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위험커뮤니케이션 구성요인에 대한 기대수준에 미치는 영향

Title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위험커뮤니케이션 구성요인에 대한 기대수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Risk Perception on the Expectation level on Risk Communication Process :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Nuclear Risk Perception Characteristics and the Impacts of these Factors by Proximity from the Nuclear Power Plants
Authors
하연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원자력에 대한 일반 공중들의 부정적인 인식은 원자력 정책에 대한 순응도를 낮추고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성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우리 사회의 주요한 갈등중의 하나로 부각된 원자력 위험 논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공중들의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공중의 인식을 바탕으로 원자력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고 실행해 나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중들이 원자력 위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위험 인식에 따라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기대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원자력 위험 인식에 따라 공중들이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어떤 기대요인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 결과를 더욱 심화하여, 위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기대 요인이 공중의 집단 유형 즉, 위험 식에 따른 집단구분과 원전 시설과의 접근 정도에 따른 집단 구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주변지역 주민 500명 (원전 지역 공중)과 서울 및 경기지역 주민 500명 (非원전 지역 공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 구성을 위해 서울 경기근교의 언론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요인 분석후 보다 정교화된 설문문항으로 도출하였다. 설문의 주요 내용은 원자력 위험인식에 대한 문항과 위험 커뮤니케이션 기대수준에 대한 문항, 인구통계학적 변인 문항등으로 구성되었다. 분석을 위해 SPSS 1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t 검증, 군집분석, 다변인 회귀분석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결과가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에 대한 공중들의 위험 인식은 크게 긍정적 집단과 부정적 집단으로 유형화될 수 있었는데, 긍정적 집단은 원자력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낮고, 원자력의 통제가능성 및 예방등에 대한 동의 정도를 나타내는 ‘사전 예방인식’이 높으며, 평소 원자력에 대한 ‘관심’과 ‘사전지식’이 높은 반면, 원자력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은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부정적 인식 집단은 이와 반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원자력에 대한 위험 인식의 세부 항목에 있어서는 원전 지역의 주민들이 비원전 지역의 주민들보다 원자력의 중요성과 안전성에 대해 더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영광과 울진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한편, 원자력에 대한 혜택에 대해서는 월성지역이 가장 높게 나와 방사성폐기물처분장 후보지 결정이후 원자력에 대한 혜택에 민감한 지역임을 보여주었다. 둘째, 원자력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인에 대한 기대수준을 살펴 본 결과, 공중들은 원자력 정보를 제공하는 정부나 원자력 관계기관이 공중과의 대화나 의견 수용을 중요하게 여기고, 윤리의식과 안전의식이 투철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이해하기 쉽고 자세하게 설명된 정보를 희망하고, 공중의 이익을 고려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달받는 공중들의 특성과 연령대를 고려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원자력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원자력을 반대하는 집단의 인식이 변화되고, 정부나 사업자, 주민간의 인간적이며, 끈끈한 공감대 형성을 통하여 원자력으로 인한 갈등을 완화되고 위험과 불안감이 해소’되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원자력에 대한 위험 인식은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인에 대한 기대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원자력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은 커뮤니케이션의 전 과정에 대한 기대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채널과 수용자, 효과 요인에 있어 ‘사전예방 인식’과 ‘관심과 사전 지식’, ‘심리적 불안감’은 모든 하부 요인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보였다. 원자력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인식 집단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기대수준에 대한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원전지역과 비원전 지역에서 원자력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집단이 부정적 인식을 가진 집단에 비해서 세부 커뮤니케이션 요인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지리적 근접성에 따라 위험 인식이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다. 원전 지역의 경우에는 원자력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메시지의 전문성과 채널의 친근성에 대해 영향을 미친데 반해, 비원전 지역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의 전 과정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는 하부 요인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자력의 사전예방인식은 원전지역의 경우, 수용성 확대 효과에, 비원전전 지역의 경우에는 정보원의 개방성에 대한 기대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원자력에 대한 위험 인식이 위험 커뮤케이션의 기대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으며, 위험인식 유형과 지리적 근접성에 따라 이러한 영향력에도 차이가 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공중 중심의 원자력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공중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기대수준이 실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충족되는 것이 균형적인 커뮤니케이션 실현에 중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할 수 있었다.;Public’s negative perception on nuclear risk has been a dragging factor in implementing the nuclear power policy and also an impeding factor in the efficiency of nuclear risk communication.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ublic’s ways of perception on nuclear risk and to develop communication strategies based o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nuclear risk and how these factors impact their expectancy on nuclear risk communication. The subjects were two groups: 500 residents living near 4 nuclear power plants (Kori, Wolsong, Ulchin and Yonggwang) and 500 residents living in and out of Seoul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sed in terms of t-test,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main research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by the public’s perception on nuclear risk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The positive group has lower negative feelings toward nuclear risk and higher perception level of risk control and interest in nuclear power, and the results were the opposite in the negative group, with higher negative feelings toward nuclear risk and lower perception level of risk control and interest in nuclear power. The positive group holds a much higher belief in nuclear safety and importance than the negative group. The residents in Yonggwang ranks the highest in holding a much higher belief in the importance of nuclear power than the residents in other sites and those of Ulchin does in nuclear safety. Wolsong resident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benefits provided by nuclear power. Second, the factor analysis reveals the most preferred types for the nuclear risk communication as follows. The residents in this area expect people in nuclear fields to have an open-mind on two-way communication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 nuclear safety. And also they want nuclear related messages to be provided in an easily understandable way through tailored channels for their needs, age, etc. They believe the aims for risk communication is to change the public’s negative feeling toward nuclear power through good relationships between nuclear operators and residents near nuclear power plants. Third, the risk perception effect on the expectation level of risk communication was examined. People’s anxiety on nuclear risk affects their expectation level of the whole communication process (S-M-C-R-E) Fourth, there is a difference of risk perception effect on the expectation level of risk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oximity from the nuclear power plants. Those living near nuclear facilities have much stronger anxiety and negative feeling toward nuclear risk than those living in Seoul.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eople’s perception on nuclear risk characteristics affects on risk communication expectation level.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mmunic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public’s perception on nuclear risk and their need and expectation level on each risk communication process: sender-message -channel-receiver-effect. This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in providing a better way to meet the public’s need and expectation when the government and nuclear related organizations develop communication policy.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it will help to promote two-way communication in nuclear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