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심·뇌혈관질환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수용자 귀인성향과 자기효능감의 효과

Title
심·뇌혈관질환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수용자 귀인성향과 자기효능감의 효과
Other Titles
Adapters' Attribution style on the Campaign message of Cardiac․Cerebrovascular Disease and the Effect of Self-Efficacy : Moderating Effect of the on Perceived the Community Capacity
Authors
권정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희원
Abstract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 주변에서도 건강 캠페인이 시행되고 있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예방 차원에서의 권고사항들은 단순한 정보제공이나 익숙한 생활습관 개선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그 효과가 한계로 지적되어오면서 캠페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메시지의 필요성을 제기해왔다. 이러한 건강캠페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론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수립 제안이 필요하다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캠페인 메시지 효과를 연구하였다. 따라서 심․뇌혈관질환예방 캠페인을 사례를 적용하여 수용자 귀인성향, 자기효능감, 그리고 지역사회역량이 메시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고자 했다. 수용자의 귀인성향을 독립변인으로,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메시지 선호도를 종속변인으로 그리고 지역사회역량 인식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즉, 이 연구는 수용자의 귀인성향과, 자기효능감, 메시지 선호도에 대한 인과관계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귀인성향과 자기효능감 간의 지역사회역량 인식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에 관한 것이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다단계 층화 표집방식으로 서울시민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인성향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귀인성향의 경우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쳤으나, 외적 귀인성향은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자기효능감이 메시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개인적 차원의 문제해결 프레임 선호도 에서는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나, 사회적 차원의 문제해결 프레임선호도 에서는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귀인성향과 메시지 선호도 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내적 귀인성향만이 부분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귀인성향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역량 인식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 먼저 내적 귀인성향의 경우 지역사회역량 인식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주효과만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외적 귀인성향의 경우 지역사회역량 인식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우선 귀인성향과 메시지 선호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갖는 영향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귀인성향이 자기효능감을 결정하며, 자기효능감은 행위의도나 행위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의미 있는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외적귀인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에 부적인 영향력이 나타나 외적 귀인성향이 강할수록 효능감도 적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귀인성향과 자기효능감 간의 지역사회역량 인식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내적 귀인성향에는 무의미하였으나, 외적 귀인성향에서는 지역사회역량 인식이 효능감을 강화시시는 조절변인으로 작용하였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건강캠페인의 메시지 효과측면에서 외적귀인의 경우 효능감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역사회역량 인식이 효능감을 강화시켜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 바 지역사회역량 인식을 높이는 역량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사회의 건강 다양한 건강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공공 의료 서비스와 같은 자원 접근도를 높인다면 자신의 건강문제는 나의 노력에 달려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만들어 본인 스스로 건강실천에 대한 효능감울 긍정적으로 유인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지역사회역량을 인식시켜주는 것이 자신의 지역사회에 대한 지지환경을 스스로 만들어나가게 해줌으로써 건강문제 또한 능동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효능감을 부여하게 해주는 실천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cently, the interest in health has been increasing, so campaigns for health can be found easily in our environs. However, most recommendations at the prevention level are for offering simple information or requesting improvement of the familiar living habits, so their effect has been regarded as a limit, and the need of the strategical message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a campaign. To overcome the limit of such health campaigns, a suggestion is needed for establishing the efficient communication message based on the various theories, so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effect of the campaign message using Attribution theory as the theoretical frame. Therefore, it intended to inspect adapters' attribution style, self-efficacy and the effect of Community capacity on the message preference through applying cases of the prevention campaigns for cardiac․cerebrovascular disease. Adapters' attribution style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self-efficacy as the mediating variable, message preferenc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perceived on the community capacity as the intervening variable.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on adapters' attribution style, self-efficacy and message preference, and under such a process, inspecting whether perceived on the community capacity between attribution style and self-efficacy has the moderating effect.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topic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300 Seoul citizens through multi stage stratified sampling, and the concrete results of the research topics are like followings. First, it showed that attribution style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Internal attribution style has the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but external attribution style has the negative one on self-efficacy. As for the effect of the self-efficacy on message preference, it showed positive effect on the problem-solving frame preference of the personal level, however, negative effect on that of social level. Second, as for the verification for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attribution style and message preference, only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attribution style was demonstrated. Finally, in the relation between attribution style and self-efficacy, as the result of analyzing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n the community capacity, it showed that internal attribution style has no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n the community capacity, and analyzed that it has only main effec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ternal attribution style, it has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n the community capacity. Judging from the research results, firstly in the relation between attribution style and message preference, influence of self-efficacy can be said very important, so it's regarded to be meaningful mediating variable in this study in that attribution style decides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has the higher possibility to be connected to the intention or change of the behavior. However, external attribution has the nega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so it means the stronger external attribution style is, the less self-efficacy is. But, as the result of analyzing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n the community capacity between attribution style and self-efficacy, though it's meaningless in the case of internal attribution style, it was shown that perceived on the community capacity acts as the intervening variable to reinforce self-efficacy in the case of external attribution sty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aspect of message effect of future health campaign, it was shown that external attribution has no self-efficacy, but perceived on the community capacity acts as the factor to reinforce self-efficacy, so reinforcement of the capacity will be needed to increase perceived on the community capacity. As the concrete strategy for these, if various health programs of the community to influence on the physical health are prepared, and if accessibility to resources like public medical service is raised, it's expected for individuals to result in inducing efficacy on health practice positively for themselves while making them recognize that their health depends on their own effort. Perceived on the community capacity will be a practical strategy to grant efficacy practicing health problems actively through making supportive environs to their community for themsel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