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3 Download: 0

사이버교육에서 학습동기, 프로그램, 조직의 지원과 상호작용, 몰입 및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Title
사이버교육에서 학습동기, 프로그램, 조직의 지원과 상호작용, 몰입 및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Other Titl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Motivation, Program, Organizational Support, Interaction, Flow and Learning Outcome In Cyber Education.
Authors
김나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주영주
Abstract
현대 지식사회에서 많은 기업들은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기업 내외의 환경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체제로 사이버교육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다시 말해, 교육훈련 현장에서 전통적인 패러다임의 교육체제가 가지는 한계를 뛰어 넘는 사이버교육의 장점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훈련에서의 사이버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급속한 확산 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교육의 학습성과에 대한 의문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사이버교육은 면대면 교육과 달리 교수자와 학습자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교수자의 직접적인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이버교육에서의 학습성과에 관련된 요인들을 규명하고,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활성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학습성과를 극대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사이버교육의 학습성과 관련 연구들은 사이버교육의 체제를 전체적으로 포괄하지 않고, 관심 있는 한 두 요인만을 가지고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가 대부분이어서, 사이버교육과정과 관련된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이버교육에 참가하는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설명하는 통합적인 모형을 구안하고, 전체적인 틀 안에서 사이버교육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이 상호작용과 몰입을 매개로 하여 학습성과로 연결 되는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를 설명하기 위해 구안 된 가설적 인과모형은 적합한 모형인가? 2.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성과 관련 요인(학습동기, 프로그램, 조직의 지원, 상호작용, 몰입)이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3.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성과 관련 요인(학습동기, 프로그램, 조직의 지원)이 상호작용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4. 사이버교육에서 상호작용과 몰입은 학습성과 관련 요인(학습동기, 상호작용, 프로그램, 조직의 지원)과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이버교육의 학습성과 관련 요인으로 학습동기요인, 프로그램요인, 조직의 지원요인, 상호작용요인, 몰입요인을 추출하고, 학습성과요인으로 만족도와 성취도를 선정하였다. 추출된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들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일부 수정, 보완한 다음,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과 예비검사를 통해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설문지로 사이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국내 1개 기업에서 사이버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2차례에 걸친 설문을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은 학습자의 배경 변인과 학습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학습자가 가지 고 있는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등의 학습동기에 대한 내용이었으며, 2차 설문은 해당 프로그램과 조직의 지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학습과정 에서의 상호작용의 수준, 몰입의 수준과 수강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의 정도에 관한 내용이었다. 1차 설문과 2차 설문을 모두 응답한 학습자는 465 명이었으나, 불성실한 응답 26부를 제외하고 총 439명의 응답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응답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통계분석, 잠재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분석,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신뢰도분석,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 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각 변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 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교육의 학습성과와 관련된 학습동기요인, 프로그램요인, 조직의 지원요인, 상호작용요인, 몰입요인, 만족도, 성취도 등의 7개 요인이 포함된 연구모형은 사이버교육과 관련된 요인들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χ² (281, n = 439) = 955.621 (p = .000), TLI= .928, CFI= .938, RMSEA= .074(90% 신뢰구간, .069~ .079)으로 양호한 수준이었다. 둘째, 사이버교육의 학습성과와 관련된 요인들의 학습성과에 대한 직·간접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이버교육 환경에서의 학습성과 영향 요인 중, 학습동기요인과 프로그램요인 은 학습자의 만족도와 성취도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만족도와 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나누어 살펴보면, 만족도에는 학습동기요인과 프로그램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하면 프로그램요인이 학습동기요인보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취도에는 학습동기요인과 몰입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면 몰입요인이 학습동기요인보다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이버교육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배양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제작 시,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사이버교육 참가자의 학습 중에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프로그램요인과 조직의 지원요인이었고, 두 요인 중 조직의 지원요인이 프로그램요인보다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요인, 프로그램요인과 조직의 지원요인이었고, 상대적인 영향력은 조직의 지원요인, 프로그램요인, 학습동기요인의 순이었다. 넷째, 학습동기요인, 프로그램요인, 조직의 지원요인이 상호작용과 몰입을 매개로 하여 학습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프로그램요인과 조직의 지원요인이 몰입을 매개로 하여 성취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몰입은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요인, 조직의 지원요인과 성취도와의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가 몰입에 이르게 하는 여러 가지 기제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첫째, 향후 연구에서는 다른 여러 기업의 교육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한 후, 본 연구와 측정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여 모형의 일반화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향후 연구에서는 다중매개분석을 통해 상호작용과 몰입, 이 두 매개변인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향후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의 진행에 따라 변화하는 성격을 가진다는 점에 주목하고 동기의 변화에 따른 만족도, 성취도의 관계와 동기의 변화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교육참가자의 자기보고식 설문지에 대한 응답자료를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향후에는 최근의 혁신적인 측정방법들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직접적 관찰, 로그파일(computer traces), 언어적 사고 표현(think-aloud protocol), 구조화된 학습일지의 사용 등, 검사 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실질적 맥락에서 사이버교육에서의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결과 변인으로 만족도와 성취도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나 기업교육의 궁극적인 관심은 훈련을 통한 개인과 조직의 경쟁력 강화라는 점에서 볼 때 장기적인 성과, 즉 실제 업무 성과에의 전이효과, 나아가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까지 검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이버교육 참가자의 학습동기요인, 프로그램요인, 조직의 지원요인과 상호작용, 몰입이 학습성과에 직·간접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 참가자의 학습성과의 영향변인인 학습동기요인, 프로그램요인, 조직의 지원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까지 포함하여 다층 구조의 형태를 가진 통합적 모형을 구안하고, 그 모형 내에서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도 필요하다.;In modern knowledge-based society, many companies use the cyber educational system to keep up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al demands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s. Despite the wide spread and the increasing interest about the cyber education, there are still some concerns and questions about its effectiveness. The main reason for these concerns is that unlike face-to-face education, the instructor can hardly handle and control the learner directly because of their separation in terms of the time and location. Therefore, there should be a great effort to figure out the factors that maximize the learning in cyber education. Most of the studies, however, are focused on only a couple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arning outcomes, rather than considering the whole cyber educational system. This study is intended to 1) evaluate the integrating model that explains the learning outcomes in cyber education and 2)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learning outcomes through interactions and flow mediato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Does the theoretical model that explains learning outcome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in cyber education environment indicate a reasonable model fit? 2.What are the effects of the factors (academic motivation, program, organizational support, interaction, flow) on the learning outcome (satisfaction, learning achievement) in cyber education environment? 3.What are the effects of the factors (academic motivation, program,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interaction and flow in cyber education environment? 4.Do the interaction and flow mediate between the learning outcome variables (academic motivation, interaction, program,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rning outcomes (satisfaction, learning achievemen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cademic motivation, program, organizational support, interaction and flow factors are extracted for the learning outcome related factors and also,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are selected for learning outcome fac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 the learners who were enrolled in a cyber training course at a company in Korea.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the demographic survey and learner’s motivation, such as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asked in the first survey. The second survey concerned the course program and learner satisfaction, such as the recognition of the organizational support, the degree of interaction, and the level of the flow. The participants of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numbered 456, but 26 respondents who were unreliable or did not complete their survey were excluded. A total of 439 cases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structural model fi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including academic motivation, program, organizational support, interaction, flow, satisfaction, learning achievement, provided a reasonable fit to the data χ² (281, n= 439) = 955.621 (p <.001), TLI = .928, CFI = .938, RMSEA = .074(90% confidence level, .069~.079). The results show that the theoretical model consisting of seven factors were reasonable. Second,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related with learning outcomes in cyber education are partially significant. Among those five factors, academic motivation and program factors have direc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For the satisfaction, the academic motivation and program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and the program factor has relatively mor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than the academic motivation factor does. For the learning achievement,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otivation and flow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 and also, the flow factor has more of an effect than the motivation factor on learning achievement. This resul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cyber training environment, and the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satisfy the learners’ needs. Third, the program factor and the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 have an influence on the inter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support has more effects than the program factor.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support, program and motivation factors are effects on the flow factor in turn. Fourth, for the indirect effects of the interaction and flow, only the flow factor had an indirect effect, mediating the program an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rning achievement. This indicated that the flow has a significant effect not only on learning achievement but also works as a mediator between program and organizational factors and learning achievement variable. The implication is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instructional methods to achieve learner’s flow. Based on the findings,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generalization of the model through the Testing configural and metric invariance via various cyber education participants. Second, there should be the research of comparing the effects between the interaction and flow through multi mediate analysis. Third, since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changes as the course goes on, it is effectiv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motivation. Also, it will be critical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vary the academic motivation. Fourth,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using a self-reported survey. It will be desirable to employ various evaluating methods including the qualitative approach in the authentic environment. Fifth, instead of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transfer effect and organizational goal could be examined for a more practical learning outcome of the company. Sixth, it would be motivating in itself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that has an influence on the motivation, program, organizational support variables constructing the hierarchical structural mod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