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수행평가의 영향에 대한 서울지역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Title
수행평가의 영향에 대한 서울지역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Authors
박소연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서울시 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가 학생, 교사, 학부모, 학교교육 전반, 사회, 국가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에서 수행평가가 올바로 정착, 발전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고등학교에서 1999학년도부터 공식적으로 수행평가를 실시해 온 결과, 교사들은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다고 인식하는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1999학년도에 서울시 고등학교에서 수행평가를 실시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로 정하였고, 전체 모집단 312개교 중에서 158개교를 표집 하여 총 790명의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문지는 47문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우편으로 2차에 걸쳐 보내졌으며 회송 결과 93개교에서 422부의 질문지가 회수되었다. 이 422부의 질문지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수행평가가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수행평가의 영향력을 각 범주별로 고려하여 볼 때, 수행평가가 학생의 태도 및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문항들의 Likert 척도 평균치는 3.09이고, 교사의 태도 및 인식 변화에 대해서는 2.96, 학부모의 태도 및 인식 변화는 3.23, 학교교육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3.26, 사회, 국가에 미치는 영향은 2.70으로 분석되었다. 교사들이 가장 강하게 인식하는 영역은 ‘수행평가가 학교교육 전반에 미치는 영향’의 측면이다. 내용별로는 수행평가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응답은 평균 2.94이고 부정적인 변화에 대한 응답은 평균 3.26으로 교사들은 수행평가로 인한 부정적인 변화를 긍정적인 변화보다 더욱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 구체적인 문항 내용을 살펴보면, 수행평가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로는 교사들이 수행평가와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고, 교사들이 수업 준비를 더욱 열심히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반면에 수행평가로 인한 부정적인 변화로는 과제부여가 많다는 학생들의 불만이 증가하였다는 것, 수행과제 실시로 인해 교실이 소란스러워졌다는 것, 교사들의 사기가 하락되었다는 점, 교사의 업무 부담이 많아져서 수업에 지장이 초래되었다는 점, 수행평가가 컴퓨터를 소유한 학생에게 유리하다는 문제점, 특정 교과 내용만이 강조된다는 점, 수행평가의 기법을 골고루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점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수행평가의 영향에 대한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여학교나 남녀공학에 비해 남학교의 교사들이 수행평가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 측면 모두에서 가장 약한 인식을 나타내었으며, 교직졍력면에서 경력이 1년에서 5년 사이인 교사들이 긍정적, 부정적 영역뿐만 아니라, 각 범주에 걸쳐 강한 인식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수행평가의 실시 적극성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x² 검증을 실시한 결과 남학교, 여학교, 남녀공학의 구분에 따른 해당 학교의 유형과 수행평가 실시의 적극성에 관계가 있었으며, 교직경력과 수행평가 실시의 적극성에도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출신대학의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후비교분석의 결과, 여학교의 교사들이 남학교나 남녀공학의 교사들보다 수행평가를 더욱 적극적으로 실시하며, 교직경력이 1년에서 5년 사이인 교사들이 경력 11년에서 20년 사이의 교사들과 비교해 볼 때 수행평가에 더 적극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This article was designed to research into influences of 'performance assessment' carried out in high schools of Seoul, upon students, teachers, parents, general educational sphere, community and nation, and to formulate a plan for proper settlement 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 For this, surveys and analysis have been carried out concerning how much teachers understand some consequential changes since 1999. Subjects were teachers who have ever carried it our in high schools of Seoul, 1999, and 790 teachers were selected from 158 schools, among 312 schools.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47 questions, sent twice via mail. 422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o us from 93 schools. As a result, we could get the following analysis. First, the influences from the performance assessment have been categorized as follows; the average Likert scale on the questions about changes of the attitude and awareness of students was 3.09; about changes of the attitude and awareness of teachers was 3.23; about general school education was 3.26; about community and nation was 2.70. The highest awareness by teachers were shown in 'influences on the general school education'. In terms of contents, the responses for the positive changes showed 2.95 on average, while the responses for the negative changes showed 3.26. Thus, teachers appeared to understand negative changes better than positive ones. Positive changes included that teachers have come to make more efforts to attain knowledge about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to prepare more for their classes. Negative changes were as follows; students complained of too much assignments; dur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 was so noisy; teachers were demoralized; too much tasks on teachers caused some problems in classes; it was more advantageous to students who have PCs; some part of contents were especially emphasized; it was very difficult to utilize the method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equally. Second, differences of awareness among groups were analyzed. Teachers of boys' schools appeared to understand les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than coeducation or girls' schools. Teachers who have experiences form one to five years in schools appeared highest awareness both in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ird, differences of activeness among group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x² verification, types and activenes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were related each other,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teachers and the activeness appeared to be also related each other. No signigicant difference appeared. However, according to the types of colleges from which the teachers graduated. As a result of post-hoc comparison analysis, teachers of girls' schools, and with educational experiences between one and five years, appeared to more actively carry out the performance assess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