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7 Download: 0

만 4세 하늘반의 음악교육의 양상과 교수 방법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만 4세 하늘반의 음악교육의 양상과 교수 방법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about an Aspect of Music Education and Teacher's Instruction in Ha-neul class
Authors
강은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aspects of music education and teachers' instruction taken place in Ha-neul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bout music education that children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a daily lesson in child education organization, and to analyze what instruction was used during the progress. To achieve this goal, a qualitative study was used and the following are there search problems. 1. What are the aspects of music education in Ha-neul class for 4-year-old children? 2. What is the instruction for music education in Ha-neul class for4-year-old children? This study took place in Ha-neul class for 4-year-old children in Se-young kindergarten in Seoul.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2 teachers and thirty children, and I observed them for eighteen times from September 5, 2008 to October 14, 2008. A teacher interview includes the content of a formal interview once, and the most part of the teacher interview was done by informal conversations using a phone. I observed all-day-long schedules and prepared all the copies for video clips and photographing, and then encod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method by Bogdan and Biklen(2007).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aspects of music education in Ha-neul class, the children were participating in music education in daily schedules such as being in a line, gathering as a group, group activities, arrangement, moving to another place, and going back home. Likethis, the children can have music education in ordinary schedule. Music education which was taken by the children in Ha-neul class could be separated into explorat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Exploration progress in Ha-neul class was done by the children experiencing new instruments with regard to 'our own nation', a life topic. After generally exploring in group activities, the children could experience musical elements such as tone, volume of sounds, and rhythm with different sounds from various musical instruments. 'Singing together' was expressed the most as a type of expression, as many experts pointed out in studyes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education in a child education organization. However, I could confirm that not only expression but also many musical elements and activities are included in the progress 'Singing a new song'. The children in Ha-neul class took new songs as a necessary condition as they could do something together repeated ly in daily life, which in the end expanded to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dancing. The experience that the children choose proper songs and sing together is very important in that they can apply to other expression activities such as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dancing. Secondly,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teaching method by a music teacher in Ha-neul class, the teachers possess distinction in progressing music education through everyday-life music education and group activities. Everyday-life music education was done by songs that the children already learned during the day. When the children moved to othe rplaces or were in alive, they were singing songs that they learned on occasion. When the children cleaned and prepared for returning home, teachers were singing songs that they altered by putting every infant's name in the lyrics. By having free play activity time, the children chose musical instrument s and songs related to life topics. The teachers had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hildren in a free mood,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ir expression more than when it was a group activity. 'Singing new songs' was also observed the most to be included in music education by group activities. Especially in Ha-neul class, the teachers tried to teach the children to combine various fields together by having long conversations related to songs in beginning activities of 'singing-new-songs' time. Although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instruction of music education by group activities and ordinary music education, the teachers in Ha-neul class managed music education unitedly with combination of contents and combination of life topics. Besides, they tried to introduce musical elements by executing music education, concerned the children 'expression significantl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music education themselves.;본 연구는 하늘반에서 이루어지는 음악교육의 양상과 교사의 교수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하루일과라는 맥락 안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음악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어떠한 교수방법을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세 하늘반의 음악교육의 양상은 어떠한가? 2. 만 4세 하늘반의 음악교육에서 교사의 교수방법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세영 유치원의 만 4세반인 하늘반에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이 학급의 교사 2명과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8년 9월 5일부터 2008년 10월 14일까지 총 18회의 참여관찰을 하였다. 교사면담은 형식적인 면담이 1회이며, 전화를 사용한 비형식적 면담이 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하늘반의 하루일과를 관찰하면서 현장약기와 비디오 녹화, 사진촬영을 하여 전사본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Bogdan 과 Biklen(2007)의 방법대로 부호화 하고 범주화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 하늘반의 음악교육 양상을 살펴 본 결과 하늘반에서는 유아들이 등원하면서부터 줄서기, 대집단으로 모이기, 대집단 활동, 정리, 교실 외의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귀가 시간 등 하루일과를 통해 유아들의 일상 속에서 음악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늘반 유아들이 하루 일과를 통해서 경험하는 음악교육을 탐색하기, 표현하기, 감상하기로 나누어서 살펴 볼 수 있었다. 하늘반에서의 탐색은 주로 생활주제인 ‘우리나라’와 관련하여 유아들이 처음 경험하게 되는 우리나라 악기를 다루면서 많이 이루어졌다. 대집단 활동을 통해 전체 탐색이 이루어진 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통해 악기마다 다른 소리, 힘의 조절과 연주법에 따라 다르게 나는 악기 소리를 통하여 음색, 소리의 세기, 리듬과 같은 음악적 요소를 경험을 통해 습득 하고 있었다. 표현은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의 실태를 연구한 많은 연구들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노래부르기’를 통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새노래부르기’ 활동 안에는 표현하기 외에도 많은 음악적 요소들과 활동들이 담겨져 있음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하늘반 유아들에게 새노래는 함께 부르고 이를 하루 일과를 통해 반복적으로 부르며 익혀 자유선택 활동 시간에 악기연주나 율동 등으로 확장시켜 놀이 하는 데 필수적인 요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유아들에게 적합한 노래를 선택하여 함께 부르는 경험은 노래부르기 외의 악기연주나 율동 등의 다른 표현활동으로 확장 시켜 풍부한 표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둘째, 하늘반의 음악교육에서의 교사의 교수방법을 살펴본 결과 하늘반 교사는 일상적 음악교육과 대집단 활동을 통한 음악교육을 진행함에 있어서 교수방법에의 차이를 두고 있었다. 일상적 음악교육은 주로 하루 중 배운 노래를 수시로 부르며 이루어지고 있었다. 전이시간이나 줄을 서서 이동할 때는 주로 배운 노래를 수시로 부르고 있었고 정리시간이나 귀가시간에는 특정 노래를 개사하여 교사가 유아의 이름을 넣어 불러주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통하여서는 생활주제에 맞는 악기와 노래를 선택하여 음률 영역에서 노래부르며 악기연주를 하였는데, 이 때에 교사는 대집단 활동 때보다 더 유아의 자유로운 표현을 존중 해 주는 등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유아와 상호작용 하였다. 대집단활동을 통한 음악교육 역시 새노래부르기 활동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특히 하늘반에서는 새노래부르기 시간에 도입부분의 활동에서 노래와 관련된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길게 가짐으로서 다른 영역과의 통합을 시도하고 있었다. 활동의 유형에서는 일상적 음악교육과 대집단 활동을 통한 음악교육에서 교수방법에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지만 하늘반 교사는 표현생활 영역의 내용간 통합 생활주제 안에서의 통합 등 음악교육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이 밖에도 음악교육을 실시하면서 음악적 요소를 소개하도록 노력하고 있었고 유아들의 표현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교사 자신도 음악교육에 적극적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