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2 Download: 0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과 가르치지 않는 교육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Title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과 가르치지 않는 교육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Authors
배성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re to help develop school curriculum by finding out what courses and ffields are not properly taught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understanding a null curriculum and offering the basis for existing courses or new ones. As a result,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standards for balanced educational cont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a questionnaire offered to 292 sixth grade students of four elementary schools and 279 senior students of junior high schools in Kangnam and Kangbuk areas after choosing them by the class and by the area with a random-sampling method. The qestonnaire contains 56 questions,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recognition of contents taught by the schools, the recognition of contents taught not by school, and the recogni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curriculum. To process data some methods were used T-verification, One Way ANOVA, Frequency Analysis, and X2(chi-square) verif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below. First, on preference for courses, in both major and minor courses,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both elementary and the junior high schools prefer minor courses,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junior high school. On the degree of school's emphasis on courses, most of them think that the schools place more importance on major courses. Mathematics, English, and Korean languages were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subjects lectured in school, but most students chose some subjects as unnecessary including art, music, home management and so on. Second, on the field of comprehensive courses, most of students have interest in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job training, and globalization. They consider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humanity, environment, and citizenship significant as well. They think the school does not have to offer the education of reunification, the ocean, economy and consumerism. On the field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most of the students have keen interest in the computer, internet, swimming. The most of them consider the computer, internet, reading, cooking to by important. Third, as this researcher presented in the example, on the activities that are not provided by the schools, the most of students want the school to teach DDR, computer games, hypnotism. Quite a few students think that the schools do not offer those activities because they may not help improve scholastic achievement and are not as important as the courses. Forth, o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ntents currently taught by the school,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lized that the contents should improve the power of reason, that students must understand those contents and that the schools should provide clear and correct information, although all the students can not understand them. on the other hand, to the question that those contents improve the power of reason, most of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swered "average".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contents are not the things that all of the students must understand and that the schools do not always provide clear and correct information to understand all of students. On the inequity of the contents, th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s consider them urbanity-centered, but do not consider them male-dominated or western-centered. And the point, which the contents are favorable to the rich, is acceptable. The students in the junior high schools consider education contents urbanity-centered of western-centered. However, to the question that contents are focused on the male, they gave a negative answer. And to the question about rich=friendly contents, they gave the same answer a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null curriculum, the elementary students think that they have a lot of things to learn besides the things learned in school and that educational contents almost failed to reflect students' attention and interest only to have unnecessary activities and things. To the question that the schools teach them old things customarily and exclude something on purpose, they said, "acceptable".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gave negative responses to those questions. This i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important contents and interesting ones relation to the contents taught by the schools. The students consider major courses such as mathematics, English and Korean languages to be important although they think art, music, and home management, etc. are interesting yet not important. The courses the students consider to be important. The courses the students consider to be important and almost same as those that the schools stress. In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the students, if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gree with the importance of school curriculum. Second, the students have keen interest in some part of activities and contents that are nor offered by the schools. The contents of the null curriculum are considered to be excluded from school curriculum because they do ton help improve scholastic achievement and are not as important as school cours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tudents also consent to school courses to some. Third, relat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contents, in general,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more critical than elementary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are more than male students. Howeve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equity, and the null curriculum's point of view,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chools and genders.;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어떤 교과와 학습영역들이 소홀히 다루어지며, 무엇이 영 교육과정(null curriculum)에 속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학교 교육과정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위치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학급별로(초등학교, 중학교), 지역별로(강남, 강북)로 무선표집하여 4개 초등학교의 6학년 학생 292명 4개 중학교의 3학년 학생 27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을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교과영역, 범교과 학습영역, 특별활동 영역)에 대한 인식과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내용에 대한 인식 및 학교 교육내용의 성격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으며, 총 5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의 처리는 t 검증과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빈도분석, 그리고 x²(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목의 선호도는 주지교과와 비주지교과 영역 모두에서 초등학생의 선호도가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초․중학생은 대부분의 비주지교과를 더 선호하고 있었다. 교육과목의 중요성 인식에서는 두 교과영역 모두 초등학생의 중요성 인식이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초․중학생은 대부분 주지교과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교과목을 학교에서 강조하는 정도에서는 초․중학생 대부분 주지교과를 학교에서 더 강조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중요한 과목으로는 초․중학생이 대부분이 수학, 영어, 국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학교에서 가르칠 필요가 없는 과목으로 초․중학생 대부분이 실과(기술․가정), 미술, 음악을 지적하고 있었다. 둘째, 범교과 학습영역에서 학생들은 대부분 정보화 교육, 진로 교육, 세계화 교육 등에 많은 흥미를 느끼고 있었고, 정보화 교육, 기본인성 교육, 환경 교육, 민주시민 교육 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으며, 통일 교육, 해양 교육, 경제 및 소비자 교육을 학교에서 가르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특별활동 영역에서 학생들 대부분은 컴퓨터 통신, 인터넷, 수영에 관심이 많았고, 컴퓨터 통신, 인터넷, 독서, 요리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자가 제시한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내용 중에서 학생들 대부분 DDR, 컴퓨터 게임, 최면술 등을 학교에서는 왜 가르치지 않는다고 생각하느냐에 대해서는 다수의 학생이 성적을 올리는 데 도움이 되지 않고, 교과목만큼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현재 배우고 있는 학교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중에서 교육내용의 성격에 대하여 초등학생 대부분은 현재 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교육내용은 합리적 이성을 계발시켜주고, 누구나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이며, 학교에서는 확실하고 정확한 내용만을 가르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학교 교육내용이 누구나 알 수 있는 내용은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중학생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은 합리적인 사교를 계발시켜준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누구나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은 아니며, 확실하고 정확한 내용만을 가르치고 있지도 않고, 누구나 알 수 있는 내용을 가르치는 것도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내용의 불평등성에 대해서 초등학생은 대부분 교육내용이 도시 중심이고 부유한 사람들에게 더 친숙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남성 중심이거나 서양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고는 인지하지 않았다. 중학생은 대체적으로 학교 교육 내용이 도시 중심이고 부유한 사람들에게 더 친숙하며 서양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지만, 남성 중심이라고는 인식하지 않았다. 영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초․중학생 대부분이 현재 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것 외에도 배워야 할 것들이 많고, 교육내용은 학생의 흥미를 반영하지 않으며, 필요 없는 내용이나 활동을 포함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학교는 지금까지 가르쳐왔던 내용들을 관습적으로 가르치고 있고 어떤 내용을 의도적으로 제외시키기도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과 흥미를 갖는 내용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학생들은 교과 중 수학, 영어, 국어 등의 주지교과를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과(가정․기술), 음악, 미술 등에 대해서는 흥미는 있으나 중요하지는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학생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과목은 학교에서 중요한 것으로 강조하는 과목과 대체로 일치하고 있으며, 이 점에서 학생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공식적인 교육과정의 중요성에 대해 동조하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은 현재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내용이나 활동 중 일부 영역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이들 영 교육과정의 내용은 성적으로 올리는 데 도움이 되지 않거나 또는 교과목만큼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학교 교육내용에서 배제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 역시 학생들이 공식적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가치를 어느 정도 수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학교 교육내용의 성격과 관련해서 학생들은 대부분 교육내용의 불평등성을 느끼고 있으며 현 교육과정 안에서 영 교육과정이 있음을 인식하고 그것에 대한 교육적 요구를 가지고 있다. 대체적으로 초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이,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더 문제의식을 갖고 있으나 교육내용의 일반적 성격, 불평등성, 영 교육과정의 관점 등 제 측면에 따라 학교 급별․성별 인식 정도는 차이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