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입학사정관 제도 운영 실태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Title
입학사정관 제도 운영 실태와 입학사정관의 인식
Other Titles
Admission Officers' Present Situation and Perception of Admission Officer System
Authors
권승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태제
Abstract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이 학생을 선발할 때 필요한 평가 요소와 방법을 외국의대학을 토대로 살펴보고 우리나라 입학사정관 제도에서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입학사정관의 평가적 태도와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입학사정관 제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상하고 입학사정관 교육에 시사점을주고자 한다. 따라서 입학사정관 제도 실시 대학과 입학사정관의 특성, 입학사정관 제도 시행의 실태를 조사하고 입학사정관의 직무내용과 능력, 자질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입학사정관 제도가 우리나라의 교육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의견 분석과 제도의 정착을 위한 방안과 시사점에대해서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입학사정관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대학의 현황과 특성(소재지, 규모, 설립 형태, 선정 시기) 파악, 둘째, 입학사정관의 특성(성별, 연령, 최종 학력, 경력, 입사 경로, 연봉, 계약 형태) 파악, 셋째, 입학사정관 제도의 실시 현황 조사, 넷째, 입학사정관이 담당하는 업무와 입학사정관의 자질과 태도에 대한 인식 분석, 다섯째,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입학사정관의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도에 입학사정관 제도를 시범적으로 실시하는 대학교와입학사정관들을 연구의 모집단으로 정하고, 40개 대학교 155명의 입학사정관에게설문지를 발송하여 대학교는 전체의 70%에 해당하는 28개, 입학사정관은 46.5%에해당하는 72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 분석 결과 첫째, 입학사정관 제도를 실시하는 학교는 사립대학교가 국·공립대학교에 비해 2배 정도 많았고, 서울지역과 광역시에 속해있는 대학교가 26개로 중소도시에 있는 대학교의 참여 비율은 낮은 편이다. 입학사정관의 수는 광역시와 중소도시에 비해서 서울지역의 대학교의 입학사정관 수가 많은 추세이고,학교 규모가 클수록, 국·공립에 비해서 사립에서의 입학사정관 수가 많은 경향을보인다. 둘째, 입학사정관의 연령은 대부분 20대에서 40대 사이에 분포하며, 전체 입학사정관의 80%이상이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학사정관의 경력은 대학교나 교육에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직종이 많았다. 입학사정관의 지원 경로의 80% 이상이 채용공고를 통해서 입사하였고, 75%의 입학사정관들이 6개월 이내의 입학사정관 경력을 가지고 있다. 입학사정관 중의 반은 입학관련 업무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의 40.8%가 직급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사정관의 80% 정도는 3,000만원에서 5,000만원 사이의연봉을 받으며, 최종학력이 높고 정규직일수록 높은 추세를 보인다. 입학사정관의85%이상이 비정규직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해서 많은 입학사정관들은제도의 정착을 위해서 법적·제도적 보장이 시급하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사정관의 전공은 사회학, 인문학, 사범대 계열이 많았고, 이공 계열과 예술 계열은 낮았다. 셋째, 입학사정관 제도 시행에 있어서 대부분의 대학은 입학사정관의 업무와 조직이 독립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선발 기준을 설정함에 있어서도 학교와기존 입학관련 부서의 기준을 따른다고 조사되었다. 대부분 대학교에서 학생평가와 선발에서 2~3인 이상의 입학사정관이 같이 채점을 하며, 입학사정관의 판단이학생선발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성적반영은 대부분 20~60%정도의 수준으로 골고루 분포하였다. 그리고 학생선발의 검토 기준은 비교과 영역, 자기 소개서, 특기사항 등의 비학문적 요소를 강조한다. 넷째, 입학사정관으로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업무는 학생의 평가 및 선발과 입학전형의 계획, 연구, 기획이며 평가기준과 척도 설계, 전형 자료 분석과 관련된업무가 많았으며 입학 홍보와 상담에 대한 업무의 중요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사정관들의 교육은 학교 내의 연수보다 대교협과 같은 기관의 주관으로하는 연수의 참여가 높았다. 이는 미국과 비교했을 때 낮은 수치이며 보다 심도있고 평가의 방법론적인 부분에 대한 입학사정관 교육이 절실하다. 또한 연수의횟수와 시간은 신규학교에 비해 계속학교가 2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입학사정관들의 기대하는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인식이 좋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학교와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입학사정관의 성별, 학교 규모, 입사 동기에서 집단 간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입학사정관에게 부여되는 독립성의 유무에따라서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입학사정관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 법적·제도적인 보장을 통해서 업무 환경을 원활하게 하여야 한다. 또한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적절한 홍보와 학생선발에 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통해서 입학사정관 제도가 교육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기대를 갖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교육협의회와 각 학교 내의 연수의 질적 양적 발전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입학사정관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서 각 대학교의 학생선발이 인재 발굴의 개념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학생선발에 대해서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입학사정관 제도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 입학사정관이 전문성을 가질수 있도록 심도 있는 입학사정관 교육이 필요하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ecessary evaluation factors and methods based on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when admission officers select students and, at last, to seek the application possibilities on admission policy of Korea. Also, by investigating the evaluating attitude and perception of admission officers, this study anticipates problems which can be generated from admission officer system, it intends to provide suggestions about the education for admission offic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universities which are executing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admission officers,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admission officer system in practice as well as the contents of duties, abilities and qualifications of admission officers in the field. Moreover, 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various opinions about how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ill influence on education development of Korea and to discuss about the plans and suggestion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system. Research problems set for the goal of this study are; First,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location, size, type of foundation, and time of selection) of the universities which are enforcing admission officer system; Seco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dmission officer such as sex, age, education, career, route of employment, salary and contract status; Third, examining current situations of admission officer system in practice; Fourth, analyzing the duties and general perceptions about the qualification and attitude of admission officers; Fifth, analyz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of admission officers about admission officer system. In this study, we set the admission officers and universities which enforced admission officer system in 2008 as the study population, sent questionnaires to 155 admission officers in 40 universities and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72 admission officers that count 46.5% and from 28 universities which count 70.0%. In the result of questionnaire analysis, first of all, the number of private universities enforcing admission officer system is twice that of national or public universities. In addition, 26 of schools are located around the capital, Seoul area, and other metropolitan cities, which means low participation of other universities in medium-small sized cities. The number of admission officers tends to be bigger in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rea than in metropolitan and medium-small sized cities. Also, the bigger the size of school is, the more the number of admission officers shows in private universities than in national or public universities. Second of all, the age range of admission officer is distributed between twenties and forties and over80 percent of the officers hold more than a master’s degree. Moreover, most former work records of admission officers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university or education. More than 80 percent of admission officers entered the university through the job posting, and 75 percent of admission officers had relevant career as admission officer within six months. Half of admission officers had experience in admission affairs, and 40.8 percent have the title based on position rank at the workplace. 80 percent of admission officers receive their salary between thirty million won and fifty million won, and this goes up in accordance with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or with the contract condition such as regular workers. Over 85 percent of vadmission officers are working as irregular workers, and related to this point, a lot of admission officers insist the imminent legal or institutional securities for the safe settlement of the system. Most of admission officers majored in sociology, liberal arts and education, and few of them majored in science, engineering and arts. Third of all, according to the survey, most of universities do not have independence in their organization and duty of admission officers, and they just follow the precedent basis of relevant department and administration in establishing the basis of student selection. In most universities, 2 or 3 admission officers participate in examining and selecting student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and score reflection on the student selection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admission officers are fairly distributed between 20 and 60 percent. Moreover, the standard of student selection emphasizes non-academic factors such as experiences in non-curriculum area, essays, and special activities. Fourth of all, admission officers think much of evaluation and selection of students, as well as planning, researching, organizing of admission process. They also importantly consider planning the standard and measurement of evaluation, and analyzing admission documents. Compared to that, the importance of publicity and counseling about admission process turns out to be very low. The education for admission officers is mostly held in the way of training by institutions such as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rather than by individual university itself. It shows very poor educational system of Korea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which highly requires much deeper education for admission officers so that they can possess more methodological knowledge in evaluation. Also, the survey tells us that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training are twice in continuous schools than in newly-opened schools. Fifth of all, the better the understanding of admission officer system which admission officers expect is,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turns out. As the result o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and individuals, we have found that there are certain differences among groups in sex, the size of school, and motivation of employment of admission officers. Especially, based on the presence of independency given to admission officers, there are specific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bou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conclusion,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admission officer system, a better workplace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securities. Furthermore, by arousing proper publicities and leading changes in social understanding about admission officer system, we need to help general people to think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ill bring positive effects on our whole society and education. For this, the training education by individual university and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Therefore, admission officers should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ose improvements, also they should take up a positive attitude in student selection in each univers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