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재은-
dc.creator김재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4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5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434-
dc.description.abstract다양성과 복잡성, 빠른 변화라는 정보사회의 구조적인 특징은 정보에 대한 요구를 급격하게 증대시켜, 정보 또한 빠른 증가와 변화의 행보를 보이게 되었다.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한 개인이 자신에게 필요한 모든 정보를 학습을 통해 체득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며, 가능하다고 해도 비능률적인 일이다. 가르치고 배우는 기존 교육의 틀을 벗어나 스스로가 자신의 정보 요구를 결정하고, 필요한 정보를 검색, 가공,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 정보사회에 보다 적합한 정보 문제 해결방법이자 기본적 사회능력이다(교육부 ․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1998). 이러한 맥락에서, 원하는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정보 검색 능력과, 보다 효율적인 정보 검색을 수행해주는 정보 검색 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본 연구에서 교육 분야의 정보 검색에 있어서 검색자의 인간적 측면, 즉 성격 유형이 정보 검색 양식 및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성격 유형이란 개인이 가진 심리 경향 및 환경에 반응하는 태도이며(Myers & McCaully, 1995), 정보 검색 양식이란 정보 검색 행태 사용의 선호도로 구분되는 정보 검색 습관으로, 시스템 기능을 조작하는 조작형 검색 행태를 많이 사용하는 개념형 검색 양식, 두 검색 행태를 비슷한 비율로 사용하는 혼합형 검색 양식으로 구분된다(Fidel, 1985). 정보 검색의 결과는 검색 결과 중 적합한 자료의 비율을 나타내는 정확률과 데이터베이스 내에 보유된 전체 적합 자료 중 검색된 자료의 비율을 나타내는 재현율을 의미한다(Wallker & Janes, 1999).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웹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정보 검색 과제의 수행에 있어서 검색자의 성격 유형에 따라 정보 검색 행태와 양식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또 정보 검색 결과는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교육정보 검색 시스템을 통한 정보 검색 과제의 수행에 있어서, 검색자의 성격 유형(감각-인식형, 감각-판단형, 직관-사고형, 직관-감정형)에 따라 정보 검색 양식(조작형 검색 양식, 개념형 검색 양식, 혼합형 검색 양식)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둘째, 정보 검색 과제의 수행에 있어서, 검색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정보 검색 결과의 재현율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셋째, 정보 검색 과제의 수행에 있어서, 검색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정보 검색 결과의 정확률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질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E대학의 교육공학과 대학원생 12명(감각-인식형 3명, 감각-판단형 3명, 직관-사고형 3명, 직관-감정형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연구참여자들은 FirstSearch ERIC 정보 검색 시스템을 통하여 주어진 정보 검색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수행한 정보 검색 과제의 과정을 바탕으로 검색 행태가 조작형 검색 행태와 개념형 검색 행태로 분석되었고, 이를 토대로 산출된 개별 참여자의 검색 행태 사용 비율에 따라, 검색 양식이 조작형 검색 양식과 개념형 검색 양식, 혼합형 검색 양식으로 규정되었다. 정보 검색 과제의 결과에 대해서는 전무가의 적합성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정확률과 재현율이 계산되었다. 성격 유형에 따른 정보 검색 양식의 차이는 질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정보 검색 결과의 정확률, 재현율에 대한 통계 분석은 소수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3개 이상의 독립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Kruskal-Wallis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유의도 .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별로 나타난 세부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성격 유형에 따른 정보 검색 양식의 차이에 관한 결과에서는 감각-인식형, 직관-사고형은 개념형 정보 검색 양식을 선호하였고, 감각-판단형은 조작평 정보 검색 양식을, 직관-감정형은 혼합형 정보 검색 양식을 취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작형 검색 양식과 개념형 검색 양식 검색자가 동시에 나타난 성격 유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정보 검색 양식을 규정하는 정보 검색 행태 사용 비율에 있어서는 성격 유형에 다라 차이가 나타났다. 구조화, 체계화된 틀에서 학습하기를 선호하는 감각-판단형의 검색자와 자기만의 독특한 방식을 선호하는 직관-감정형의 검색자는 조작형 검색 행태 사용 비율이 다른 성격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체계와 규칙을 싫어하는 감각-인식형 검색자와 지적 호기심과 집념을 지닌 직관-사고형 검색자는 다른 성격 유형에 비해 개념형 검색 행태 사용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성격 유형에 따른 정보 검색 결과의 재현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재현율은 13.32%로 나타났으며, 성격 유형별로는 감각-인식형의 검색자는 10,94%, 감각-판단형의 검색자는 17.53%, 직관-사고형의 검색자는 10.59%, 직관-감정형의 검색자는 10.76%의 재현율을 나타내었다. 성격 유형에 따른 재현율의 차이는 수치 상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통계적으로도 검증되지 않았다. 세 번째 연구 문제인 성격 유형에 따른 정보 검색 결과의 정확률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전체 연구참여자의 평균 정확률은 54.78%로 나타났으며, 성격 유형별로는 감각-인식형의 검색자는 53.23%, 감각-판단형의 검색자는 73.92%, 직관-사고형의 검색자는 42.21%, 직관-감정형의 검색자는 50.77%의 정확률을 나타냈다. 이에 딸, 감각-판단형의 검색자가 다른 성격 유형의 검색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률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성격 유형에 따른 정확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로 성격 유형에 따라서, 사용하는 정보 검색 행태의 비율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감각-판단형과 직관-감정형의 검색자는 조작형 검색 행태의 사용 비율이 다른 성격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감각-인식형과 직관-사고형 검색자는 다른 성격 유형에 비해 개념형 검색 형태의 사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조작형 검색 행태는 검색 시스템을 체계적, 규칙적으로 관리, 조작하며, 수행 결과 검색자에 따라 독특한 검색식과 검색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틀을 선호하는 감각-판단형과, 자기만의 독특한 방식을 선호하는 감각-판단형의 검색자 특성에 부합되는 검색 행태로 여겨지며, 개념형 검색 행태는 지속적인 개념의 변형 및 변경을 시도하는 검색 행태로 체계와 규칙을 싫어하는 감각-인식형 및 지적 호기심과 집념을 가진 직관-사고형 검색자 특성에 부합되는 검색 행태로 여겨진다. 최근의 웹 기반 정보 검색 서비스는 개인의 특성에 맞추어 개별화, 고객화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따라, 검색자의 성격을 감안하여 정보 검색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와 메뉴 구조, 기타 지원 기능 등을 차별화하여 제공하면 정보 검색자의 만족도와 정보 검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둘째, 교육 관련 학술 정보 검색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는 구조화, 체계화된 틀 속에서의 학습을 선호하는 감각-판단형이 다른 성격 유형에 비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Myers & Briggs, 1995). 본 연구에서도 연구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한 성격 유형 검사에서 전체 22명 중 감각-판단형이 10명으로 나타나 다른 성격 유형보다 월등히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관련 정보 검색 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육 정보 검색 시스템의 구축과 설계에 있어서는 수요자의 다수를 차지하는 감각-판단형의 특성을 감안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정보 검색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중 성격 유형에 대한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성격 유형 이외에도 정보 검색자의 선수 지식 및 검색과제의 유형에 따라 정보 검색 양식 및 결과에 많은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정보 검색 양식 및 정보 검색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 보다 많은 추후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e differences of searching styles and search outcomes among searchers of distinct personality types on web-based education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In order to examine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searchers' personality types on web-based education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First, are the searching styles different? Second, are the estimated recall ratio as search outcomes different? Third, are the precision ratio as search outcomes different? To investigate these,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approach. 12 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Educational Technology for E University selected for this study using Platton(1990)'s purposeful sampling method. They sensing-judgement, intuition-thinking, intuition-feeling) according to measurement of 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conducted the same four information searchers using OCLC FirstSearch ER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For collecting data of searching moves and styles, the observation of information searching was used. Search trails were analyzed using Fidel(1985)'s Moves in Online Searching. For search outcomes, the measurement of the precision ratios and the estimated recall ratios of each participant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the group differenced of searching moves use and searching outcomes, the statistical method of Kruskal-Wallis H was us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the searching moves use ratio according to searchers' personality types using Kruskal-Wallis H and Dunn's multiple comparison test. Sensing-judgement searchers and intuition-feeling searchers were obtained higher operational moves ratios than sensing-perception searchers and intuition-thinking searchers. And the sensing-perception searchers and intuition-thinking searchers were obtained higher conceptual moves ratios than other personality types of searchers. However,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and search outcomes such as the precision ratios and the estimated recall ratios.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Fist, this study found the use ratios of information searching mov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archers' personality types on web-based educational information searching. Recently web-based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d were focused on customized services for individual customers. Thus, personality types consideration is recommended in designing the interfaces and menu structures of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to improve searcher's satisfaction. Second, this study solely focused on the educational information searching. In education area, sensing-judgement personality type is most often. Therefore, serious consideration about sensing-judgement searchers is recommended in the education domai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Third, this study focused on personality types factor of searcher's characteristics. However, more research on other factors such as task complexity, prior knowledge, or self-efficacy need to be continuous conducted. Finally, this study solely focused on web-based information retrieval. Web-based information retrieval environments are different from general web-based searching environments. Thus,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searching styles and search outcomes on general web search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B. 연구 목적 3 C. 용어의 정의 4 II. 이론적 배경 7 A. 성격 유형과 학습 7 1. Jung의 심리 유형론(psychological type theory) 7 2. Myers-Briggs 성격 유형 지표 10 3. 성격 유형과 학습 양식 14 B. 정보 검색 16 1. 정보 검색과 정보 검색 시스템 16 2. 정보 검색의 과정 29 3. 정보 검색의 전략 31 4. 정보 검색의 결과 34 5. 정보 검색 양식 40 C. 관련 선행 연구 42 III. 연구 방법 45 A. 연구 대상 45 B. 연구 도구 46 C. 연구 절차 53 D. 자료 수집 및 분석 53 IV. 연구 결과 분석 59 A. 성격 유형에 따른 정보 검색 양식 분석 59 B. 성격 유형에 따른 정보 검색 결과 재현율의 차이 65 C. 성격 유형에 따른 정보 검색 결과 정확률의 차이 66 V. 결론 및 제언 69 참고문헌[내용누락 ; p.72] 72 부록목차 81 [부록1] 사전 설문지 82 [부록2] 연구 및 연구 절차 안내 85 [부록3] 정보 검색 과제 86 [부록4] 정보 검색 과제 제출지 87 [부록5] 정보 검색 시스템 사용법 안내 88 [부록6] 정보 검색 관찰지 양식 91 [부록7] 정보 검색 관찰지 작성의 예(검색자 I의 경우) 92 [부록8] 정보 검색 과정 전사 동영상 파일의 예(검색자 C의 경우) 93 [부록9] 정보 검색 행태 기록지 양식 94 [부록10] 정보 검색 행태 기록지 작성의 예(검색자 G의 경우) 95 [부록11] 정보 검색 행태 관정 가이드 96 [부록12] 정보 검색 행태 및 양식 분석지 양식 99 [부록13] 정보 검색 행태 및 양식 분석지 작성의 예(검색자 D의 경우) 100 [부록14] 성격 유형별 정보 검색 행태 세부 분석 101 [부록15] 검색 자료 적합성 판정표 102 [부록16] 자료 적합성 판정 가이드 103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313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웹 교육정보 데이터베이스 검색에서 검색자의 성격 유형에 따른 정보 검색 양식 및 결과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