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

Title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
Other Titles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child-peer interaction in free play time
Authors
안수연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y and frequenc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peer interaction and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tree play time. For this purpose, three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What are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free play time? 1-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quality and frequency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free play time by the gender of child? 1-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quality and frequency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free lay time by the frequency of child's moving from one play area to the others? 2. What are the child-peer interaction in free play time? 2-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quality and frequency of the child-peer interaction in free play time by the gender of child?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quality and frequency of the child-peer interaction in free play time by the frequency of child's moving from one play area to the others? 3.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quality and frequency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peer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main teachers, two assistant teachers and 40 children who were five years old enrolled at the kindergarten in Seoul City in high quality program of more than one year.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program was the 「Assess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by Unhai Rhee and Kisook Lee(1996). To evaluate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observation categories developed by Holloway & Reichhart-Erickson (1988) and Brown, Odom, & Holcombe (1996)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Pea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of SPSS program was appli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The final findings from these analyses in the teacher-child and child-peer interactions in free play tim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free play time is performed very positive. The teachers have more interactions with boys than girls. And the very frequent moving from the one play area to th others in free time leads to the lower teacher-child interaction frequency. 2. The child-peer interaction in free play time is performed very positiv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peer interaction between boys and girls . And the very frequent moving from the one play area to the others in free play time leads to lower child-peer interaction frequency and higher negative child-peer interaction. 3.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child-peer interaction. The positive teacher-child interaction has higher correlations with the positive child-peer interaction and the negative child-peer interaction.;본 연구는 유치원 일과 중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일어나는 개인 유아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과 또래에 대한 개인 유아의 상호작용 양상을 알아보고 두 변인간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다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양상은 어떠한가? 1-1. 유아의 성별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의 흥미영역 이동 횟수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2.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양상은 어떠한가? 2-1.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의 흥미영역 이동 횟수에 다라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3. 자유선택활동시간에 타나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은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교사와 유아, 유아와 또래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요인이 있음을 고려하여,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유아교육 기관으로 서울에 위치한 o 유치원을 연구대상기관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상기관의 만 5세 2개 학급에서 주교사 2명, 보조교사 2명과 남아와 여아 각각 10명 씩 모두 40명의 유아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이은해ㆍ이기숙(1996)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 행동은 Holloway 와 Reichhart-Erickson(1988)의 관찰범주와 이은해ㆍ이기숙(1996)의 교사와 유아간 상호작용 관찰범주를 사용하엿다. 유아-유아 상호작용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Holloway 와 Reichhart-Erickson(1988) 의 관찰범주와 Brown, odom과 Holcimbe(1995)의 또래간 상호작용 행동 관찰범주를 기초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성별과 유아의 흥미영역 이동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유형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ra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선택활동 시간 동안 교사가 유아 개인에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상호작용 유형별로는 ‘제안ㆍ요청’, ‘시범ㆍ설명’, ‘개별대화’, ‘허락ㆍ칭찬ㆍ격려’, ‘도움주기’, ‘무응답ㆍ방관’, ‘통재ㆍ지시ㆍ벌’ 의 순서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전반적으로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호작용 유형별 분석에서는 ‘허락ㆍ칭찬ㆍ격려’에서 남아와 여아가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유아의 흥미영역 이동 횟수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는 유아가 흥미영역의 이동을 많이 할수록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낮게 나타났다. 상호작용 유형별 분석에서는 ‘시범ㆍ설명’에서 유아의 흥미영역 이동 회수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자유선택활동 시간 동안 개인 유아는 또래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유형별로는 ‘주장’, ‘제안ㆍ요청’, ‘시범ㆍ설명’, ‘감정나누기ㆍ격려’, ‘비난ㆍ짜증’. ‘도우주고받기’, ‘질문’, ‘지시ㆍ명령’, ‘의견따르기ㆍ허락’, ‘무시ㆍ거부’의 순서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유아 상호작용에서는 전반적으로 남아와 여아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유형별 분석에서는 ‘제안ㆍ요청’, ‘주장’에서 남아와 여아가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유아의 흥미영역 이동 횟수에 따른 유아-유아 상호작용에서는 유아가 흥미영역의 이동을 많이 할수록 도래와의 상호작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유형별 분석에서는 ‘시범ㆍ설명’, ‘주장’, ‘도움주고받기’, ‘방해’에서 유아의 흥미영역 이동 횟수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은 상관이 있었다. 교사-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유아-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정적 상관이 보였으며, 교사-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유아-유아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상호작용 유형별 분석에서는 교사의 ‘시범ㆍ설명’과 유아의 ‘주장’, ‘질문’, ‘의견따르기’와, 교사의 ‘제안ㆍ요청’은 유아의 ‘시범ㆍ설명’, ‘제안ㆍ요청’, ‘주장’, ‘질문’, ‘도움주고받기’, ‘의견따르기ㆍ허락’,과, 교사의 ‘허락ㆍ칭찬ㆍ격려’는 유아의 ‘주장’, ‘도움주고받기’와, 교사의 ‘개별대화’는 유아의 ‘시범ㆍ설명’, ‘주장’, ‘질문’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교사의 ‘제안ㆍ요청’은 유아의 ‘비난ㆍ짜증’과, 교사의 ‘개별대화’는 유아의 ‘무시ㆍ거부’와 , 교사의 ‘무응답ㆍ방관’은 유아의 ‘방해’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