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재삼-
dc.contributor.author이예진-
dc.creator이예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7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8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경영을 도입하고 있는 기업에서 지식창출의 수단으로써 활용하고 있는 실행공동체 내에서 지식창출에 미치는 예측 요인을 분석하여,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 극대화 방안과 구축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최고경영층의 인정, 평가와 보상, 지원부서의 활동, 리더의 헌신성, 참여도, 신뢰관계 구축의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을 예측하는지 확인하여, 기업에서 실행공동체 도입 및 활용 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고경영층의 인정, 평가와 보상, 지원부서의 활동, 리더의 헌신성, 참여도, 신뢰관계 구축의 독립변인 중 실행공동체 내에서 지식창출에 미치는 예측 요인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분석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최고 경영층의 인정, 평가와 보상, 지원부서의 활동, 리더의 헌신성, 참여도, 신뢰관계 구축 중 실행공동체 내에서 지식창출에 미치는 예측 요인은 무엇인가? 2. 최고 경영층의 인정, 평가와 보상, 지원부서의 활동, 리더의 헌신성, 참여도, 신뢰관계 구축 중 실행공동체 내에서 지식창출의 하위 프로세스(지식의 공동화, 표출화, 연결화, 내면화)에 미치는 예측요인은 무엇인가β 본 연구를 위하여 조직적 지원 하에 실행공동체가 활성화 되고 있는 국내의 반도체, 농업, 석유화학 분야의 대기업을 선정하여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이 중 237부(92.58%)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층의 인정, 평가와 보상, 지원부서의 활동, 리더의 헌신성, 참여도, 신뢰관계 구축의 요인의 독립변인은 지식창출 전체, 그리고 지식창출 각 하위 프로세스(지식의 공동화, 표출화, 연결화, 내면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둘째, 최고경영층의 인정, 평가와 보상, 지원부서의 활동, 리더의 헌신성, 참여도, 신뢰관계 구축의 요인의 독립변인 중에서 신뢰관계 구축(β=.39), 최고경영층의 인정(β=.30), 참여도(β=.13), 리더의 헌신성(β=.13)이 실행공동체 내에서 지식창출의 예측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고경영층의 인정, 평가와 보상, 지원부서의 활동, 리더의 헌신성, 참여도, 신뢰관계 구축의 요인의 독립변인 중에서 신뢰관계 구축(β=.35), 리더의 헌신성(β=.18), 최고경영층의 인정(β=.18), 참여도(β=.15)가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 하위 프로세스, 지식의 공동화의 예측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최고경영층의 인정, 평가와 보상, 지원부서의 활동, 리더의 헌신성, 참여도, 신뢰관계 구축의 요인의 독립변인 중에서 신뢰관계 구축(β=.39), 최고경영층의 인정(β=.28), 참여도(β=.15)가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 하위 프로세스, 지식의 표출화의 예측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최고경영층의 인정, 평가와 보상, 지원부서의 활동, 리더의 헌신성, 참여도, 신뢰관계 구축의 요인의 독립변인 중에서 최고경영층의 인정(β=.28), 신뢰관계의 구축(β=.28), 지원부서의 활동(β=.17)이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 하위 프로세스, 지식의 연결화의 예측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최고경영층의 인정, 평가와 보상, 지원부서의 활동, 리더의 헌신성, 참여도, 신뢰관계 구축의 요인의 독립변인 중에서 신뢰관계 구축(β=.35), 최고경영층의 인정(β=.33), 참여도(β=.16)가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 하위 프로세스, 지식의 내면화의 예측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식창출의 4개의 모든 하위 프로세스(지식의 공동화, 표출화, 연결화, 내면화)를 모두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실행공동체 내, 외적에서 어떤 요인을 만족시켜 주어야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지식창출은 지식창출의 하위 프로세스(지식의 공동화, 표출화, 연결화, 내면화)가 모두 성공적일 때 조직경쟁력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창출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각 지식창출의 하위 프로세스(지식의 공동화, 표출화, 연결화, 내면화)를 예측하는 요인을 모두 지식창출도구로써의 실행공동체 활용 전략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둘째,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 프로세스 전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최고경영층의 인정과 신뢰관계 구축이었다. 따라서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을 정착시키고 안정화,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상위 관리자의 관심과 참여 촉구를 위한 정책이 유지될 필요가 있으며, 실행공동체 구성원 간 신뢰관계가 형성되도록 관리해줄 필요가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셋째, 본 연구 결과 실행공동체 외부적 요인 중 최고경영층의 인정과 지원부서의 활동이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에 미치는 유의미한 예측 요인이었다는 점에서 공식적, 전략적 실행공동체로의 변화라는 실행공동체의 최신 트렌드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행공동체 지원부서의 역할은 더욱 적극적으로 확대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지원부서가 실행공동체 내, 외적으로 지원 활동을 활발히 유지하여 실행공동체의 질적, 양적 성장을 유도하여 실행공동체를 통해 지식을 활발히 창출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지식창출의 도구로써 활용되는 실행공동체가 그 역할을 다해갈 수 있을 것이고, 기업의 경쟁력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 예측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에 관한 선행 연구들이 대부분 질적 접근의 연구로 이루어진 데 반해 본 연구는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 예측요인의 규명을 목적으로 양적 연구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특화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실행공동체 내에서 지식창출을 예측하는 변인을 좀 더 다양하게 살펴보고,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까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면 좀 더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solutions and factors for maximizing knowledge-creation in CoP by analyzing the predicting factors of CoP knowledge-creation, which is a system used for knowledge-creation in enterprises that has adopted knowledge-management. Therefore, by identifying which predicting factor is the most useful and accurate for knowledge-creation out of top leader’s will, evaluation and compensation, activities of supporting department, leader’s dedication, rate of participation, an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this research will provide enterprises basic information on how to adopt or utilize the CoP system. The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predicting factors of knowledge-creation in CoP out of top leader’s will, evaluation and compensation, activities of supporting department, leader’s dedication, rate of participation, an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2. Which are the predicting factors of the lower process of knowledge-creation in CoP among top leader’s will, evaluation and compensation, activities of supporting department, leader’s dedication, rate of participation, an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an enterprise, which supports active CoP systematically, was selected and out of 256 surveys 237 surveys were turned in for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SPSS 12.0 windows program, over the gathered information from the turned in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op leader’s will, evaluation and compensation, activities of supporting department, leader’s dedication, rate of participation, an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showed high correlation to the whole knowledge creation and each lower processes for knowledge creation. Second, out of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top leader’s will, evaluation and compensation, activities of supporting department, leader’s dedication, rate of participation, an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trust building among members(β=.39), the top leader’s will(β=.30), rate of participation(β=.13), and leader’s dedication(β=.13) have been identified as knowledge creation predicting factor. Third, out of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top leader’s will, evaluation and compensation, activities of department to CoP, leader’s dedication, rate of participation, an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trust building among members(β=.35), leader’s dedication(β=.18), the top leader’s will(β=.18), and rate of participation(β=.15) have been identified as predicting factors for a lower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which is socialization in CoP. Fourth, out of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op leader’s will, evaluation and compensation, activities of supporting department, leader’s dedication, rate of participation, an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trust building among members(β=.39), the top leader’s will(β=.28), and rate of participation(β=.15) have been identified as the predicting factor for a lower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which is externalization in CoP. Fifth, out of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op leader’s will, evaluation and compensation, activities of supporting department, leader’s dedication, rate of participation, an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top leader’s will(β=.28), trust building among members(β=.28) and activities of supporting department(β=.17) have been identified as the predicting factor for the lower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which is combination in CoP. Sixth, out of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op leader’s will, evaluation and compensation, activities of supporting department, leader’s dedication, rate of participation, an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trust building among members(β=.35), top leader’s will(β=.33) and rate of participation(β=.16) have been identified as the predicting factor for the lower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which is internalization in CoP.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which factors should be satisfied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CoP in order to activate all four lower processes of knowledge cre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dentified through this research, the following points can be made. First, since knowledge-creation that can contribute to organization competitive power can be done only when all the lower processes of knowledge-creation(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internalization) is successful, the predicting factors for all the lower processes of knowledge-creation(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internalization) can be strategy of CoP. Second, since the important factor for knowledge-creation in CoP are the top leader’s will and trust building among members in order to settle, stabilize and activate knowledge-creation in CoP, a policy that can grab the leader’s attention and encourage participation should be created and maintained. And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supervision is needed to build trust among the CoP members. Thir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in favor with the latest CoP trend which is changing to official, strategic CoP. This shows that the role of the supporting department of CoP should be extended. The department should encourage the growth of CoP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by supporting the CoP activitie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so that knowledge-creation can be done by CoP. By doing so will enable the CoP to fulfill its objective as a knowledge-creating tool, and contribute to the corporate competitive power. Lastly,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it is a quantitative analysis of knowledge-creation predicting factors that are formed in CoP. While the former knowledge-creation in CoP studies approached from a qualitative angle, this study was conducted quantitatively in order to verify the knowledge-creation formed in CoP, which makes this study unique. As a result, the predicting factors of knowledge-creation in CoP that was not verifi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identified and also significant issues were derived by approaching the matter from a quantitative angle. Thus, in the following research, if CoP’s effects on business results are verified and analyzed, and if more predicting variables are reviewed, a more detailed and meaningful result will be thought be achiev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II. 이론적 배경 = 7 A. 지식창출 = 7 1.지식경영과 지식창출 = 7 2.지식창출 프로세스 = 10 B. 실행공동체 = 16 1. 실행공동체의 정의 = 16 2. 실행공동체 구성요소 = 18 3. 실행공동체와 지식창출 = 22 4. 실행공동체의 트렌드 = 24 5. 실행공동체 조직적 지원방안- 3C = 28 C. 관련 선행연구 = 31 1. 실행공동체 성공 요인 연구 = 31 2. 실행공동체의 성과 평가 연구 = 40 3. 지식창출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42 4. 지식창출 영향요인 연구 = 43 Ⅲ. 연구방법 = 51 A.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 51 B. 연구도구 = 55 C.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 67 IV. 연구 결과 = 70 A. 기술통계 = 70 B. 상관분석 = 72 C. 회귀분석 = 75 1. 지식창출 예측요인 = 75 2. 지식창출 하위 프로세스(지식의 공동화, 표출화, 연결화, 내면화) 예측요인 = 77 V. 결론 및 제언 = 87 A. 결론 및 논의 = 87 1.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 예측 요인 = 88 2. 실행공동체 내에서의 지식창출 하위 프로세스(지식의 공동화, 표출화, 연결화, 내면화) 예측 요인 = 90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97 참고문헌 = 99 부록 = 108 부록 1 측정 문항 = 109 부록 2 설문지 = 112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61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실행공동체 내에서 지식창출에 미치는 예측 요인의 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dentification of predicting factors for Knowledge-creation in CoP(Community of Practice)-
dc.creator.othernameLee, Yejin-
dc.format.pageⅹ,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