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남상화-
dc.creator남상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3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7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0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7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평가의 한 방법으로서 교육적 비평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었다. 전통적으로 지배적인 평가방법이었던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평가방식은 교육실천의 복잡한 성격과 역동성을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다. 교육활동은 본질상 일련의 절차와 방법에 의해 통제될 수 없으며 교육실천의 교육적 의미들은 수치를 통해서 간단히 설명되거나 표현될 수 있는 것 이상이다. 더우기 평가는 교육실천의 개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이므로 교육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진단하는 것은 평가의 존재이유가 되는 것이다. 전통적인 교육연구가 과학적이고 실증주의적인 양적 연구의 입장이라고 한다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입장은 비과학적 성격의 질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 입장에 있어서는 교육과정을 문학과 예술작품과도 같은 맥락적인 산물로서 간주하며 교수는 예술에 가까운 활동으로서 이해된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수행되는 평가는 교육적 감식과 교육적 비평을 통해 이루어 진다 평가자는 감식가로서 교육현상의 특징들을 파악해내고 묘사, 해석, 평가로 구성되는 교육적 비평을 통해 그것을 표현하게 된다. 교육적 비평은 어떠한 의미에서는 이미 실행되어 온 평가방법이며 자연스러운 인간 행동 양식과도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 교육적 비평이 기존의 편협한 교육이해와는 달리 교육현상의 특성에 대한 적절한 인식으로부터 출발되었으나 실제 교육과정 평가방법으로서 적용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문제들이 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타당성, 일반화 가능성, 실천 가능성으로 나누어 검토하고자 하였다. 교육적 비평은 구조적 확증, 관련적 타당성, 교육상황의 관련자들이 참여하는 후단비평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교육적 비평은 정교화된 지각기술인 감식을 일반화하며 새로운 예견적 도식들을 만들어 내므로써 다른 교육상황을 다루고 미래를 예견하는데 도움을 준다. 교육적 비평의 실천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교육적 비평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법, 비용, 시간, 비평가 등에 관련된 문제들을 검토하였다. 교육적 비평이 정교화된 수준은 아닐지라도 이미 수행되어온 평가방식이라는 점과 교육실천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비평의 잠재력과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지니는 전문가로서의 역할과 잠재된 능력을 고려할 때 실천가능성은 충분하다. 교육적 비평이 교육과정 평가방법으로서 견고한 위치를 마련하고 교육실천의 개선을 위해 가능성을 유감없이 발휘하기에는 여러가지 현실적인 문제들이 남아있다. 교육내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들이 다양하게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육적 비평은 그동안 당연시 하면서 아무런 문제제기 없이 받아들여온 가정들과 교육상황의 의미들에 주의를 기울이게 할 것이며 교육실천의 개선을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적 비평에 대한 이론적이고 개념적인 연구와 실천적인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전문가로서의 의식을 지닌 교사, 대학원생, 교육학자들에 의한 사례연구들이 계속되며 이것을 통해 그 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교육상황의 의미들이 밝혀지고 교육실천의 개선을 위한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education criticism as a curriculum evaluation method. Traditional evaluation approach which was scientific and technical has a limitation to deal with subtle and complex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actice. Educational activity in itself is not controlled by a series of procedures and methods. And educational meanings of it are more things than are simply explained or expressed through statistical numbers. moreover the results of evaluation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directly and it is the reason why the evaluation exists to analyze and diagnose the circumstance of education accurately. If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research of education is scientific and quantitive that of this study is nonscientific and qualitative. In this viewpoint curriculum is regarded as the contextual result like literature and art and teaching is understood as almost artistic activity. The evaluation which is worked under the assumption like this can be achieved by educational connoisseurship and educational criticism. An evaluator can grasp the subtle and complex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henomena as a connoisseur and represent it through the educational criticism which is carried by description,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Educational criticism should be investigated on a few problems to be applied as a practical evaluation method of curriculum evaluation. This study examined these problems with respect to validity, generalizability practicability. Educational criticism can be tested by structural corroboration, referential adequacy, and meta-criticism which is carried by the various people related to educational phenomena. Also it is helpful to deal with other educational circumstance by generalizing connoisseurship, that is, elaborate skill of perception and making new connoisseurship, that is, elaborate skill of perception and making new anticipatory schemata. About the practicability of it, this study dealed with the problems which are related to the method of promoting the level of it, cost, time, and critics. The practicability of it is regarded as enough. Because, though educational criticism was not elaborate, it has been used in educational practice. And because of the potention of it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acice, the role of teachers as experts, and their potentional ability. Educational criticism has various problems to show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educational practice and to find its position as educational evaluation. There may be not only education inner problems but also social ones. But educational criticism will make us take attention to the untested propositions and educational phenomena which has been taken for granted. It will contribute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So both the theoretical study and practical study of educational criticism must be more needed. Especially teachers, graduate students, and scholars should study it continuously and clear up the meanings of educational phenomena. Then it will be a corner stone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교육적 비평의 개념과 사례 = 6 A. 교육적 비평의 개념과 특징 = 6 B. 교육적 비평의 사례 = 28 Ⅲ. 교육적 비평에 있어서의 문제점 = 30 A. 교육적 비평의 타당성 = 30 B. 교육적 비평의 일반화 가능성 = 38 C. 교육적 비평의 실천가능성 = 43 Ⅳ. 결론 및 논의 = 50 참고문헌 = 53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487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dc.title교육과정평가 방법으로서 교육적 비평의 가능성-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