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0 Download: 0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Title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Other Titles
Teach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Autonomy
Authors
정지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Curriculum autonomy has been a critical issue from the 6th National Curriculum to the 2007 Amended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Many studies on curriculum autonomy have been conducted. They examined the roles of nation, school boards, and schools in curriculum decision making and revealed factors and conditions constraining curriculum autonomy. These studies, however, are limit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few studies focused on teachers who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curriculum decision ma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autonom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do teachers perceive curriculum autonomy? Second, how much curriculum autonomy do teachers seek?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each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autonomy according to school level, region, the type of establishment, size of the schools, gender and teaching care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relevant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First, the concept of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was examined. Second,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n Korea was compared and examined with other countries, so the scope of the curriculum autonomy was established. Lastly, previous studies on curriculum autonomy were examined and its strengths and limits were discussed. A survey method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A total of 418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s of the survey were derived from the scope of the curriculum autonomy which was discussed in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set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school level, region, the type of establishment, size of the schools, gender and teaching career.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4.0, and as for the method of analysis, the respons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item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teach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autonomy and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search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each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autonomy according to depend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eachers' perception of curriculum autonomy about curriculum organiz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number of total instructional hours, the number of instructional hours for a subject and textbook publication were related with their demand for curriculum autonomy. For example, teachers perceived lack of curriculum autonomy about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he number of instructional hours for a subject. Therefore, teachers sought more curriculum autonomy about them. However,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have curriculum autonomy about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textbook publication. Thus, they wanted to show their curriculum autonomy more.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autonomy according to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school level, region, the type of establishment and gender. From these results,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about the cause of such differences in the teach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autonomy was ascertained.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urriculum autonomy at the state level in Korea within the context of the teach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autonomy. Furthermore, it presented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about the dependent variables that appear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achers' perspectives on curriculum autonomy. Such discussions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cope of the curriculum autonomy which would be appropriate in Korea and indicate the direction that needs to be headed for.;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논의는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그동안 이와 관련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이 연구들은 교육과정 자율권 발휘의 제약 조건들을 밝혔으며, 교육과정 의사결정권한의 분산에 따른 국가 수준과 시․도 교육청 수준, 학교 수준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논의되고 있는 교육과정 자율권은 그것의 범위나 수준이 모호하여, 그 의미를 명확히 하기 어려우며, 또한 국가 수준의 분권화에 논의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교육과정 자율권을 발휘하는 주체인 교사들의 인식이나 요구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탐구하였으며, 학교급, 지역, 설립유형, 학교규모, 성별, 교직경력, 직위에 따라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탐구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교육과정 자율권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교육과정 자율권이 논의된 맥락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세계 여러 나라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사례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 비교․검토하여 교육과정 자율권의 범위를 나누었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 자율권에 다양한 범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교육과정 자율권의 정도와 수준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그것의 강점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이론적 배경에서 논의한 교육과정 자율권의 범위로부터 도출되었으며,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학교급, 지역, 설립유형, 학교규모, 성별, 교직경력, 직위를 배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네 차례에 걸친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보완되었으며, 완성된 설문지는 2009년 3월과 4월에 걸쳐 배포 및 수거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중․고등학교를 모집단으로 한 41개의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520명의 교사였으며, 이들은 무선 표집 되었다. 이 중, 설문에 응답한 교사는 428명이었으며, 418명의 응답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기법으로는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각 항목의 응답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배경변인에 따라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교육과정 자율권의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교과목 편성 자율권, 총 수업시수 자율권, 교과 시수 배당 자율권에 대해 교사들은 교육과정 자율권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과목 운영 자율권과 교과용 도서 선택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교사들은 교육과정 자율권을 일부분 또는 충분히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라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조사한 결과, 교과목 편성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배경변인은 지역, 설립유형, 성별이었으며, 교과목 운영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은 지역 배경변인이었다. 그리고 교과 시수 배당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은 학교급 배경변인이었으며, 교과용 도서 제작 및 선택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학교급, 설립유형, 성별이었다. 한편 총 수업시수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배경변인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배경변인에 따라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게 된 원인과 유의한 차이의 의미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각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방식’과 ‘교육과정의 다양한 예를 제공하여, 그 중에서 단위 학교가 적절한 교육과정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둘째, 교과목 편성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국가 수준에서 필수 교과목이 결정되고 선택 교과목은 제시되어, 교사들이 제시된 선택 교과목들 중에서 적절한 과목을 채택하여 개설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교과목 편성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는 현행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제시한 교과목 편성 자율권의 범위와 일치하고 있었으나, 교사들이 교과목 편성 자율권의 실태에 대해서 교과목 편성 자율권을 전혀 발휘하지 못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문서화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실행되는 과정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교과목 운영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국가 수준에서 초‧중‧고등학교의 필수 교과목에 대한 운영 사항을 결정하고, 그 외의 교과목에 대한 운영사항은 교사들이 결정하는 방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교사들은 현행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제시한 교과목 운영 자율권의 범위나 교과목 운영 자율권의 실태에 대한 인식보다 더 많은 자율권을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총 수업시수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현재 국가 수준에서 제시한 총 수업시수 자율권의 범위로는 자신들의 자율권을 발휘하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재 국가 수준에서 허용하는 총 수업시수 자율권의 수준보다 더 많은 자율권을 요구하였다. 다섯째, 교과 시수 배당 자율권에 대한 요구 조사를 통해서는 교사들의 요구와 현행 교육과정이 추구하고 있는 방향이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교과 시수 배당 자율권의 현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자율권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국가 수준에서 제시한 자율권의 현황과 교사들의 인식, 요구에서 모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불일치가 나타나게 된 원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과용 도서 발행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현재 국가 수준에서 제시한 교과용 도서 발행 기준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이는 교과용 도서 발행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 조사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었다. 배경변인에 따라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조사한 결과,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역할과 교과목 편성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배경변인은 없었다. 그러나 교과목 운영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배경변인은 지역과 설립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총 수업시수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배경변인으로 성별 배경변인이 있었으며, 교과 시수 배당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학교급과 설립유형, 성별 배경변인에서 나타났다. 교과용 도서 발행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배경변인은 학교급, 지역, 설립유형, 성별이었다. 앞으로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배경변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가 어떠한지에 대한 맥락 속에서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 자율권의 실태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배경변인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교육과정 자율권의 범위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