top group than ordinary activities. Thirdly, as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fter-listening activities on their Korean learning attitud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general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fter-listening activities on their Korean learning attitudes according to the high, middle and low groups of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 low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results than any other groups. This study is to propose shadow reading as a listening methodology because of the special purpose that a great deal of listening information has to be handled for advanced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s, in tha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shadow reading in teaching Korean. Besides it tried to clarify the usefulness of shadow reading by verifying the effect of those related activities in the listening class.;본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의 학습자들이 대학 강의를 듣기 위해 준비하거나 들음에 있어 가장 절실하다고 조사된 듣기 능력을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듣기 수업에서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 활동을 사용하여 이 활동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기간은 총 8주였으며, 실험 집단의 듣기 후 활동으로는 학습자의 주의 집중과 적극성이 요구되는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를 하였고, 통제 집단의 듣기 후 활동으로는 교재의 단계에 맞춰 주제에 관한 말하기, 어휘 확장하기, 자가 점검의 순으로 여러 가지 활동으로 학습자들의 흥미를 이끌어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과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장 적용에서 실시된 실험 이전과 실험 이후의 듣기 평가와 설문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에 대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을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비교한 결과 과제 활동에 상관없이 실험 집단 및 통제 집단에서 듣기 능력이 모두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본 연구의 수업이 학문 목적의 듣기 수업이 절실했던 학습자들에 요구에 부합하였고, 교재의 내용이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어 있고, 대학 수업에 꼭 필요한 활동을 할 수 있어 학습자들의 흥미와 집중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 집단 및 통제 집단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듣기 능력의 향상을 보였지만, 실험 집단에서 훨씬 높은 수치의 향상도를 보였으며 특히 상위 집단에서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 활동으로 가장 높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 및 통제 집단의 수준별 모든 집단에서 듣기 능력의 향상이 있었고, 가장 큰 듣기 능력의 향상을 보인 집단은 상위 집단의 실험 집단이며, 이는 전통적인 활동보다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로 활동하였을 때 상위 집단에서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듣기 후 활동이 실험 전·후 한국어 학습 태도에 미친 영향을 보면, 전반적으로 실험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듣기 후 활동이 실험 및 통제 집단의 상ㆍ중ㆍ하위 별 한국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면, 실험 집단의 하위 집단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설문 조사에서 하위 집단이 학습자들이 대학 강의에 막연한 두려움과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를 통해 한국어 학습 방법을 찾았고, 듣기 능력이 향상되면서 한국어와 한국어 듣기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는 점에서도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 연구가 아직 없다는 점에서 먼저, 듣기 수업을 통해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의 효과를 검증하여 효용성을 밝히려 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먼저 그림자처럼 말하기 방법을 사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효용성 검증이 되어야 하고 그 후 말하기와 읽기의 방법을 혼용한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 및 말하기’의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듣기 지문 없이 들리는 대로 따라 말할 때의 장점인 소리의 주의 집중도가 높다는 점과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를 할 때 불분명한 발음이 아닌 정확한 소리로 따라 말하고 내용을 따라갈 수 있다는 점에서 각 방법의 장단점이 서로 보완될 수 있기에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의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많은 양의 듣기 정보를 처리해야 하는 특수 목적상 그 듣기 방법론으로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를 제시하였다. 학문 목적의 듣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듣기 능력 또한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 과제가 개발될 필요성과 고급 학습자뿐만이 아닌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인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교재에 적절히 활동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연구가 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소리에 익숙하지 않아 소리를 듣고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부족한 초급 학습자에게는 권하지 않는 방법이었으나, 중ㆍ고급 학습자들의 말(발음, 억양 등)이 화석화(fossilization)될 수 있다는 점에서 화석화되기 이전의 초급 학습자들이 정확한 소리의 구별과 인식을 할 수 있도록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를 활용한 간단한 활동 과제나 교수법도 연구될 필요성이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