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9 Download: 0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

Title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Dysfunctional Belief, the Social Support and the Level of Job Stres
Authors
류명지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숙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직무스트레스의 관련 변인으로서,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500인 이상 사업장에 종사하는 214명의 일반사무직 남, 녀 근로자로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와 역기능적 신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역기능적 신념이 강할수록 개인이 느끼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다. 사회적 지지 정도와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낮다. 또한, 직무 스트레스에 있어서 역기능적 신념의 작용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사회적 지지의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역기능적 신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사회적 지지의 고저와 상관없이 역기능적 신념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던 것으로 보아, 역기능적 신념의 수준이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역기능적 신념이 직무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정도가 통계적으로 비슷한 반면, 사회적 지지가 낮은 집단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보다 역기능적 신념이 높아질수록 훨씬 더 많은 직무스트레스의 증가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사무직 근로자의 경우 역기능적 신념이 직무 스트레스를 설명하였고 그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과 결혼 상태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을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집단 별로 매개효과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성별과 결혼 상태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조절하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위 결과는 개인의 인지적 취약성 즉 역기능적 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관련되어 있으며, 이 둘 사이를 사회적 지지가 매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개인의 역기능적 신념을 약화시키고 조직 안팎의 사회적 지지 체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바,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고 경감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위 결과를 적용시킨다면 직무만족 및 조직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Dysfunctional beliefs and social support. Participants were 214 company employees working at large enterprises in Seoul Korea. Job stress was measured by extracted scale developed by Parker & Decotiis (1983) and revised by Suh (2002). Dysfunctional Beliefs was measured by Short Version of the DBT (Dysfunctional Beliefs Test) introduced by Cho (2006).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ISEL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developed by Cohen & Hoberman and revised by Kim (1987).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4.0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arative results based-on Demographic Information wa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main variables in the view of genders. Male worker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workers. On the contrary, female workers’ perceived social suppor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work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dysfunctional beliefs between genders. Next, in the point of ge, young workers’ perceived social support is higher than old worker’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job stress and dysfunctional beliefs among ages. Then, marital status tells about dysfunctional beliefs and social support partly. Married group had higher dysfunctional beliefs than non-married group. And married workers’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lower than that of non-married workers. Finally, work experiences could not tell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job stress, dysfunctional beliefs and social support. Secon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ysfunctional beliefs. Bu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dysfunctional beliefs and social support of white collar workers. Third, dysfunctional beliefs could explain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c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ysfunctional beliefs. In addition, gender and marital status could not moderate social support. As a result, if dysfunctional belief of white collar workers is high, their job stress is also high. However, if they have high social support, they feel less job stress. Thus, it seems effective to develop programs and policy that can enhance office workers' social support to reach goals of organizations. It is my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investigators and therapists to generate theoretical models and measure appropriate aspects of the social context to test and apply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