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성취목표, 자기규제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Title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성취목표, 자기규제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Authors
김보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가 지식기반사회로 전환되면서,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이 점차 복잡해지고, 새로워지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교육과 학습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자각한 사회 구성원들의 교육과 학습에 대한 요구 또한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기존의 전통적 방식의 교육으로 충당하기에는 양적 측면을 고려할 때, 턱없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내용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적합하지도 않다.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없는 전통적 방식의 교육이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지식을 적시에 충당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새로운 교육적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새로운 교육적 요구를 탄생시킨 틀 안에서 찾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의미에서 웹 기반 교육은 새롭게 출연하는 교육과 학습의 문제를 가장 현실적인 동시에 이상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다. 최근 각 대학과 기업들이 가상교육, 사이버 교육 등의 이름으로 웹 기반 교육을 시도 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대학과 기업들은 웹이라는 매체의 교육적 기능 및 가능성에 대한 진지한 고찰도 없이 성급하게 웹 기반 학습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 결과 웹 기반 학습을 기존의 교육환경의 연장선에서 보는 우를 범하고 있다. 이에 웹 기반 학습의 독특한 특성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필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는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성취목표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학습자의 성취목표가 자기규제학습전략의 사용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기규제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써, 웹이라는 매체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개별학습 매체로 사용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성취목표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웹 기반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성취목표가 자기규제학습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웹 기반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자기규제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2000년 1학기 현재 웹 기반 학습을 진행 중인 Y대학교 심리학과 전공 과목인 ‘발달 심리학’을 수강하는 53명 중에서 설문에 참여한 43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 자기규제학습전략, 학업성취도를 검사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한 기초적인 분석의 단계로 측정된 데이터의 평균, 표준편차를 측정하였고,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지하였다. 또한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인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데이터는 통계 패키지 SPSS 9.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인 완숙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 중에서 완숙목표만이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Stepwise 방식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완숙목표가 학업성취도를 21.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482, p<.01) 즉, 학업성취도의 21.3%는 완숙목표에 의한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완숙목표와 학업성취도의 관계는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완숙목표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r=.405의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러한 결과는 웹 기반 학습 상황에서 완숙목표는 학업성취도와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에 있으며, 완숙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 중에서 학업성취도를 가장 강력하게 예언하는 변인이라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이 같은 결과는 완숙목표와 학업성취도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던 전통적인 학습 상황에서 실시된 연구들의 결과와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완숙목표가 학업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학업성취도를 예언하는 강력한 변인으로 확인된 것은 본 연구가 삼중성취목표구조를 기반으로 연구를 실행했다는 점과 웹 기반 학습상황이 전통적인 학습상황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학습환경이라는 점을 근거로 들 수 있다. 특히, Ames(1992)가 주장했던 교사의 역할 및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자율권, 주도권을 어느 정도 갖는지의 여부와 과제와 학습활동의 설계가 학습자들이 학습에 접근하는 방식과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이 확인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성취목표가 자기규제학습전략 중에서 정보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회귀분석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성취목표가 정보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각 성취목표와 정보습득이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성취목표와 정보습득과의 관계에서 의미있는 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것과는 달리 정보변형과의 관계에서는 수행접근목표와 정보변형이 높은 부정적 상관관계에 있으며(r=-.428, p<.01), 성취목표 중에서 수행접근 목표가 정보변형을 부정적으로 예언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행접근 목표가 정보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알아보기 위하여 성취목표 변인을 Stepwise 방식으로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행접근목표가 정보변형을 16.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428, p<.01). 즉, 정보변형의 16.3%는 수행접근목표의 영향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수행접근목표 수준이 높을수록 정보변형전략의 사용에 부정적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적은 노력으로 좋은 성취를 거두려는 동기적 의도로 설명되는 수행목표가 많은 인지적 노력을 요하는 정보변형 활동과 부정적 관계에 있다는 것은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기규제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즉, 정보습득과 정보변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 같은 결과는 봉미미(1998)의 지적대로 Corno와 Mandinach(1983)가 규정한 자기규제학습과정의 두 가지 큰 범주인 정보변형과 정보습득이 각 범주별로는 어느 정도의 변별성을 보이지만, 하위 범주인 주의, 선택, 연결, 계획, 감찰에 있어서는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지적과 일치되는 결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도 정보변형과 정보습득의 하위 범주의 일관성 부족이 정보습득과 정보변형의 변별성을 낮춰서 각 변인이 독특한 방식으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보변형과 정보습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던 또 다른 근거로 앞서 지적한 변인 간의 일관성 여부의 문제와 더불어 본 연구의 대상이 비교적 자기규제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대학생이었다는 점과 대상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의 표준편차가 낮아서 학업성취도 면에서 볼 때 연구대상의 동질성이 높았던 점도 자기규제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없게 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웹 기반 학습에서 성취목표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완숙목표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수행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이 웹 기반 학습과 전통적 교실학습을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과 학생의 학습에 대한 자율권이라는 견지에서 봤을 때, 전적으로 웹 기반에서 이루어지는 학습과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전적으로 웹 기반에서 이루어지는 학습환경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와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연구하면, 본 연구에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던 수행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더불어 성인 학습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정보습득과 정보변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앞서 지적한 몇 가지 이유로 그 영향을 확인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후속연구에서는 정보습득과 정보변형의 범주에 속하는 주의, 선택, 연결, 계획, 감찰의 변별성 및 일관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정보습득과 정보변형 이외의 다양한 자기규제학습전략들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여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완숙목표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여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완숙목표와 학업성취도 사이를 중재하는 매개변인을 확인하는 후속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동기가 학습전략에 영향을 주고, 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이미 여러 선행연구에서 확인되었다(e.g. Elliot, McGregor, & Gable, 1999).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완숙목표와 학업성취도 사이를 중재하는 학습전략을 확인하고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를 오히려 낮추는 학습전략을 구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웹 기반 학습의 창출을 위한 설계에 전략적으로 활용해야할 것이다. ;Shifting from the information society to the knowledge-based society, members of society are required to acquire the variable knowledge and technology. Accordingly, social needs for education and instruction have enlarged. But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isn't appropriate for the solution that meets new social needs in quantity and in contents. Especially, because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can't keep up with rapid change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can't keep up with rapid changes of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it isn't able to satisfy today's social needs for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s, it is therefore appropriate to resolve today's educational problems with new knowledge and technology that raise social needs. In this sentence, Web-based instruction is most suitable solution to solve today's educational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any studies, the internet and the WWW(World Wide Web) have already demonstrated educational possibility. Web-based instruction has been therefore introduced or is being prepared to introduce in many universities and institutes. However, most of them have weak or little strategy and plan to establish sound web-based instruction. Also they seem to be without understanding and serious consideration of their nature. Consequently, in order to implement the successful web-based instruction, it should be carried out in various studies to discover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web-based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on exam performanc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exam performance in Web-based instruc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1) Is there any effect of achievement goals in web-based instruction environment on the exam performance? 2) Is there any effect of achievement goals in web-based instruction environ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3) Is there any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 web-based instruction environment on the exam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 students enrolled in a web-based instru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in the Y University. Only 43 students of 5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web-based survey that covers achievement goa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Release 9.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gression of exam performance on the stepwise model yield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for mastery goals. Mastery goal were positively related to exam performance. Only mastery goals of exam performance were to exam performance. Only mastery goals of exam performance were positive predictors of exam performance(Beta= , p<.001). Consequently, it means that students with high mastery goals can make better achievement in the web-based instruction environment. Second, the regression of information acquisition on the basic model didn't yield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for achievement goals(p<.05). Whereas regressing information transformation on the stepwise model yield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for performance-approach goals. Performance-approach goals were negative predictors of information transformation(Beta= , p<.001). Performance-approach goals represent a focus on relative ability and student with performance-approach goals are those who try only to complete the work without exerting to much effort. Therefore, that performance-approach goals were negative predictor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requiring cognitive predictor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requiring cognitive effort such as information acquisition accords with existing researches. Third, the regression of exam performance on the stepwise model didn't yield a significant relationship fo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information transformation (p<.05). This result accords with Bong(1998)' opinion that point out a lack of consistency of Corno and Mandinach(1983)'s self regulated learning model.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was implemented in the class progressing web-based instruction together with traditional lecture based learning. However, to investigate the exact effect of achievement goals on exam performance in the web-based instruction,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sound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Second, this study didn't prove the effect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information transformation on exam performance in the web-based instruction. Therefore, in the future, studies to identify consistency of two variables and their components (alertness, selectivity, connection, planning, monitoring) should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Third, this study proved the effect of mastery goals on exam performance in the web-based instruc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studies to find out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 goals and exam performance in web-based instruction should be carried out a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