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기업문화와 기업명성 간 관련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동일시의 매개효과

Title
기업문화와 기업명성 간 관련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동일시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Culture and Reput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Identification : focus on the Hist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rporate Reputation
Authors
강태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희원
Abstract
본 연구는 기업문화와 기업명성의 관계를 규명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동일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기업명성에 대한 조직학적 관점을 수용하여 기업정체성의 한 요소인 기업문화와 기업명성의 관계를 논하였고, 기업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사회정체성에 대한 지각을 높여주는 기업정체성의 또 다른 요소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명성의 관계 역시 주목하였다. 그리고 기업문화의 유형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구성원들의 인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여 기업명성의 구성에 대해 더욱 체계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따라서 기업문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동일시, 그리고 기업명성의 각 관계들을 살펴보고 기업문화와 기업명성의 관계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동일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확인하였다. 기업의 대표적인 무형자산인 기업명성은 다양한 공중들의 경험에 따른 기업에 대한 기대와 판단의 집합이며 기업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이다. 그리고 기업명성은 기업이미지보다 확고하게 기업에 대한 애착을 형성하고 경쟁기업들과 차별적인 기업순위를 보여주어 기업성과의 변화를 잘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업명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연구하는 대부분의 학자들은 기업명성이 기업의 본질인 기업정체성에 근거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조직학자들은 기업과 기업구성원들 간의 관계에 관심을 가져 기업구성원들이 형성하는 기업정체성의 실제적인 요소이자 맥락적인 요소인 기업문화를 강조한다. 견고한 기업문화는 기업내부의 인식을 동질화하고 바람직한 기업행동에 대한 보편적인 지침을 제공하여 기업명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한편, 기업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나 신념, 이념과 관습, 행동규범, 풍토 등의 집합적인 개념인 기업문화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적극적인 기업윤리라고 할 수 있고 기업문화는 기업윤리의 한 영향요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좋은 기업명성을 형성할 수 있다. 기업구성원들이 지각하는 기업연상은 기업정체성의 차원이며 매력적인 기업정체성은 기업구성원들이 기업과 동일시하는 태도를 형성하는 원천이 되며, 긍정적인 사회정체성에 대한 지각은 기업구성원들이 기업목표와 일치하는 의사결정을 하고 기업활동에 더욱 협조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기업문화에 근거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은 기업동일시를 통해 기업명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업문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동일시, 그리고 기업명성의 각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문화와 기업명성 간에 나타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동일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기업문화에 근거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여 기업명성에 대한 조직학적 관점의 연구를 확대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기업문화는 매우 포괄적이며 그 특성들이 매우 다양하여 본 연구는 학자들이 몇몇 기준에서 구분한 기업문화의 유형들을 살펴보았고 경쟁가치모형에 입각한 Quinn과 McGrath의 연구와 한국적인 특성을 반영한 신유근의 연구를 활용하였다. Quinn과 McGrath의 집단문화, 혁신문화, 과업문화, 위계문화를 포함하고 한국적인 특성을 고려한 신유근의 공동체 강조의 기준을 설명하는 공동체문화를 제시하였다. 한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구성에 대해 학자마다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으나 많은 연구에서 나타나는 Carroll의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의 네 가지 구성차원을 사용하였고, 기업동일시는 Mael과 Tetrick의 척도를 이용하였다. 기업명성에 대해서는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및 한경비즈니스와 차희원의 조사를 참고하였고 삼성전자, 유한킴벌리, SK텔레콤, 신한은행, 포스코건설, KT, GS칼텍스, 교보생명의 명성 높은 기업들과 STX, 한화증권, 동양건설의 명성 낮은 기업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11개의 기업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각 기업구성원들 30~50명에게 2009년 5월 18일~5월 27일 열흘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33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기업문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동일시, 그리고 기업명성의 각 관계들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동일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다섯 가지의 연구문제들을 설명하고자 설문자료들에 대해 다변인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모형방법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우선 주요변인들에 대한 측정항목들의 신뢰도를 분석하였고 대부분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위계문화에 대해 두 개의 항목들을 제거하였고 일반적인 위계문화와 다르게 해석할 수 있어 관리문화라고 명명하였다. <연구문제 1>은 기업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기업문화의 유형에 따라 네 가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바가 다르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사회적 책임의 인식에 대해 Quinn과 McGrath의 네 가지 기업문화 유형들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집단문화는 법적 또는 윤리적 책임과의 관계가 유의하였다. 또한 혁신문화는 경제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과업문화는 경제적, 법적 책임에 영향을 미쳤다. 관리문화는 경제적, 법적, 윤리적 책임과 유의한 관계에 있었고 공동체문화는 경제적, 윤리적 책임에 대해 유의하였다. 결국, 기업문화의 유형은 다양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인식수준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연구문제 2>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기업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였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특히 법적 책임에 대한 기업구성원들의 인식이 기업동일시의 수준과 유의한 관계를 가진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문화와 기업동일시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문제 3>을 통해 집단문화 또는 과업문화의 특성들이 기업동일시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기업동일시는 기업문화의 유형 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인식정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연구문제 4>는 기업동일시가 기업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기업동일시의 수준이 기업명성의 높고 낮음을 결정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 <연구문제 5>는 기업문화와 기업명성의 관계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동일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의 여부에 관하며 기업문화와 기업동일시 또는 기업문화와 기업명성의 관계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 그러나 기업동일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명성 또는 기업문화와 기업명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이는 기업문화의 유형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다른 결과변인을 통해 기업명성에 영향을 미치고 기업동일시는 기업구성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다른 선행변인들과 기업명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동일시보다 기업명성을 설명하기에 더욱 적합하다는 결과에서 기업정체성에 대한 기업구성원들의 인식이 기업명성의 구성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기업명성에 대한 정체성이론에 근거하여 기업문화와 기업명성의 관계를 정립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본 연구는 어떤 기업문화가 기업구성원들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과 기업동일시의 수준을 높여 기업명성의 확보에 기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서술적인 제언에 머물렀던 기업문화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명성의 관계에 대해 실제적인 접근을 하여 기업명성의 연구를 조직학적 관점에서 확장하였고 보다 실증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본질적인 요소와 기업명성이 매우 관련된다는 결과에 따라 기업은 기업문화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같은 기업정체성에 대한 기업구성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명성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like between the corporate culture and reputation and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identification. It argu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reputation and corporate culture as one element of the corporate identity through accepting the hist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rporate reputation, and also took noti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reputation and CSR as another element of the corporate identity to raise perception on the positive social identity of the members. In addition, it suggested the gr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members on the CSR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rporate culture to give a help for systemic understanding of the composition of corporate reputation. Therefore, it inspect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rporate culture, CSR, identification and reputation, and verified if the CSR and identification take a role of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culture and reputation. The corporate reputation is the aggregation of expectation and estimation on corporate that reflects the experiences of the various publics. Also, it makes possible to predict properly the change of the corporate performances because the corporate reputation forms more positive attachment to companies and shows the differentiating ranking of the companies in the competitors than the corporate images. Most scholars researching the elements of constituting corporate reputation point that the corporate reputation is based on the corporate identity. Especially, histologists tak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and its members and emphasize the corporate culture because corporate culture is a practical and contextual element of the corporate identity its members organize. As solid corporate culture assimilates the recognition within the corporate and offers the universal guideline for the desirable corporate behaviors, it maintains the corporate reputation. The typology of the corporate culture can influence the recognition of the CSR because the CSR is the active corporate ethics and corporate culture is an influential factor of the corporate ethics. Then, it is possible that the corporate culture influence on the CSR. Also, the CSR provides corporate with an opportunity for the positive recognition and the good reputation. The corporate associations its members perceive are the dimension of the corporate identity, and the attractive corporate identity comes to be a source for identification. The positive perception on the social identity enables members to make a decision corresponding to the aim of companies and cooperate with the corporate activities more actively. For that reason, the recognition of the CSR based on the corporate culture can influence the corporate reputation through forming the identification. Thus, the study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orporate culture, CSR, identification and reputation and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CSR and identification. The corporate culture is very expansive and has very diver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the typology of the corporate culture accepting the studies of Quinn and McGrath and of Yu Geun Shin. Then, the measurement of corporate culture include group, developmental, rational, and hierarchi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 model in addition to community culture reflecting korean own characteristic. In the mean time, this study used Carroll's CSR pyramid model which includes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and the items of identification by Mael and Tetrik. Also, it referred to the researches of KMAC and of Hankyung Business and Hui Won Cha and selected the companies having higher reputation(Samsung Electronics, Yuhan-Kimberly, SK Telecom, Shinhan Bank, Posco Constructions, KT, GS Caltex, Kyobo Life Insurance) and companies having lower reputation(STX, Korea Stock, Dongyang Construction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50 members of 11 companies through May 18th〜27th, 2009 and collected 334 materials.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rporate culture, CSR, identification and reput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through Baron and Kenny's 3-step regression model. At first, reliability of the measured items on the main variables showed significance mostly. However, two items of hierarchial culture were removed and it renamed as control culture because it might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hierarchy culture. aimed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culture and CSR and the recognition on the CSR had the different effects according to the typology of the corporate culture. Four typology of the corporate culture by Quinn and McGrath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general recognition on CSR. Particularly, the group culture had the significance on legal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and development culture had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the rational culture had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and legal responsibilities, the control culture had the significance on the economic, legal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and the community culture had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and legal responsibilities. Eventually, the typology of the corporate culture relates to the recognitive level on the various CSR. examined whether the recognition on the corporate CSR has the effect on the identification and showed the recognition of the members on the CSR, especially legal responsibility has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identification. Through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culture and ident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actes of the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have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 identification. Thus, the identification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ology of the corporate culture or recognition on the CSR. Meanwhile, inspected the effect of the identification on the corporate reputation and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identification might decide the higher or lower corporate reputation. To recognize whether the CSR and identification mediates between the corporate culture and corporate reputation, proved the mediation effect of the CSR between the corporate culture and identification or corporate culture and reputation. However, it showed that identification doesn't mediate between the CSR and reputation, or between the corporate culture and reputation. This means the typology of the corporate culture and CSR influence on the corporate reputation through other dependent variables, and the corporate identification mediates mediation between the corporate reputation and other predictor variables like internal communication. However, through the result that the CSR is more proper for explaining the corporate reputation than the identification, it was confirmed again the fact that recognition of members on the corporate identity is very important in the constitution of the corporate reputation. This study intend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culture and corporate reputation and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the CSR and identification. Then, it verified what corporate culture increases recognition of members on the CSR and identification so contributes on ensuring the reputation. Also, through the practical approach t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rporate culture, CSR and reputation which remained as the descriptive suggestions, it expanded the studies on the corporate reputation in the histological perspective and gain a foothold in more positive studies. Futhermore, the companies can grasp members' recognition on the corporate identity including the corporate culture or CSR and manage reputation eff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