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유치원 시범평가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

Title
유치원 시범평가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Perceptions of Directors and Teachers at Kindergartens Participating in the Kindergarten Accreditation Model Project
Authors
임정호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본 연구는 2007년 유치원 시범평가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유치원 평가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유치원 평가 지표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2008년 전면 도입되는 각 시·도의 유치원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마련해주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하며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유치원 평가 지표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07년 유치원 시범평가에 참여한 전국 16개 시·도의 국·공립유치원 42개원의 원장/감 33명과 교사85명, 사립유치원 39개원의 원장/감 34명과 교사 83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유치원 평가 및 평가 지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원장 2명과 유치원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하였고,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배부 및 회수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유치원 평가 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χ²로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가 유치원 평가 지표에 대하여 얼마나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적절성 정도에 대하여 평가 영역별, 평가 항목별로 집단별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고,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시범평가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들은 먼저 유치원 평가의 목적이 전반적인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다른 유치원에 유치원 평가 신청을 권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장과 교사 모두 유치원 평가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치원 시범평가 절차 및 준비과정에 대해서는 원장과 교사 모두 관계 서류 준비가 가장 힘들었으며, 평가 영역 및 지표에 대한 이해가 가장 어려웠다고 답하였다. 유치원 평가 영역 중 가장 개선하기 힘들었던 영역과 개선 기간이 가장 오래 걸린 영역에 대하여 원장과 교사 모두 교육환경 영역이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현장평가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현장 평가위원들의 인원 구성에 대하여 대부분의 원장과 교사가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에 방문했던 평가위원들의 현장평가 과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또한 현장평가 방법으로 평가위원단이 1일 관찰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 시간적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유치원 시범평가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는 대부분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시범평가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들은 유치원 평가 지표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난이도는 원장과 교사 모두 보통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과 교사 모두 교육과정 영역, 교육환경 영역, 실외 교육환경 구성의 적합성, 유아의 건강·안전 영역, 운영관리 영역, 종일반 운영 영역의 유치원 평가 지표 전체 영역에 걸쳐 적절히 구성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the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perception of kindergarten accreditation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2007 kindergarten accreditation model project. In addition, the further purpose is to offer basic information about kindergarten accreditation for 2008 kindergarten accreditation. The study mainly focused on the following two questions: 1. What is the recognition of the directors and teachers on the kindergarten accreditation? 2. What is the recognition of the directors and teachers on the kindergarten accreditation index?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3 directors, 85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 and 34 directors, 83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 participated in the 2007 kindergarten accreditation model project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a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turn their completed answer sheets by using enclosed envelopes. For data handling, SPSS 12.0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and percentage in order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directors and teachers at the kindergarten about accredit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as for their awarenes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most of the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reported positively on the kindergarten accreditation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level of education was improved as well as the environment of facilities. They were satisfies that the acquisition of accreditation served to enhance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econdly, the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on the kindergarten accreditation index and the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index.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