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유형 및 토론능력 비교

Title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유형 및 토론능력 비교
Authors
권윤성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흔히, 21세기를 정보화 시대, 포스트모던의 시대라고 표현한다. 그러나, 정보화 시대의 정보통신기술이 ‘정보’의 차원을 강조하는 반면 ‘정보’를 넘어선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으로 발전하는 정보통신기술을 강조하는 시각에서 혹자는 이 시대를 ‘커뮤니케이션의 시대’(Communication Age)로 정의하기도 한다(강인애, 1999). 정보화시대에 이은 커뮤니케이션 시대를 맞이하면서 웹으로 대표되는 정보 통신 기술이 제공하는 기회와 도전은 실로 막강하다 할 수 있는데, 교육분야에서 역시 예외일 수는 없다. 즉, 웹의 진정한 가치는 자료의 공유가 아니라 국제적 의사소통에 있으며 또한 이 점이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것이다.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웹 기반 학습 체제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실제적 학습, 반성적 고찰을 통한 학습, 상호작용적이며 협동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최근 교육계에서 강조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원리를 구현하는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해준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웹 환경에서의 학습을 통해 정보화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 즉,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실현에 대한 가능성을 구체화할 수 있다. 한편, 학습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는 학습 스타일(learning style)이다. 많은 연구들이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됨을 보여주고 있으며(Frey&Simonson, 1993; Liu&Reed, 1994; Weller et al., 1944), 더 나아가 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은 학습 스타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Enochs et al., 1985; Wood et al., 1996; Yoder, 1994). 따라서,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최적의 학습 환경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웹 환경에서 제공되는 학습 수단과 각기 다른 학습자들의 다양한 학습 스타일에 대한 이해, 특히 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요구된다 하겠다. 그러나, 이처럼 웹 기반 학습 환경이 개별화 수업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널리 알려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몇몇의 연구자들만이 개별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을 고려한 개별화 수업을 제공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수단으로서의 웹의 거대한 잠재력을 조사해 오고 있을 뿐 여전히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게 이루어지고 있다(Geisert et al., 1990).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웹 기반 토론에서,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학습 스타일(적응자, 분산자, 융합자, 수렴자)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learner-learner interaction)의 유형은 어떻게 달라지며 상호작용 내용 면에서의 질적 수준인 토론 능력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분석하여, 개별화 수업을 제공할 수 있는 상호작용수단으로서의 웹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에는 차이가 있는가? 2.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내용 면에서의 질적 수준인 토론능력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웹 기반 토론이 이루어진 교과목에 등록한 학부생을 대상으로 Kolb의 학습 스타일 검사지(Learning Style Inventory: LSI)를 배포하여 최종 44명의 검사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검사지의 분석을 통해 연구 대상을 적응자, 분산자, 융합자, 수렴자의 4가지 학습 스타일로 분류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들이 게시한 웹 기반 토론 자료에 대한 메시지 내용분석 및 내용 면에서의 질적 수준인 토론능력의 평가를 통하여,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과 토론 능력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여기에서,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을 비교하기 위한 토론방 메시지 분석에는 Henri(1992)의 내용분석 모델이 사용되었는데, 내용분석 모델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은 참여적 차원, 사회적 차원, 상호작용적 차원, 인지적 차원, 메타인지적 차원의 5가지 상호작용 차원으로 분석되었고, 내용 면에서의 질적 수준 인 토론능력 평가를 위해서는 Wen(1998)의 과제수행능력 평가 준거 중 내용영역의 준거가 사용되었는데, 내용 영역의 준거는 교육공학 전문가 1인의 타당도를 검증 받아, 연구의 목적에 맞게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사용되었다. 한편,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분석을 위해 먼저, 각 학습 스타일에 따른 메시지 내용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일원분산분석(ANOVA)과 Scheffé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내용 면에서의 질적 수준인 토론능력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도 역시, 각 학습 스타일에 따른 토론능력 평가 점수에 대한 일원분산분석(ANOVA)과 Scheffé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유형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중 의미단위의 사용(F=4.436, p<.05), 상호작용적(F=4.744, p<.05), 인지적 차원(F=3.743, p<.05)의 상호작용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메타인지적 차원(F=.599, p>.05)의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내용 면에서의 질적 수준인 토론능력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적응자와 분산자, 적응자와 수렴자의 토론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7.774,p<.05).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재,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에는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연구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먼저,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중 의미단위의 사용에서는, 분산자와 융합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정보 처리(processing)측면 연속선상에서의 지각적 처리 경향을 나타내는 명상적 관찰(Reflective Observation: RO)을 바탕으로, 정보 인식(perceiving)측면 연속선상에서의 학습자들의 특정한 경향성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분산자와 융합자는 모두 정보의 처리에 있어 실재적 사실성이 없는, 주로 이론과 계획에 관심을 갖는다는 점에서 동일하게 명상적 관찰(RO)의 지각적 경향성을 가지고 있으나, 분산자의 경우 새로운 아이디어 표현하기를 선호하여 구체적 경험(Concrete Experience: CE)을 주로 활용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따라 많은 의미단위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융합자의 경우 제시된 아이디어 등을 바탕으로 귀납적인 추론 및 통합된 설명을 유추하고자 하는 추상적 개념화(Abstract Conceptualization: AC)의 경향이 강하여 의미단위의 사용에서도 주로 통합된 설명을 위한 단일 의미단위를 주로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학습 스타일에 다른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중 의미단위 사용에서의 차이는 지각적인 정보처리 경향을 바탕으로 한 정보의 인식 경향에 따라 달라진다 할 수 있으며, 명상적 관찰(RO)을 바탕으로 주로 구체적 경험(CE)을 학습요소로 사용하는 학습 스타일일수록 더 많은 의미단위를 사용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중 참여적(게시자료 수)차원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분산자-융합자, 분산자-수렴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참여적 차원의 상호작용이 정보인식(perceiving) 측면에서의 학습자들의 경향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정보의 인식 측면에서 정의적인 경향이 있는, 구체적 경험(CE)을 선호하는 학습자인 분산자나 적응자의 경우 활발한 참여적(게시자료 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반면, 정보의 인식 측면에서 상징적인 경향이 있는, 추상적 개념화(AC)를 선호하는 학습자인 수렴자나 융합자는 활발한 참여적 상호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중 참여적 차원에서의 차이는 정보의 인식 경향에 따라 달라진디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정보 처리 차원에서의 지각적 성향을 바탕으로 한 명상적 관찰(RO)과 정보 인식 차원에서의 정의적 성향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 경험(CE)을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일수록 보다 활발한 참여적 차원의 상호작용을 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중 사회적 차원의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분산자와 수렴자 사이에 통계적으로 우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적 차원의 상호작용이 정보 처리(processing)측면과 정보 인식(perceiving) 측면에서의 학습자의 경향성을 모두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정보의 처리 및 인식 측면에서의 지각적․정의적인 경향이 있는, 명상적 관찰(RO)과 구체적 경험(CE)을 선호하는 학습자인 분산자의 경우 대인간의 관계를 고려한 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반면, 정보의 처리 및 인식 경험(CE)을 학습요소로 사용하는 학습 스타일일수록 더 많은 의미단위를 사용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중 참여적(게시자료 수)차원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분산자-융합자, 분산자-수렴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참여적 차원의 상호작용이 정보 인식(perceving) 측면에서의 학습자들의 경향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정보의 인식 측면에서 정의적인 경향이 있는, 구체적 경험(CE)을 선호하는 학습자인 분산자나 적응자의 경우 활발한 참여적(게시자료 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반면, 정보의 인식 측면에서 상징적인 경향이 있는, 추상적 개념화(AC)를 선호하는 학습자인 수렴자나 융합자는 활발한 참여적 상호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중 참여적 차원에서의 차이는 정보의 인식 경향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정보 처리 차원에서의 지각적 성향을 바탕으로 한 명상적 관찰(RO)과 정보 인식 차원에서의 정의적 성향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 경험(CE)을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일수록 보다 활발한 참여적 차원의 상호작용을 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중 사회적 차원의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분산자와 수렴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적 차원의 상호작용이 정보 처리(processing)측면과 정보 인식(perceiving) 측면에서의 학습자의 경향성을 모두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정보의 처리 및 인식 측면에서의 지각적․정의적인 경향이 있는, 명상적 관찰(RO)과 구체적 경험(CE)을 선호하는 학습자인 분산자의 경우 대인간의 관계를 고려한 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반면, 정보의 처리 및 인식 측면에서의 행동적․상징적인 경향이 있는, 능동적 실험(Active Experimentation: AE)과 추상적 개념화(AC)를 선호하는 학습자인 수렴자는 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준다. 따라서,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중 사회적 차원에서의 차이는 정보의 처리 및 인식 경향 모두에 다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정보 처리 차원에서의 지각적 성향을 바탕으로 한 명상적 관찰(RO)과 정보 인식 차원에서의 정의적 성향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 경험(CE)을 선화하는 학습 스타일일수록 보다 활발한 사회적 차원의 상호작용을 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 중 상호작용적 차원과 인지적 차원의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의미단위 사용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분산자와 융합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정보 처리(processing)측면 연속선상에서의 지각적 처리 경향을 나타내는 명상적 관찰(Reflective Observation: RO)을 바탕으로, 정보 인식(perceiving)측면 연속선상에서의 학습자들의 특정한 경향성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분산자와 융합자는 모두 정보의 처리에 있어 실재적 사실성이 없는, 주로 이론과 계획에 관심을 갖는다는 점에서 동일하게 명상적 관찰(RO)의 지각적 경향성을 가지고 있으나, 분산자의 경우 새로운 아이디어 표현하기를 선호하며 특히 사람을 좋아하는 정의적 성향으로 구체적 경험(CE)을 주로 활용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따라, 많은 상호작용 차원의 메시지를 사용할 뿐 아니라 인지적 차원에서도 활발한 상호작용을 나타낸 것에 비해, 융합자의 경우 제시된 아이디어 등을 바탕으로 귀납적인 추론 및 통합된 설명을 유추하며 또한 이론 개발 및 기획 등의 추상적 개념화(AC)의 경향이 강하여, 상호작용적 차원의 메시지나 인지적 차원의 메시지 사용에서도 단일적이며 명료한 메시지만을 나타냄으로써 그다지 활발하지 못한 상호작용을 나타내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내용 면에서의 질적 수준인 토론능력에는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연구 결과, 적응자와 분산자, 적응자와 수렴자의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내용 면에서의 질적 수준인 토론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보의 처리 및 인식 측면에서의 행동적․정의적인 경향이 있는 학습유형, 즉 능동적 실험(AE)과 구체적 경험(CE)을 선호하는 학습자인 적응자의 경우, 내용 측면에서 토론의 주제에 적합하고 논리적이며 주관이 뚜렷한 질적 수준이 높은 메시지를 게시하는 반면, 정보의 처리 및 인식 측면에서의 지각적․정의적인 경향이 있는 학습유형, 즉 명상적 관찰(RO)과 구체적 경험(CE)을 선호하는 학습자인 분산자나 능동적 실험(AE)과 추상적 개념화(AC)를 선호하는 학습자인 수렴자인 경우 내용 측면에서 질적 수준이 낮은 메시지를 게시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내용 면에서의 질적 수준인 토론능력의 차이는 정보의 처리 인식 경향 모두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정보 처리 차원에서의 행동적 성향을 바탕으로 한 능동적 실험(AE)과 정보 인식 차원에서의 정의적 성향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 경험(CE)을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일수록 보다 높은 질적 수준의 메시지를 게시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각 학습 스타일의 학습자들은 정보의 인식과 처리에 있어 각기 다른 선호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웹 기반 토론을 통한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을 창출하고자 하는 경우, 교수자들은 각 학습 스타일의 정보의 인식과 처리에 대한 선호 경향을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상호작용 창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각 개별 학습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개별 토론 형식의 웹 기반 토론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습 스타일을 고려한 웹 기반 토론의 활용이 필요함을 고찰해 보았으나, 이와 더불어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라 대집단, 소집단 등의 집단 규모나 협동학습 등의 학습 형태에 따른 상호작용 유형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연구 및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자-내용,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에서의 상호작용 유형은 어떻게 달라지는 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유형을 비교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부담감이 많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에서의 상호작용 유형은 학습 스타일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 스타일에 따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내용 면에서의 질적 수준인 토론능력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웹 기반 토론을 통한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내용 면에서의 높은 질적 수준을 위해, 높은 토론능력을 보인 학습자들의 정보에 대한 인식과 처리 경향성을 활용하여 그렇지 않은 다른 유형의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상호작용 내용 면에서의 높은 질적 수준을 보이는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다른 유형의 학습자들과 상호작용할 때, 어떤 유형의 학습자들이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는, 가장 높은 토론능력을 보이는 학습자들이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을 통해 모방학습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 유형은 어떤 학습 유형인지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n recent years, the advanced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represented by the Web has been suggested various impacts and significant changes in many areas of our society including the realm of Education.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the Web based learning system has contributed to build up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practicing the constructive learning theory which is the learner-centered learning method since the system was able to provide the desired environments such as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authentic learning, learning through reflective thinking, interactive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In other words, we can elaborate the possibility of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is the educational paradigm of information-communication era through the Web based learning environment.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o learning, the learner's learning styl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for successful learning in the Web based learning environment. Many study results endorsed the importance of the learner's learning style in the environment(Frey & Simonson, 1993; Liu & Reed, 1994; Weller et al., 1994) and also indicated that interactions in learning can be influenced by learning style(Enochs et al., 1985; Wood et al., 1996; Yoder, 1994). Therefore, to provide the best learning environments to learners in the Web based, learning environments and learners' various learning styles, especially about ways of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ing methods and the learners' learning styles in the Web environments.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utilization of the web as a means of interaction for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classes, I analyzed the types of learner-learner interactions and the discussion quality level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Accomodators, Divergers, Assimilators, Comvergers) among the facters that impact on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detailed issues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ypes of learner-learner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 To investigate these issues, I distributed Kolb's Learning Style Inventory to the attended undergraduates at the class in which the interactive web-based discussions were made. Through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to the Inventory,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of learning styles: Accommodators, Divergers, Assimilators, and Convergers.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learner-learner interactions and in the discussion quality level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eb-based discussion materials written by the students, I used the ANOVA Analysis and the Scheffé Pro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the 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learner-learner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 there a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Unit of Meaning(F=4,436, p<.05), Participative Dimension(F=5.608, p<.05), Social Dimension(F=3.756, p<05), Interactive Dimension(F=4.744, p<.05), and Cognitive Dimension(F=3.743, p<.05). However, there i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tacognitive Dimension(F=.599, p>.05). Second, as result of the 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discussion quality level of the content in learner-learner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 there a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F=7.774, p<.05), in the discussion quality level of the content between Accomodators-Divergers and between Accommodators-Convergers. The level of Accomodato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categor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 the issue of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learner-learner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 1)In the use of the Unit of Meaning among the types of the learner-learner interaction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vergers and Assimilators. Such result show that the use of the Unit of Meaning can very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perce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perceptive" tendency of processing information. Also, it indicates that those who use a learning style based on Concrete Experience(CE) and Reflective Observation(RO) use Units of Meaning much more. 2)In the Participate Dimension among the types of the learner-learner interaction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vergers-Assimilators and between Divergers-Convergers. These differences show that the interaction type in the Participative Dimension can vary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perceiving information. Especially, those who prefer a Concrete Experience(CE) based on the "perceptive" tendency of processing information and Reflective Observation(RO) based on the "emotional" tendency of perceiving information show a very active interaction tendency in the Participative Dimension. 3)In the Social Dimension among the types of the learner-learner interaction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vergers and Convergers. These differences show that the interaction type of the Social Dimension can vary according to "information perceiving" tendency as well as "information processing" tendency. Especially, those who prefer a Concrete Experience(CE) based on the "perceptive" tendency of processing information and Reflective Observation(RO) based on the "emotional" tendency of perceiving information show a very active interaction tendency in the Social Dimension. 4)In the Interactive Dimension and Cognitive Dimension among the types of the learner-learner interaction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vergers and Assimilators, such as the use of the Unit of Meaning. These differences show that the interaction type of the Interactive Dimension and Cognitive Dimension can vary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perce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perceptive" tendency of processing information. Those who prefer a learning style using Concrete Experience(CE) as the learning elements, and based on Reflective Observation(RO), show a much more active interaction tendency in the Interactiv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Dimension. Second, on the issue of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iscussion quality level of the content in learner-learner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comodators-Divergers and between Accomodators-Divergers, and between Accomodators-Convergers in the learner-learner interactions. This higher quality of the Accomodators, reflect the difference of the discussion quality level of the content in the learner-learner interactions, and can vary according to "information perceiving" tendency as well as "information processing" tendency. Especially, those who prefer an Active Experimentation(AE) learning style based on "behavioral" tendencies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dimension", and their Concrete Experience(CE) learning style based on the "emotional" tendency in the "information perceiving dimension", represent much better statements in discussion quality on the web.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