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4 Download: 0

고등학교 지리교육 운영 실태와 재구성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Title
고등학교 지리교육 운영 실태와 재구성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uthors
최은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를 맞이한 우리의 세계는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교육도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인간을 양성하기 위하여 변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 ‧ 사회적 요구에 맞추어 고등학교에서는 2002년부터 제7차 교육과정이 도입되며,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는 교수 ­ 학습 자료인 교과서, 교수 ­ 학습 방법, 교육평가 등의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지리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즉, 교육과정, 교수 ­ 학습 자료, 교수 ­ 학습 방법, 교육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현행 지리교육 연구의 동향에 대한 서울시 및 겨기도 인문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학문으로서의 교과교육 연구가 실천적 장으로서의 학교 지리교육에 얼마만큼 적용되고 있는지, 또한 지리 교사들이 생각하는 적용 과정에서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현행 지리교육의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분석을 토대로 앞으로의 지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리교육 전판의 연구 동향에 대해 우선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고교 지리교사들의 현생 지리교육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이 인문계 고교 지리 교사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Microsoft Excel 프로그램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1) 교육과정 측면에서 교사들은 제7차 교육과정의 통합 사회과에 대해 전반적으로 반대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형식적인 단원별 ‧ 학년별 제 사회과 영역의 혼합 구성은 통합의 의미를 살리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사회과 관련 심화 선택 과목으로 교사의 수급을 고려할 경우 지리영역을 선택하게 되겠지만, 학생들이 지리교과를 어려워하기 때문에 선택하지 않을 수 도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지리교사들이 현행 한국지리 과목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기후, 지형, 도시 등의 단원을 제7차 교육과정의 심화 선택 과목인 한국지리에서 심도 있는 단원으로 선정하고 있다. 그러나 과다한 교과내용 또한 인지적 목표의 측면에서 지리교사들의 의견과 앞으로의 지리교육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이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으나, 기능적 ‧ 정의적 목표의 측면에 대해서는 교사들이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2) 교수 ­ 학습 자료로 대표적인 교과서의 경우, 지리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지리 교과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교과서 외의 학습자료의 사용 비중도 증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리 교과서의 단점으로 지적된 백과사전식의 지루한 서술에서 벗어나 지식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지리 교과서로 개선된다며 더욱더 효율적인 교과서 이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리교사들은 교과서 외의 학습 자료로서 참고서나 지리 전공 서적 등의 자료를 많이 이용한다고 하였는데, 좀 더 학생들이 실생활과 관련이 깊으며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학습자료의 개발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 교수 ­ 학습 과정에 있어 지리교사들은 고교 지리 교과의 내용이 너무 과다하여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 못하고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 반면 학생들에게 지리교과에 대해 흥미를 유발시키고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지리 교육은 엄격한 기주네 의거한 내용의 선정으로 분량을 축소시키거나 수업 시수를 늘릴 필요가 있다. 강의식 수업에 있어서도 계획적이고 준비된 발문을 통해 학생들에게 주제에 대한 환기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지리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4) 지리교육의 평가에 있어 교사들은 상대평가에 치중하였던 총괄평가 보다는 학습의 정도를 파악해 보는 형성평가를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기능적 영역도 지리교육에서는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평가가 수행평가이기 때문에 교사들은 수행평가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물로 지리교과의 수행평가가 답사보고서, 지리 관련 독후감 작성 등 수행평가의 의미를 살리는 경우도 있었으나 수행평가가 필요하다는 교사들의 요구와는 달리 단지 서술형 지필 평가에 머무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 이러한 모순은 수행평가의 실시에 있어 교사가 부담해야 할 학생 수가 너무 많은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 따라서 앞으로 수행평가는 다인수 학급을 고려하면서도 지리적인 안목을 키울 수 있는 질적으로 우수한 지리교과 수행평가 방법에 대한 전문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도입 시기에 있어, 학교 지리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지리 교사들이 올바르게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지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 및 개선하는 많은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review theoretical background of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teaching-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second, what is general view on the geography education by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how much the general subject education is applied to school geography education and what are the problems in applying it to schools : third, to find out what is perspective of geography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acher' view. The results is summerised as follows : 1) Teachers are generally against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of the 7th curriculum, because the formal mixed up of lessons and grades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can not be functioned properly it. 2) In terms of textbooks as a teaching-learning material, it is found that teacher tend to increase teaching materials other than geography textbooks. 3) Geography teachers who failed to use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due to the excessive amount of the contents of high school geography turned out that they teach students mostly in the traditional way, lecturing. 4) In evaluation, teachers proved to think more highly of formative evaluation than summative evaluation which lays stress on the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and pointed out geography education should deal with function domain as well as intelligence 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