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개인의 학습양식에 따른 영역별 교육 성취도 및 웍스킬(Work skills) 비교

Title
개인의 학습양식에 따른 영역별 교육 성취도 및 웍스킬(Work skills) 비교
Authors
박선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earner's achievement by individual learning style and compare work skills by individual learning style.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corporate education course and instructional design to consider individual's learning style and provide the reference guide for improving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ree research issues will be explored: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achievement in domain-free knowledge according to learning styl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achievement in domain-specific knowledge according to learning style?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work skill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In order to examine these issues, this research set a target group including 69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problem solving course and financial account course of marketing academy at L company. Using Kolb's LSI(Learning Style Inventory), they are to be categorized into 4 groups: Diverger, Assimilator, Converger, and Accommodator. And according to learning style, achievement and work skills were compared. The achievement was measured by post test of each course. For quantitative data analysis of collected data, statistical methods of 1-way ANOVA, Scheffé, and MONOVA were used. The tool that was used to measure the work skills was WORKING which was developed by Maduschke and Grummon(1996). Work skills include 9 items: Taking Responsibility, Working in Teams, Persisting, A Sense of Quality, Life-long learning, Adapting to Change, Permanent Problem Solv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Systems Thinking.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in domain-free knowledge according to learning style(F=4.988, p <.05). The result of Scheffé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between Diverger and Assimilator. Diverger's achievement was higher than Assimilator's achievement.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in domain-specific knowledge according to learning style(F=2.413). Third,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isting and Adapting to Change among work skill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isting(F=3.035, p <.05) and Adapting to Change(F=3.630, p <.05), and this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Converger and Accommodator. The scores of all work skill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 Among 4 groups, Convergers have the highest score in all items. However, Divergers have the lowest score in Taking Responsibility, Working in Teams, Life-long Learn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Systems Thinking. Accomodators have the lowest score in Persisting, A Sense of Quality, Adapting to Change, Permanent Problem Solving. Assimilators have neither the lowest score nor the highest score in all items.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would propose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can be argu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in domain-free knowledge by learning sty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bout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to use domain-free knowledge in various learning activities. Secon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can be argue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in domain-specific knowledge by learning style. This result would be influenced b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bout learning process and activities in various domain-specific knowledge by learners characteristics. Third, this research explored differences of work skills by learning style. Based on this research, there should be continuing researches that explore the ways of knowledge application about learning style and preferred work skill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 manage their abilities and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Fourth, the subject in which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adopted a face-to-face mode.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a study of distance education or web-based education shows a different result from this research. This suggests a necessity of study that whether learning environment change can have influence on student's motivation and attitude or not. Fifth, there should be continuing researches that consider other learners' characteristics,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tool.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bout comparison of learner's achievement in learning domain by learner's prior knowledge.;본 연구에서는 학습양식에 따라 영역 구체적 지식 및 영역 일반적 지식에서의 교육성취도를 비교하고, 학습양식에 따른 웍스킬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의 학습양식을 고려하여 충분한 학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기업에서 교육과정 및 교수설계의 기초를 제공하고, 학습양식, 웍스킬 및 스타일의 특징을 파악하여 그 특징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기업 내에서 개인 및 팀의 직무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고려할 수 있는 참고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 일반적 지식(domain-free knowledge) 분야에서 학습 양식에 따라 교육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영역 구체적 지식(domain-specific knowledge)분야에서 학습 양식에 따라 교육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습 양식에 따라 웍스킬에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L사의 문제해결 과정과 마케팅 아카데미 재무회계 과정 참가자 69명을 대상으로 Kolb의 학습양식 검사지를 통해 분산자, 융합자, 수렴자, 적응자 4가지의 학습 양식으로 나누고 이에 따라 교육 성취도 점수와 웍스킬 점수를 비교하였다. 학습 양식에 따라 영역별 성취도 비교를 하기 위해, 영역 일반적 지식 분야인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습 양식에 따른 성취도를 비교하였고, 영역 구체적 지식 분야인 재무회계 과정에서 학습 양식에 따른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성취도 평가는 교육과정 이수 후 치르게 되는 학습평가를 통해 실시하였다. 웍스킬 측정을 위해 Madusche & Grummon(1996)이 개발한 도구인 “WORKING"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책임감, 팀으로 일하는 능력, 지구력, 질적 감각, 평생학습 능력, 변화 적응력, 문제 해결력, 정보처리 능력, 체제적 사고력 9개 항목을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 양식에 따라 영역별 교육성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일원분산분석(1-way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학습 양식에 따라 웍스킬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차이를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영역 일반적 지식(domain-free knowledge) 분야에서 학습 양식에 따라 교육성취도를 비교해 본 결과, F통계값은 3.388으로 α=.05의 유의도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분산자의 경우 평균은 86.94이며, 표준편차는 5.91이고 융합자의 경우 평균은 78.19이며, 표준편차는 8.91점이다. 수렴자의 경우 평균은 79.61점이며, 표준편차는 7.72점이고, 적응자의 경우 평균은 82.46점이며 표준편차는 8.36점이다.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도 수준 .05에서 분산자와 융합자 간의 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분산자가 융합자보다 성취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역 구체적 지식(domain-specific knowledge) 분야에서 학습 양식에 따라 교육성취도를 비교해 본 결과, F 통계값은 2.413으로 α=.05의 유의도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도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취도가 높은 학습 양식 유형과 낮은 학습 양식 유형간에 점수 차이가 10.76점이 났다. 적응자의 평균 점수가 85.33점, 표준편차는 7.5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융합자의 평균 점수는 77.20점, 표준편차는 10.54점으로 가장 낮게 나왔다. 셋째, 학습 양식에 따라 웍스킬 중에서 지구력(Persisting)과 변화적응력(Adapting to Change)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 양식에 따른 9가지 웍스킬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한 결과, 지구력과 변화 적응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지구력인 경우, F 통계값은 3.035이고, α=.05의 유의도 수준에서 학습 양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Scheffé 검증 결과 수렴자와 적응자 사이에서 이러한 차이가 났다. 본 연구에서는 영역 일반적 지식 분야인 문제해결 과정에서 분산자와 융합자 간에 성취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영역 구체적 지식 분야인 재무회계 과정에서는 학습 양식 유형 간 성취도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 및 평가 방식에 따라 학습 양식에 따라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을 드러내는 Isom(1997), Green(1993) 등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수렴자와 적응자 사이에는 웍스킬 중에서 지구력과 변화적응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역 일반적 지식 분야에서 학습 양식에 따른 교육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영역 일반적 지식 분야에서 학습 양식에 따른 교육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왔다. 영역 일반적 지식은 어떤 특정 과제에만 관련된 것이 아니고 과제 수행을 하는 데 있어서 기본이 되는 지식이므로 이러한 지식의 부족은 학습활동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가 다양한 학습과제 및 활동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영역 일반적 지식을 개발 및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설계시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지식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문제해결 과정과 다양한 사례 및 상황을 여러 교육과정으로 연결시키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둘째, 영역 구체적 지식 분야에서 학습 양식에 따른 교육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영역 구체적 지식 분야에서 학습 양식에 따른 교육성취도에는 유의마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이는 본 연구에서 영역 구체적 지식 분야로 선정한 재무회계 과정에 참가한 참가자들의 특성과 관련시킬 수 있다. 재무회계과정 참가자들은 기업에서 회계관련 업무 담당자이므로 교육내용에 대한 지식 및 수준에 큰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회계관련 지식을 처음 배우는 사람을 연구대상으로 했을 때는 연구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앞으로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영역 구체적 지식에서의 학습과정 및 성취도에 대한 연구, 영역 구분 이외에 학습내용이나 문제 해결에 적용되는 방법에 따른 성취도 비교 연구 등이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영역 일반적 지식과 영역 구체적 지식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학습 양식에 따른 웍스킬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렴자가 변화적응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왔다. 수렴자의 경우, 실제 상황에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문제 해결을 해내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변화적응력 점수가 높게 나올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수렴자들이 자신의 장점과 능력을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는 조직 풍토를 접하게 된다면, 변화적응력이외의 다른 웍스킬에서도 높은 점수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조직 풍토를 고려하면서 학습양식과 웍스킬을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조직에서 관리자들이 개인의 학습 양식과 웍스킬 성향에 대한 파악을 했을 때, 조직원 능력관리에 어떤 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 전체적인 조직개발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면대면 수업이 이루어지는 집합교육에 참가한 대상에 한해서 실시되었기 때문에, 교육 방법 및 교육 형식을 다르게 했을 경우에는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집합교육 이외에 다른 형식의 교육, 예를 들어 웹기반 교육이나 원격 교육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웹기반 교육이나 원격교육에서의 연구 결과가 집합 교육에서의 연구 결과와 다른 부분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특히 어떤 부분에서 다른 결과가 나오는지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환경변화가 학습자의 동기 및 내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학습 양식 이외의 학습자의 특성, 평가 방법, 평가 도구 등 본 연구에서 통제하지 못한 변인들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학습자들의 사전 지식에 따라 영역 일반적 지식 분야와 영역 구체적 지식 분야에서의 성취도 비교, 학습 양식에 따라 학습 평가와 행동 평가를 병행했을 때의 성취도 비교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