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8 Download: 0

가족 특성, 영아의 기질, 보육 경험에 따른 만 2세반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Title
가족 특성, 영아의 기질, 보육 경험에 따른 만 2세반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Other Titles
Social·Emotional Behaviors of Infants in the Two-Year-Class According to the Family Properties, Infants' Temperaments, and Their Child Care Experiences
Authors
김지선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social ․emotional behaviors of infants in the nurtur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ir family properties, temperaments, and child care experiences(amount of nurturing, properties of teacher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offer efficient info for understanding infants' social ․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heir family properties and child care experiences and their behaviors in the child care settings facilities. The research topic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heir family properties(income of family, academic background of mother, employment property)?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heir temperaments?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heir child care experiences they had? 3-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amount of nurturing(beginning time of nurturing, total nurturing periods, nurturing hours a week)? 3-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eachers(career & academic background of teachers, proportion of teachers to infants)? This study was done for mothers & class teachers of 306 infants in the two-year-class of day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Gyeonggi & Daejeon. For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n instrument(BITSEA) was used after changing and modifying, which summarizes briefly Infant-Toddler Social Emotional Assessment(ITSEA) developed by Briggs-Gowan & Carter based on the significant questions in reliability and validity. As for the infants' temperaments, an instrument was used after modifying, which was changed by Young Hi Choi from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TTQ) developed by Fullard, Madevitt, and Carey. In addition, measuring infants' family properties, and nurturing experience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s for mothers, and inspecting teachers' properties among nurturing experiences through questionnaires for teachers. In order to grasp the properties, and main variable distribution of the study object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on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In addition, ANOVA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 among groups by research topic.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like followings. First,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family(income of family, academic background of mother, employment property), it shows that infants of middle class are most obedient, and have fewer aggressive․defiant problematic behaviors. The higher academic background of mother is, the more an infant is capable sociably & emotionally, and the fewer their external problematic behaviors appear. It also shows that the infant of employed mom has fewer internal problematic behaviors and sleeps well in the nurturing facilities. Especially, an infant whose mom works in full time has fewer external problematic behaviors in the nurturing facilities. And, it shows that, the longer working hours of mother is, the fewer internal problematic behaviors infants have with sound sleep. Second, as the result of inspecting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heir temperaments, it shows that infants of fastidious temperament have lower social․emotional ability than those of gentle temperament. Third,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heir nurturing amount among nurturing experiences(beginning time of nurturing, total nurturing periods, nurturing hours a week), it shows that depressed or shrunk behaviors can't be seen frequently in the nurturing facilities when nurturing beginning time of two-year-class infants is before & after one year after their birth, while depressed or shrunk behaviors can be seen frequently when it is before 6 month after their birth. As for total nurturing periods, ther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nd, as for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nurturing hours a week, it shows that, the longer nurturing hours a week is, the higher grade they show in social․emotional ability, and the fewer problematic behaviors they have in depression, shrinking, rejection to the new things & control disorder. Finally, as the result of inspecting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teachers' properties(career & academic background of teachers, proportion of teachers to infants) among nurturing experiences, it shows that a teacher having much career recognizes infants do many social․emotional problematic behaviors and rare active․impulsive behaviors. In addition, the higher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is, the less obedient infants are with rare separation anxiety & rejection to the new things. As for the infants' social․emotional behaviors according to proportion of teachers to infants, ther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에 다니는 영아들의 가족 특성, 기질, 보육 경험(보육의 양, 교사의 특성)에 따른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족 특성과 보육 경험에 따른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과 영아들이 보육시설에서 하는 행동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은 가족 특성(가정 수입, 어머니의 학력, 취업 특성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은 영아의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은 영아가 경험한 보육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1.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은 보육의 양(보육 시작 시기, 총 보육기간, 주당 보육 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2.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은 교사 특성(교사의 경력, 학력, 교사 대 영아 비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대전에 위치한 어린이집 만 2세반에 다니고 있는 영아 306명의 어머니와 담임교사였다.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은 Briggs-Gowan과 Carter가 개발한 영아기 사회․정서 측정도구(ITSEA)를 신뢰도와 타당도에서 유의한 문항을 근거로 짧게 요약한 도구(BITSEA)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영아의 기질은 Fullard, Madevitt와 Carey가 개발한 걸음마기 기질 질문지(TTQ)를 최영희가 번안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 외에 영아의 가족 특성과 보육 경험을 측정하기 위한 내용은 어머니용 설문지를 통해, 보육 경험 중 교사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내용은 교사용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연구 대상의 특성과 주요 변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각 연구 문제 별로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특성(가정 수입, 어머니 학력, 어머니 취업 특성)에 따른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을 살펴본 결과, 가정 수입이 중산층인 영아가 가장 순종적이었으며, 공격․반항적 문제행동을 적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영아는 사회․정서적으로 유능하고, 외현적 문제행동이 적게 나타났다. 취업모의 영아가 내면적 문제행동을 적게 보였으며, 보육시설에서 수면을 잘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가 종일제로 근무할 때 영아는 보육시설에서 외현적 문제행동을 적게 하였으며, 어머니의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보육시설에서 내면적 문제행동이 적었고, 수면을 잘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기질에 따른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을 살펴본 결과,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가 순한 기질의 영아들보다 사회․정서적 유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 경험 중 영아의 보육의 양(보육 시작 시기, 총 보육기간, 주당 보육 시간)에 따른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을 살펴본 결과, 만 2세반 영아의 보육 시작 시기가 생후 1년 전후일 때 보육시설에서 우울하거나 위축된 행동이 적게 나타났으며, 생후 6개월 이전일 때 보육시설에서 우울하거나 위축된 행동을 많이 했다. 총 보육기간에서는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주당 보육 시간에 따른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서는 영아의 주당 보육 시간이 길수록 사회․정서적 유능성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우울․위축 및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 행동과 조절 장애에서도 문제행동이 적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보육 경험 중 교사의 특성(교사의 경력, 학력, 교사 대 영아 비율)에 따른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을 살펴본 결과, 경력이 많은 교사가 영아가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인지하였고, 활동․충동적인 행동은 적게 하는 것으로 인지하였다.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보육시설에서 영아는 순종적인 행동을 적게 보이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분리 불안 및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대 영아 비율에 따른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