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최금영-
dc.creator최금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2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3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나는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한 교사의 안전관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유아의 비안전행동은 부주의한 행동, 위험행동, 위험놀이를 포함한 행동으로 잠재적으로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있는 행동이며 교사의 안전관리는 유아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유아를 관찰하고 비안전행동이 일어났을 때 즉시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나는 유아의 비안전행동의 현황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나는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한 교사의 안전관리는 어떠한가? 2-1.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해 교사의 안전관리는 이루어지는가? 2-2.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해 교사의 안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만 4, 5세 학급교사 25명과 유아 431명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비안전행동과 교사의 안전 관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각 학급의 실내자유선택활동시간과 전이시간을 중심으로 관찰연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비안전행동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도구로 김동은(2005)이 제작한 유아의 비안전행동 목록을 참고하여 보편적인 유아교육기관의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비안전행동이 일어나는 영역·시간 등의 현황과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하여 교사가 어떻게 관리를 하고 있으며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관찰하고 이를 관찰기록표에 기록하였다. 교사의 경력과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교사의 안전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각 하위요인으로 분석 한 후,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비안전행동의 빈도수는 자유선택활동시간 중 597건, 전이활동시간 중 192건, 총 789건의 유아의 비안전행동이 관찰되었다. 짧은 전이활동 시간에 유아의 비안전행동이 집중적으로 일어났다. 유아의 비안전행동이 나타나는 영역은 자유선택활동시간 중에는 쌓기놀이, 특정 영역으로 구별할 수 없는 중간영역, 역할놀이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이시간 중에는 복도, 계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해서 교사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자유선택활동시간 중 일어나는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해서 교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과반수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이시간에 일어나는 대다수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해서 교사가 안전관리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시간과 전이시간에 일어나는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해서 경력이 높고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적을수록 유아교사가 적절한 안전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해 교사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자유선택활동시간과 전이시간에서 공통적으로 교사의 잘못된 자리선정과 다른 업무 때문인 것으로 관찰 되었다. 유아의 비안전행동을 교사가 관리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 자유선택활동 중에는 교사의 잘못된 자리 선정, 다른 업무, 교사의 부재, 물리적 환경의 이유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이시간 중에는 대부분의 경우 교사의 잘못된 자리 선정이 그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An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afety management of a teacher to the unsafety behaviors of children that occu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unsafety behaviors of children are behaviors including careless behavior, dangerous behavior, and dangerous play ,and behaviors which potentially lead to the possibility of safety accident. The safety management of a teacher means that it is to observe children in order to keep the safety of children and to immediately react the unsafety behavior when it occurs. The subject of study to investigate it is as follows. 1. How is the present situation of children' unsafety behaviors which occur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 2. How is the safety management of a teacher to the unsafety behaviors of children that occur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hildren ? 2-1. Is the safety management of a teacher to the unsafety behaviors of children achieved ? 2-2. What is the reason the safety management of a teacher to the unsafety behaviors of children is not achieved ? The object of study is 25 teachers who are charge of 4-5 years old class and 431 children in the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situ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carried out the observing research on the center of each class's indoor child-selected play activity time and transferring time in order to examine children' unsafety behaviors and teachers' safety management. The list of children' unsafety behaviors, which had been made by Kin Dong Un(2005), as a research implement to see the present situation of children' unsafety behaviors was referred, and revised and used so that it appealed to the universal and real stat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It was observed and was recorded in the observatory record table that how teachers manag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range ? time that children' unsafety behaviors occurred and them, and if it was not, what the reason was. It was also examined that how teacher's career and the ratio of teacher to infant influenced the safety management of a teacher. After having been analyzed the collected materials by each subordinate factor,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according to the subject of study were calculated. The analyzed result of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total 789 cases, the frequence number of children' unsafety behaviors, were observed; 567 cases in the child-selected play activity time and 192 cases in the transferring activity time. children' unsafety behaviors concentrated in the short transferring activity time. The range of children' unsafety behaviors was as follows; it appeared in sequence of a piling play, the middle range which could not be distinguished into a certain range, and a role-playing range in the child-selected play activity time, and hallways and stairs in the transferring time. Secondly, it appeared that the cases, which teachers' management had not been achieved to children' unsafety behaviors in the child-selected play activity time, were over the majority. It also appeared that teachers had not been able to manage most of children' unsafety behaviors in the transferring time.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teacher's career was and the less the ratio of teacher to infant was, the more appropriately the safety management was achieved Thirdly, it was observed that the reason, why teachers' management had not been achieved to children' unsafety behaviors in the child-selected play activity time and transferring time, was commonly the wrong-seated selection of a teacher and other duties. To the reason teachers didn't manage children' unsafety behaviors, it appeared in sequence of the wrong-seated selection of a teacher, other duties, the absence of a teacher,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hild-selected play activity time, and the wrong-seated selection of a teacher in most cases appeared as a cause in the transferring ti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안전사고와 유아의 비안전행동 = 5 B. 교사의 안전관리 = 8 1. 교사의 경력 = 12 2. 교사 대 유아의 비율 = 12 C. 관련연구 = 13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연구도구 = 19 C. 연구절차 = 25 1. 예비연구 = 25 2. 본연구 = 26 D. 자료분석 = 27 Ⅳ. 연구결과 = 28 A. 유아의 비안전행동 현황 = 28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비안전행동의 빈도수 = 28 2. 유아의 비안전행동이 나타나는 영역 = 28 B.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한 교사의 안전관리 = 30 1. 자유선택활동시간 중 교사의 안전관리 = 31 2. 전이시간 중 교사의 안전관리 = 33 C. 유아의 비안전행동을 교사가 관리하지 못하는 이유 = 35 1. 자유선택활동시간 중 유아의 비안전행동이 관리되지 못하는 이유 = 36 2. 전이시간 중 유아의 비안전행동이 관리되지 못하는 이유 = 38 Ⅴ. 논의 및 결론 = 41 A. 논의 및 결론 = 41 1. 유아의 비안전행동의 현황 = 41 2. 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한 교사의 안전관리 = 42 3. 유아의 비안전행동을 교사가 관리하지 못하는 이유 = 44 B. 제언 = 47 참고문헌 = 48 부록 = 52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95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의 비안전행동에 대한 교사의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Choi, Kum Yong-
dc.format.pageⅸ,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