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1 Download: 0

교육과정 내용제시방식의 비판적 검토

Title
교육과정 내용제시방식의 비판적 검토
Authors
권미라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correctness of content representation methods being used by current Korean School Curriculum through examining the nature of contents from various viewpoints. Need for organized validation of content representation method has been the actively discussed topic in curriculum research. In addition, re-cognition of education and nature of knowledge, balancing quality and amount of learning, disconnection of curriculum framework and subject curriculum, and establishing standards call for review of content representation method. Before and organized study on content representation method can be carried out, a clarification of the contents' nature must be performed. In this paper, different levels of cont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 definition method for contents' nature; contents as subject, contents as proposition, contents as Thinking Framework. Sinc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three groups can be considered hierarchical or cascading, the nature of contents that consists of knowledge and procedure is best described as contents as Thinking Framework. Three different contents representation methods are discussed; Topics, Propositions, standards. Of these three, a contents as Thinking Framework is best revealed through Propositions. perhaps the most important issue of Propositions is verifying the nature and fundamentals of each discipline and translating it for learner to understand. Without translating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als that have been found to be a valuable contents, Propositions is also bound to the limitations of Topics. Hence, a desirable contents representation method is organizing contents in such ways that the mutual dependencies between concepts and principals within uniqueness of discipline is presented, and representing this to the learner wi고 respect to his/her development stage. However, although current subject curriculum contents organization and representation methods accommodate Propositions to some extent, several findings show that these methods still maintains the structure of Topics. In fact, they merely listed each subject learning contents as statements in a form of 'contents +behaviors.' Relation between concepts and integration of knowledge that is emphasized in organization guide has not been fully implemented. Thus, current subject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the Topics, requires a complete reformation. Subject curriculum contents should verify the nature of each discipline and structure of knowledge that is emphasized in organization guide has not been fully implemented. Thus, current subject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the Topics, requires a complete reformation. Subject curriculum contents should verify the nature of each discipline and structure of knowledge that each subject is based on, and translate it for learner to understand. In addition, it should integrate curriculum contents via linking theme, enabling learners to establish connections among individual concepts.;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내용의 성격에 대한 다양한 관점 등에 비추어 현행 우리나라 교육과정 문서의 교육내용 제시방식의 타당성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검토해 보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르쳐야 할 교육내용을 무엇으로 규정할 것인가에 대한 여러 관점에서 비추어 현행 교육과정 문서에 규정된 ‘교육내용’이 과연 적절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개선 과제를 탐색해 보는 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교육내용 제시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의 필요성은 교육내용 제시방식의 문제가 교육과정 연구의 핵심적인 연구 과제라는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최근 교육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몇 가지 연구과제 등이 교육내용의 제시 방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즉 교육 및 지식의 본질에 대한 재인식, 학습량 및 수준의 문제, 총론과 각론의 괴리 문제, 학업성취 평가 기준(standards)의 구안․실천에 있어서의 문제 등은 교육 내용 제시방식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한다. 교육내용 제시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는 일차적으로 교육내용의 성격에 대한 명료화 작업을 요구한다. 이 연구에서는 내용성격 규정방식과 관련하여, 교육내용의 다양한 수준을 소재로서의 교육내용, 명제로서의 교육내용, 사고체계로서의 교육내용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교육내용의 다양한 수준에 대한 각각의 설명 방식간의 관계는 일종의 위계적인 관계나 또는 단계적인 관계로 파악할 수 있다. 지식과 과정의 양면성을 지니는 교육내용의 성격을 지니는 올바른 규정은 가장 상위 수준인 사고체계로서의 교육내용의 형태에 충실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교육내용 제시방식으로는 주제나열형, 명제 제시형, 성취기준 제시형의 세 가지 유형을 검토해 보았다. 특히 각각의 내용제시 방식에 전제된 교육내용의 성격에 대한 관점을 고찰해 보았는데, 교육내용의 다양한 수준 중 지식의 총체성을 올바르게 부각시켜주는 사고체계로서의 교육내용의 성격은 명제 제시형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이러한 내용 제시방식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은 각 학문의 성격과 본질을 확인하고 이를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번역하여 제시하는 방안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가 될 것이다. 의미 있는 교육내용으로 밝혀낸 기본개념이나 원리를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맞는 지적 과정으로 번역하는 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명제 제시형 역시 주제 나열형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할 것이다. 결국 바람직한 교육내용 제시방식은 학문의 독특성 속에서 개념과 원리의 상호관련 방식이 나타나도록 교육내용을 조직하고, 이를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맞게 제시하는 방식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현행 교과 교육과정 내용구성 및 제시방식을 살펴보면, 부분적으로 명제 제시형의 형태를 띠기는 하나, 기존의 내용제시방식인 주제 나열형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별 학습내용을 교사가 학생에게 가르쳐야 할 주제로 나열하되, ‘내용+행동’의 형식에 맞추어 문장의 형태로 제시했을 뿐이다. 또한, 구성지침상에서 강조되고 있는, 개념 사이의 관련성 내지는 지식의 통합성은 실제 개발 과정에서 제대로 구현되지 못했다. 이처럼 주제 나열형을 기반으로 구성된 현행 교과 교육과정은 전면적인 수정이 요구된다. 교과 교육과정 내용은 각 교과가 기반하고 있는 학문 영역의 성격 및 지식의 구조를 파악한 후, 이를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번역하여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연결 주제로 통합하여 제시하여 학습자가 그 안에서 적절한 접근 방법으로 이미 이해하고 있는 소개념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