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다정-
dc.creator정다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8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2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87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effectively improve the students with deficiency in reading by analyzing the impact of cultural capital on the reading for learning. The reading for learning deserves attention as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have deficiency in the mother tongue due to early education of foreign language, frequent use of computers and watching of TV. Hence, enabling them to improve their reading and understanding is significantly important. Also, as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is expected to be influenced considerably by the cultural capital, this study will also focus on the role of the cultural capital. Cultural capital is a concept which dominates the French sociologist, Bourdieu’s theory. Bourdieu classifies capital into economic capital,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Economic capital includes the real capital and the monetary capital and social capital is of potential one which an individual receives through a social network as he or she belongs to a certain group. Cultural capital does not directly transfer a social status as the economic capital does, but contributes to the reproduction of the social status through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attitude. Cultural capital encompasses cultural behavior, taste, customs and cultural commodities. The question of whether an entity owns a cultural capital brings the difference in cultural taste, social status and academic accomplishment between groups. Based on Bourdieu’s theory, this dissertation intended to analyze the impact of cultural capital on the children’s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which can directly influence their academic accomplishment.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is not only confined to the learning ability at school, but also refers to the thinking ability in the society and in this study,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read, interpret and criticize by reading a variety of articles. Under this premise, the sub-elements of the measurement tools is comprised of word comprehension, factual understanding, appreciation and evaluation in order to appraise the students’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in 2003 was used to measure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And,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factors of the cultural capital, it has been classified into reading activities, club activities, cultural activities such as artperformance, the amount of books owned and possession of craftwork. To verify the impact of cultural capital on reading for learning, this study has rais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ly, is there a difference in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between gender, the household’s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cultural capital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asset)? Secondly, do the cultural activities influence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of the 3rd year elementary students even aft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household’s socioeconomic background are excluded? Thirdly, do the cultural assets influence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of the 3rd year elementary students even aft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household’s socioeconomic background are excluded? The main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430 students of 13 classes in the third grade in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ungdong-gu and Yangcheon-gu in Seoul).Although the target school is not a representative sample, co-ed school in which students with diverse socioeconomic background was sele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The researcher has carefully explained about the study to the teacher in charge and the survey was sent through mail on May 9, 2007. The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under the teacher’s direction and was directly collected by the researcher on May 10. The survey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25 questions on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which are the dependent variables and 24 questions on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questionnaire on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is divided into three sectors - word comprehension, factual understanding, appreciation and evaluation. The contents of these three sectors have been adopted as they are appropriate for measuring the ability to read, utilize and contemplate the articles. More in-depth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7 questions on word comprehension, 10 questions on factual understanding and 8 questions on appreciation and evaluation. The 49 questions on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5 questions on the general traits of the students, 4 questions on the household’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15 questions on the cultural capital with a time limit of 40 minutes. Among 430 answered sheets excluding the 72 insufficiently answered ones, 358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processed through the SPSS and the T-test,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showed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especially the female had a higher score.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was evident in factual understanding related to recognizing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reasoning, appreciation and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word comprehension sector.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were the father’s occupation for the male students whereas they were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parents,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household and the parents’ mode of reading for the female students. When looking at the hierarchy of these factors, the male students’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influenced in the sequence of father’s occupation and mother’s occupation. For the female students, the household’s average monthly income, the amount of reading of the father, educational level of the father, degree of interest in Korean, extracurricular club activities, experience of private lessons, the amount of reading of the mother, student’s perception of the household’s living standard,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and the experience of the cultural club activities influenced their capability. The next, the impact of the household’s socio economic background on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is as follows. The students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howed higher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and this impact was especially evident in the sector of factual understanding, appreciation and evaluation. When taking an in-depth look, the father’s occupation has exerted meaningful impact on the factual understanding sector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has done so on the appreciation and evaluation sector. The degree of impact of the household’s socioeconomic background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monthly average income, father’s occupation a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household’s living standar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brings about the difference in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and among those,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has considerable influence. Meanwhil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ading for learning multiregression analysis results, 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weekly reading hours, cultural performance, amount of reading of the mother and extracurricular club activities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Also, the reading hours showed meaningful impact on every sector including word comprehension, factual understanding, appreciation and evaluation. Cultural performance had influence on word comprehension where as the amount of reading of the mother had impact on the sector of factual understanding and the extracurricular club activities did so on appreciation and evaluation. Meanwhile, although the household’s belongings excluding the cultural assets such as the degree of books owned showed correlation, their impact were statistically not meaningful. Through this result, cultural assets have smaller impact on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than cultural activities. Secondly, when other variables are excluded, daily average reading hours, weekly reading hours, mode of reading, cultural performance, amount of reading of the father and mother, activities with parents all had meaningful impact. In-school club activities, extracurricular club activities, experience in cultural club activities, experience in learning club activities,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and student’s hobby had influence on the sector of word comprehension, factual understanding and the parent’s hobby had impact on the factual understanding only. Among the cultural activities which influence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especially the mode of reading had the largest impact on all sectors. Thirdly, when other variables are excluded, whereas the amount of books owned had meaningful influence on all sectors, the household’s belongings excluding books had meaningful effect on the word comprehension and factual understanding sectors only. This result shows that the amount of books owned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sectors of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Among the variables of the cultural activities, the daily average reading hours, weekly reading hours, mode of reading, amount of reading of the father and the mother have meaningful impact on the word comprehension, factual understanding, appreciation and evaluation. Likewise, the amount of book possession which is the cultural asset related to reading activities has influence on all three sectors.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the required cultural capital for improving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of the 3rd year elementary students and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Consequently, students who possess more cultural capital had higher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and considering that this has clos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complishment, it supported Bourdieu’s Cultural Capital Theory. Especially, as the cultural assets like the amount of books owned by a household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of the students, reading habits at home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student’s reading for learning capability and to do this, it is essential to have sufficient amount of books.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at educational reading program for the parents are needed for effective reading activities. In the meantime, the role of the school is important to supplement the students who have reading deficiency at home. At school, the teacher’s role as a mentor is significant and the importance of the school library should be acknowledged where various information can be acquired.;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읽기소양에 미치는 문화자본 요인의 영향을 분석하여 읽기소양이 부족한 학생들의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초등학생의 읽기소양에 주목하는 이유는 조기 외국어 교육이나 잦은 TV시청, 컴퓨터 사용 등으로 인해 과거에 비해 모국어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고, 따라서 이들이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읽기소양은 문화자본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예상하기 때문에 문화자본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한다. 문화자본이란 프랑스의 사회학자 부르디외(Bourdieu)이론에서 중심적 개념이다. 부르디외는 자본의 형태를 경제자본(economic capital), 사회자본(social capital), 문화자본(cultural capital)의 세 가지로 구분한다. 경제자본은 실물자본과 금전적 자본을 의미하며, 사회자본은 한 개인이 특정집단에 속함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는 잠재적인 특성을 띤다. 그리고 문화자본은 경제자본처럼 직접적으로 사회적 지위를 전수하지는 않지만 문화적 성향과 태도의 차별화를 통해 사회적 지위를 재생산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문화자본에는 문화행위, 취향, 생활풍습, 문화적 재화 등이 포함되고, 문화자본의 소유 여부는 집단 간 문화적 취향의 차이와 학업성취의 차이를 발생시키고, 나아가 사회적 지위의 차이로 이어진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부르디외의 이론에 기초하여 문화자본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읽기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읽기소양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그리고 장차 사회에 나가서도 학습을 할 수 있는 사고 과정에 작용하는 능력으로, 이 연구에서는 읽기소양을 읽기능력만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글을 읽고 해석하고, 평가하고, 비판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의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읽기소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도구의 하위영역을 낱말 이해, 사실적 이해, 감상 및 평가 능력으로 구성하였다. 읽기소양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003년도에 개발한 평가 문항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문화자본의 요인은 독서활동, 동아리 활동, 문화관람 등의 문화활동과 책 보유 정도, 공예품 소유 등의 문화자산으로 구분하였다. 문화자본이 초등학교 3학년의 읽기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의 읽기소양은 성별,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문화자본(문화활동과 문화자산)에 따라 차이가 나는가? 둘째, 문화활동은 학생의 일반적 특성,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통제한 후에도 초등학교 3학년의 읽기소양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문화자산은 학생의 일반적 특성,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통제한 후에도 초등학교 3학년의 읽기소양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 논문의 주요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이다. 설문조사는 2개의 초등학교(서울시 성동구 소재 초등학교 1개교, 서울시 양천구 소재 초등학교 1개교)의 3학년 학생, 13학급 43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대상 학교의 선정은 비록 대표성 있는 표집을 하지 못하였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조사할 수 있도록 남․녀 공학을 선정하였고, 다양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학교를 선정하였다. 조사방법은 연구자가 섭외한 학교의 3학년 담임교사에게 충분히 설명한 후 2007년 05년 09일에 우편 발송하여 담임교사의 지도하에 설문조사를 하도록 하였으며, 다음날 05월 10일에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설문문항은 종속변인인 읽기소양에 대한 25개 문항과 독립변인에 대한 2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읽기소양에 대한 문항 구성은 낱말 이해, 사실적 이해, 감상 및 평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이 세 가지 영역들의 문항 내용은 글을 이해하고, 활용하고, 고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읽기소양의 측정에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사용하게 되었다. 세부적인 문항은 낱말 이해 7문항, 사실적 이해 10문항, 감상 및 평가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인에 대한 문항은 학생의 일반적 특성 5문항,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4문항, 문화자본(문화활동과 문화자산) 15문항으로 총 49문항이 사용되었으며 응답 시간은 40분으로 하였다. 전체 설문지 430부 중에서 응답 내용이 불충실한 72부를 제외한 총 35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를 사용하여 t검정,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소양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남․녀의 점수 차이는 글의 구조 파악, 추론 등에 관련된 사실적 이해, 감상 및 평가 영역에서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낱말 이해는 상대적으로 차이가 작게 나타났다. 남․녀 학생의 읽기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남학생의 경우, 아버지의 직업이 읽기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학생은 부모의 직업보다는 부모의 학력과 가정의 월 평균 수입 정도, 부모의 독서 유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학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순서대로 보면, 남학생의 읽기소양은 아버지 직업, 어머니 직업 순서로 읽기소양에 영향을 받고 있고, 여학생의 읽기소양에는 월 평균 수입, 아버지 독서량, 아버지 학력, 국어공부 흥미도, 교외 동아리 활동, 과외 경험 유무, 어머니 독서량, 가정의 생활수준에 대한 학생의 인식, 어머니 학력, 문화예술 동아리 경험 순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읽기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학생일수록 읽기소양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사실적 이해, 감상 및 평가 영역이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버지 직업은 사실적 이해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 학력은 감상 및 평가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읽기소양에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어머니 학력, 월 평균 수입, 아버지 직업, 가정의 생활수준에 대한 학생의 인식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경제적 배경 요인이 학생의 읽기소양이 차이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고 그중에서도 어머니의 학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의미한다. 한편, 읽기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문화자본의 하위 요소인 문화활동 중 일주일 독서시간, 문화관람, 어머니 독서량, 교외 동아리 활동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주일 독서시간은 낱말 이해, 사실적 이해, 감상 및 평가의 모든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관람은 낱말 이해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 독서량은 사실적 이해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외 동아리 활동은 감상 및 평가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문화자산인 책 보유 정도와 책 보유를 제외한 가정 내의 소유물은 읽기소양과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아니었다. 이를 통해 문화자산은 문화활동에 비해 읽기소양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다른 변인들을 통제하고 문화활동이 읽기소양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하루 평균 독서시간, 일주일 독서시간, 독서형태, 문화관람, 아버지 독서량, 어머니 독서량, 부모와의 활동은 읽기소양의 모든 영역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내 동아리 활동, 교외 동아리 활동, 문화예술 동아리 경험, 학습 동아리 경험, 동아리 참여정도, 학생의 취미생활은 낱말 이해, 사실적 이해 영역에, 그리고 부모의 취미생활은 사실적 이해 영역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활동 중에서 특히 독서형태는 모든 영역에 걸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른 변인들을 통제하고 문화자산이 읽기소양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을 살펴본 결과, 책 보유 정도는 낱말 이해, 사실적 이해, 감상 및 평가의 모든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에 책 보유를 제외한 가정 내의 소유물은 낱말 이해, 사실적 이해 영역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는 읽기소양의 모든 영역에서 책 보유 정도가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문화활동 변인 중에서 하루 평균 독서시간, 일주일 독서시간, 독서형태, 아버지 독서량, 어머니 독서량이 낱말 이해, 사실적 이해, 감상 및 평가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이 독서활동과 관련 있는 문화자산인 책 보유 정도가 읽기소양의 세 영역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의 읽기소양 향상에 필요한 문화자본이 어떤 것들인지 밝혀내고 영향력 있는 변인들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 결과, 문화자본을 상대적으로 많이 소유한 학생이 읽기소양이 높게 나타났으며, 읽기소양이 학업성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부르디외의 문화자본이론의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특히, 독서와 관련된 문화활동과 가정의 도서수와 같은 문화자산이 학생들의 읽기소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 알 수 있듯이 학생의 읽기소양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독서습관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서수의 확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독서활동을 위해 부모의 독서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한편 가정에서 충족하지 못한 독서결핍을 보충해주기 위해서는 학교의 역할이 중요하다. 학교에서는 멘토로서의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며,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을 깨닫고 도서관을 활용할 수 있는 활동에 힘써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2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영향 = 4 A. 학생 학업성취의 개념과 결정요인 = 4 B. 문화자본 = 6 1. 문화자본 개념과 문화재생산이론 = 6 2. 문화자본의 교육적 의미 = 10 3. 이 연구에서의 문화자본의 개념 = 11 C. 읽기소양 = 12 1. 읽기소양에 대한 정의 = 12 2. 이 연구에서의 읽기소양의 개념과 측정 = 15 Ⅲ. 연구방법 = 17 A. 자료 = 17 1. 조사도구 = 18 2. 조사대상 = 18 3. 조사방법 = 18 B. 측정변인 = 19 1. 종속변인 = 19 2. 독립변인 = 20 C. 분석모형 = 22 Ⅳ. 연구결과 = 23 A.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읽기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3 1. 성별 = 23 2.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 28 3. 문화자본 = 31 B.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읽기소양에 미치는 문화자본의 영향 = 32 1. 문화활동의 영향 = 32 2. 문화자산의 영향 = 47 Ⅴ.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6 부록 = 59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927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문화자본이 초등학생의 읽기소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mpact of cultural capital on the elementary students’ reading for learning-
dc.creator.othernameJung, Dajung-
dc.format.pageiv,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