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하영-
dc.creator송하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2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7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1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70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과 학부모의 남·녀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의 지각성향을 비교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의 여교사는 능력이 있는 지에 대해 문헌고찰을 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남·녀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의 지각정도를 각 변인(성별, 학교유형별, 학교설립별, 성적별, 지역별, 연령별, 학력별)에 따라서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내 8개 중학교에서 2학년 학생 775명과 학부모 31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으며, 교사의 역할을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으로 보고, 질문지는 이 세 영역에 대해 4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변인별로 남·녀교사의 역할기대에 대한 차를 낸후, t - 검증과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에 의한 F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의 결과, 교직은 교사의 성에 의한 차이를 두지 않으며, 교사의 자질이나 교사의 역할행위는 교사로서의 능력에 따라 평가 되어진다. 또, 선행연구를 살펴 본 결과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의 역할에서 여교사는 교사로서의 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의 경우에 남·녀학생별은 생활지도영역에서 남학생은 남교사에게, 여학생은 여교사에게 높은 역할기대를 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다. 학교유형별에서는 학습지도영역과 학급경영영역은 남학교·여학교·남녀공학의 순으로 여교사에게 역할기대를 높게 하며, 생활지도영역은 여학교·남녀공학·남학교의 순으로 여교사에게 역할기대를 높게 하여, 학교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학교설립별에서는 공립학교는 생활지도영역과 학급경영영역에서, 사립학교는 학습지도영역에서 여교사에게 높은 역할기대를 하고 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지역별로는 학습지도영역과 학급경영영역에서 시내지역이 편입지역 보다 여교사에게 더 높은 역할기대를 하고 있으며, 학습지도영역과 학급경영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나타내므로 의미가 있다. 성적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부모의 경우는 성별, 연령별, 학력별, 지역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전 영역에서 의미가 없다. 세째, 학생과 학부모의 역할기대 지각 성향을 비교해 보면, 학생에 비해 학부모집단이 남·녀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지각을 높게 하고 있다. 학생의 경우에 학습지도영역은 여교사에 대한 기대가 매우 높으나 상대적으로 생활지도영역과 학급경영영역은 낮았으며, 학부모의 경우는 세 하위영역에서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여교사에게 더 높게 역할기대 지각을 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면, 남·녀교사의 활동에 대한 역할기대를 학생과 학부모 모두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비슷하거나 더 높게 지각함으로써 남교사를 선호하는 고정관념은 판단의 오류임이 확인되었고, 이는 교직여성화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여교사는 사명감을 가지고 교직에 임하여 남교사와 동등한 동반자로서 교직생활을 한다는 인식을 심어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ale, female teachers' role expectation perceived by 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study includes literature review on capabilities of female teacher in the middle school. The degree on male, female teachers' role expectation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the parents is surveyed and analyzed according to such factors as sexes, school types, school foundations, student’s academic records, regions, age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A survey through has been conducted to 775 second-year student and 310 parents in the 8 middle schools in the Pusan city area. This study described teachers' role as teaching activity,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The questionnaire has 42 items on those three groups of activities. To analyze the data, T-test and F-test by one-way ANOVA were employed after calculating the varia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role expectation according to each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review indicates that, in there activities on teaching, there is no difference a based on teachers's sexes. The qualifications or role activities of a teacher is evaluated from his ability. Preceding studies show that female teachers have been acknowledged as capable teachers in terms of teaching activity,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Second, incase of student, boys have positive role expectation on male teachers, girls on female teachers in guidance. Statistical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udents' sexes. Boys' school. girls' school, and coeducational school respectively have more positive role expectation on female teachers in teaching activity and classroom management. Girls' school. coeducational school, and boys' school respectively have more positive role expectation on female teachers in guidance. The differences between school types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public school has more positive role expectation on female teachers in guidance, classroom management, private school has more positive role expectation on female teachers in teaching activity. However, the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 at all. Female teachers in the city area are perceived more positively than those in the newly-included city area, in teaching activity and classroom management. Statically, there is significant in teaching activity and classroom management. In case of parents, statistically difference are not significant in sexes, age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regions. Third, when the difference of the inclina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parents is compared, the parents have more positive role expectation on male. female teachers than students do. Students have more positive role expectation on female teachers in teaching activity, but they have less positive role expectation in guidance, classroom management. Parents have more positive role expectation on female teachers in all field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and parents have shown the similarity in perceiving male, female s activities but sometimes showed of more positive perception on female teachers. Therefore, the fixed idea of preference for male teachers has been proved to be an error of judgement. This is a preferable phenomenon viewed from the feminization of teaching profession. Consequently, female teachers should make understood to deal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with a sense of mission for education and to lead teaching activities as an equal partner with male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3 Ⅱ. 이론적 고찰 = 5 A. 교사의 자질 = 5 B. 교사의 역할과 역할기대 = 11 C. 성차와 성역할 행동 = 20 D. 교직사회의 변화 = 28 E. 선행연구의 고찰 = 35 Ⅲ. 연구방법 = 40 A. 연구대상 = 40 B. 측정도구 = 41 C. 연구절차 = 43 D. 연구과제 = 44 E. 자료처리 = 45 F. 연구의 제한점 = 4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47 A. 학생 = 47 B. 학부모 = 55 C. 연구결과의 비교와 논의 = 62 Ⅴ. 요약 및 결론 = 69 A. 요약 = 69 B. 결론 = 72 참고문헌 = 75 부록 = 79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234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dc.title중학생과 학부모의 남, 녀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