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모성경험에 내재된 고통현상의 실존적 의미

Title
모성경험에 내재된 고통현상의 실존적 의미
Other Titles
Existential meaning of suffering inherent in the Motherhood-Experience
Authors
신정민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현식
Abstract
Existential Motherhood discourse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mother as an existential human being. Therefore, this study premises that mother as a existential human being is to be discovered through analysis of suffering originated from mothering experience. Since the reasons for pain always arise from painful reality, ignoring suffering means ignoring the most important part in human life. Thus, suffering is surely a critical matter in human life, enabling to realize existential human being in the reality. This study observes problems or situations experienced by mother 'just as it is'. It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new discussion of mothering by suggesting a practical theory that mothers can refer to resolve their problems in their lives. Especially as an independent human being, a mother should recognize her children as independent 'others', not as her possessions or belongings in the Existential Motherhood-Discourse, which emphasizes existential communication with children. Recognizing children as independent 'others' forms a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 as a existential human being and her children. In the existential perspective which considers anxiety and insecurity arise from unstable lives as essential factors, human beings are freemen who choose their lives by constant decision in this unsettled reality. Accordingly, by Existential Motherhood-discourse motherhood-experience is directly interpreted as an existential life problem that a human being can go through. Moreover, a mother respects and controls her desire happening right now, right here, right at this moment by herself. A mother internalizes this attitude toward self-chosen and self-responsible life, and Existential Motherhood-experience acts as the very opportunity for more mature life. This study points out limitation of established the theory of motherhood which majorly focused on microscopic side and social structure. The established motherhood discourse is based on the western feminists's motherhood theory, which was pretty isolated from real life of women. It suggests new motherhood discourse on the basis of previous problems and limitations.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settled as an useful mothering discourse, helping a woman as a mother to live more subjectively and independently.;모성경험은 일반적으로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총체적인 경험이다. 모성 경험의 총체성이란 그 경험의 주체인 어머니의 관점에서 볼 때 어머니가 할 수 있는 일과 해야만 하는 일, 하고 싶은 일과 하기 싫은 일 등이 모두 혼재된 상태이다. 그간의 모성 연구에서는 모성을 대체로 정치ㆍ경제적 맥락에서 가부장적 생활양식의 원천으로 도구화되는 것으로 부각시켜왔다. 즉, 어머니가 할 일과 하고 싶은 일이 아니라 어머니에게 의무적으로 강요되는 일, 어머니의 욕구와 관계없이 해야만 하는 일에 초점을 맞추어 모성논의가 진행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모성논의들은 여성의 삶의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어머니로서 여성의 삶의 기반을 악화시키는 제도적 모순을 개선하는 역할을 해 왔으나, 개별적인 어머니의 일상에 밀착하여 그에 기초한 어머니의 사적 경험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문제를 형성하는 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없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어머니의 경험, 그 중에서도 인간의 가장 사적인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 고통 문제를 통해 실존적 삶에서의 어머니 역할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어머니의 고통은 주로 어머니-자녀관계에서 발생한다. 이 관계는 어머니나 자녀 중 그 어느 누구의 선택에 의한 것이 아닌 각자의 삶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주어진 관계이다. 따라서 그 관계가 불만스럽다고 해서 피할 수도 없으며 관계 자체를 포기할 수도 없다. 이러한 관계적 특성 하에서 대부분의 어머니는 자신이 살아온 삶의 경험과 가치를 기준으로 자녀의 삶에 대한 기대와 열망을 갖게 된다. 그리고 어머니가 공식적 또는 암묵적으로 설정한 자녀에 대한 기대에 자녀가 부합하지 못할 때 일반적으로 어머니는 고통을 경험한다. 또한 이러한 고통은 자녀와 함께 하고 있는 이 순간이라는 현재의 삶에 몰입하지 못하고 관념적으로 설정한 미래의 행복한 삶을 위한 과정으로서 현재를 인식할 때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성숙한 인간이란 부(富), 명예, 사회적 지위 등 이차적으로 본질화된 규정이나 역할 등이 아닌 인간존재 그 자체로서 타인과 관계를 맺는 사람으로서 끊임없이 자신이 처한 삶에서 새로운 삶의 의지를 생성하는 실존적인 주체라는 실존주의적 인간관을 논의의 준거로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별적인 어머니의 모성경험에서의 고통에 주목하여 어머니의 성숙한 삶의 계기로서 모성경험의 가능성을 탐구해 보았다. 오늘날 어머니들이 자신의 삶에서 모성경험을 통하여 겪게 되는 고통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고통을 크게 소유적인 관계에서 비롯되는 고통과 사회적으로 고정관념화 된 어머니상에 대한 내면화로 인한 고통 등 두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첫째로, 소유적인 관계에서 비롯되는 고통은 현대사회의 물질 중심적 사고가 어머니-자녀 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나타난다. 끊임없는 이윤 추구를 위해 무한 경쟁을 조장하는 삶의 환경에서 소유는 곧 존재 가치척도의 하나로 간주될 정도가 되었다. 이러한 소유적 양식은 인간의 일상생활 전반으로 확산되었고, 결국 소유적인 어머니-자녀 관계를 양산하였다. 즉, 어머니는 자녀를 자신의 소유로 바라봄으로써 자녀와 자신의 삶을 동일시하고 어머니가 만든 ‘사회적 성공’이라는 의미체계 안에서 자녀를 평가하고 양육한다. 이런 상황에서 자녀 또한 어머니가 제시하는 삶에 동조하고 어머니가 만든 의미체계를 자기 것으로 받아들이려고 노력하면서 어머니에게 의존하는 삶을 살게 된다. 따라서 자녀가 성장하면서 독립시기가 되어도 소유적 의식을 가진 어머니에게 자녀는 독립적 존재가 아닌 영원히 자신에게 의존하게 해야 하는 소유 대상이 된다. 그러므로 존재로서 분리되지 못함으로써 서로 인격 대 인격으로 만날 수 없는 어머니와 자녀는 함께 있어도 인격적으로 소통하지 못하는 ‘허상적인 관계’로 전락함으로써 어머니와 자녀 모두에게 고통의 요인이 된다. 둘째로, 사회적으로 고정관념화 된 어머니상에 대한 내면화로 인한 고통은 모성의 의미를 어머니 역할의 수행이라는 관점에서만 접근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많은 어머니들이 겪고 있는 고통현상은 어머니라는 현존재보다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어머니 역할이나 의무를 본질화하여 우선시함으로써 어머니의 존재감을 상실하게 한다는 점에서 근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모성경험을 왜곡시키는 이상과 같은 문제들을 분석하고 실존적 모성론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모성경험의 핵심은 독립된 주체로서의 어머니가 자녀와 형성하는 실존적인 관계맺음이다. 어머니로서 여성은 어머니-자녀 관계에서 발생하는 고통을 겪으면서 자신의 존재뿐만 아니라 자녀의 독립적인 존재성을 자각하고 자녀와의 존재적 관계로 나아갈 수 있다. 실존적 모성론에서 어머니와 자녀는 서로 자신의 인간적 실존의 의미를 소통하고 상호이해를 도모하며 살아가는 삶의 주체들이다. 이러한 실존적 존재로서의 어머니와 자녀는 자신의 삶에서 각자 자신의 욕구에 충실하면서도 서로에게 관심을 가지고 존재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일상적인 관계를 형성해 나간다. 본 연구는 사회구조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모성론에서 논의되었던 어머니 역할론에 대한 옹호와 비판보다는 어머니-자녀 관계의 의미를 명료화하는 작업으로서 모성과 모성경험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 실존적 모성론을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모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진 실존적 모성론은 구체적인 현실에서 새로운 어머니 교육의 장을 만들어 나가는 새로운 잠재력을 가질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