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지원-
dc.creator황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4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0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37-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of clinical nurse. A convenience sample of 507 registered nurses was obtained from 10 hospital.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for 22 days from March 18 to April 8, 1998.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CTDI) developed by Facione & Facione (1992) and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6-D Scale) developed by Schwirian (1978)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Duncz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mean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47.81 with an item mean score of 4.10. Inquisitiveness was the highest with an mean score of 7.62, while open-mindness was the lowest with an mean score of 5.60. 2. The total mean score of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was 41.56 with an item mean score of 2.77.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the highest with an mean score of 7.23, while education/collaboration was the lowest with an mean score of 6.42. 3.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 3.23, p= .007)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age and period of professional nursing experience. 4.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F= 6.19, p= .000) according to age.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F= 3.73, p=.000) according to marriage.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F= 8.20, p=.000)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F= 10.98, p=.000) according to period of professional nursing experience.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F= 9.65, p=.000) according to nursing care delivery system. 5.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was founded (r= .3899, p=.000). 6. Analysis, critical thinking self-confidence and systematicity were significant variable to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r^(2)= .207). In conclus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fluences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최근의 의료환경은 고도의 기술발달과 병원 재원일수의 단축, 급성기 환자들의 증가로 인해 매우 빠르고 복잡하게 변화해 가고 있다. 급변하는 의료전달체계와 대상자 간호의 특성으로 인해, 간호사에게도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종합적인 결정 능력을 요구하게 되어(신경림, 1995), 전문적인 능력을 갖추고 비판적으로 사고할 줄 아는 전문화된 간호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Maynard, 1996).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에 필요한 인지적 기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를 사용하려는 성향이 있어야 한다(Facione, Facione, & Giancarlo, 1996). 학교 교육의 주요 목표가 비판적 사고능력을 함양하는 것이고, 특히 간호교육에 있어서는 그 특성 상 학교 교육의 결과가 곧바로 간호실무에 직결되는 것임을 상기해불 때, 실제로 임상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비판적 사고성향을 측정하고, 이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수행능력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비판적 사교성향과 간호수행능력을 측정하고,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수행능력 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함으로써, 간호교육과 간호실무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임상 간호사가 제공하는 간호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600병상이상 5개 종합병원과, 경기, 충청, 경상, 전라, 제주 지역에 위치한 400병상 이상 5개 종합병원 총 10개 종합병원의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507명을 임의표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9년 3월 18일부터 4윌8일까지 22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Facione & Facione(1992)이 개발한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CTDI)를 번역, 역번역하여 수정보완하고 Schwirian (1978)이 개발한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6-D Scale)를 번역, 역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 특성 8문항, 간호수행능력 52문항, 비판적 사고성향 50문항의 총 1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얻어진 Cronbach's alpha 계수는 CCTDI .847, 6-D Scale .937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실수와 백분울, 평균, 표준편차, 평균평점,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 상관계수, Multiple Regression의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대상자인 간호사의 평균연령은 27세로 24세 이하가 30.18%, 25-29세가 48.13%, 30-34세가 14.79%, 35세 이상이 6.90%로 모두 여성이었고, 기혼이 27.61%, 미혼이 72.39%였다. 종교는 기독교 34.52%, 천주교 11.83%, 불교 9.07%였다. 교육수준은 간호전문대졸이 55.23%로 가장 많고, 간호대학졸 26.63%, 간호대학 편입과정 재학중 6.90%, 간호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이 4.34%, 간호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중 3.94%. 간호대학 편입과정 졸업이 2.96%였다. 간호사의 임상경력은 평균 4.6년으로 3년 이하가 49.31%로 가장 많고, 4년에서 6년 26.04%, 7년에서 9년 13.41%, 10년 이상 11.24%였다. 간호의 전문영역은 외과계가 45.36%로 가장 많고, 내과계가 32.94%, 기타 21.70%였다. 간호전달체계는 팀간호전달체계 45.56%, 기능적 간호전달체계가 40.24%였다. 2. 비판적 사고성향 비판적 사고성향의 총평균은 47.81, 평균평점은 4.10으로 나타났으며, 각 영역별로 평균은 '호기심이 많음'7.62, '성숙'6.92, '분석'6.91, '비판적 사고자신감' 6.71, '진실추구' 6.60, '체계성' 6.59, '편견없음' 5.60의 순으로 나타났다. 3. 간호수행능력 간호수행능력의 총평균은 41.56, 평균평점은 2.77로 나타났으며, 각 영역별로 평균은 전문적 발전 7.23, 대인관계/의사소통 7.21, 지도력 7.00, 중환자간호 7.00, 계획/평가 6.68, 교육/협력 6.42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의 차이 1) 학력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F=3.23, p=.007) , 간호대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한 간호사가 비판적 사고성향이 유의하게(p<.01) 가장 높고, 간호전문대를 졸업한 간호사가 비판적 사고성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대학 편입과정 졸업, 간호대 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중, 간호대 편입과정 재학중, 간호대학졸업자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부영역 중, '분석'(F=6.18, p=.000), '체계성'(F=4.62,P=.000). '비판적 사고자신감'(F= 4.84, p= .000), '호기심많음'(F=2.41, p=.035)이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임상경력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부영역 중 '비판적 사고 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F=4.38, p=.0005). 3) 결혼상태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부영역 중 '성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3.12, p=.002). 4) 연령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부영역 중 비판적 사고 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F=3.26, p=.0212), 33∼34세의 간호사에서 유의하게(p<.05)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35세 이상, 25∼29세, 24세 이하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수행능력의 차이 1) 학력에 따른 간호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F=8.20, p=000) 간호대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한 간호사가 간호수행능력이 유의하게 (p<.001)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순으로 간호대 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중, 간호대학졸의 순이며, 간호대 편입과정 재학중, 간호전문대졸, 간호대학편입과정 졸업의 간호사는 같은 군으로 나타났다. 여섯 가지 영역 중 지도력(F=2.75, p=.02), 중환자간호(F=5.40, p=.000), 전문적 발전(F=6.17, p=.000) 영역의 능력은 간호대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한 간호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 및 협력(F=7.79, p=.000)과 계획 및 평가(F=5.79, p= .000),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F=5.86, p=.000) 영역의 능력은 간호대 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중이거나 졸업한 간호사가 유의하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임상경력에 따른 간호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F=10.98, p=000), 여섯 개의 하부영역 전체에서 임상경력이 10년 이상인 간호사가 간호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경력이 낮아질수록 간호수행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결혼상태에 따른 간호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F=3.73, p=.000) , 여섯 개의 하부영역 전체에서 기혼이 미혼에 비하여 간호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00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연령에 따른 간호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F=6.19, p=.000) , 여섯 개의 하부영역 전체에서 35세 이상의 간호사가 간호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001)가장 높고, 연령이 낮아질수록 간호수행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간호전달체계에 따른 간호수행능력은 전체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F=9.65, p=.000) 팀간호전달체계에서 일하는 간호사가 간호수행능력이 유의하게 (p<.001)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간호의 전문영역에 따른 간호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환자 간호능력은 내과계 간호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001)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종교에 따른 간호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부영역 중 교육 및 협력 (F=2.43, p=.047)과 계획 및 평가(F=2.43, p=.047)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교육 및 협력과 계획 및 평가능력에서 천주교를 종교로 가진 간호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수행능력의 관계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수행능력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899, p=.000).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부 영역 중 '분석'(r=.4035, p=.000), 비판적 사교자신감'(r= .4038, p=.000), '체계성'(r=.3239, p=.000), '진실추구'(r=.2839, p=.000), '호기심많음'(r=.2733, p=.000), '편견없음' (r=.1016, p=.022)의 영역은 간호수행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비판적 사고성향을 분석한 결과 '분석', '체계성', 비판적 사교 지신감'이 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 세 개의 변수로써 간호수행능력의 20.7%(R^(2)=.207)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영향력의 순위는 '분석'이 가장 높았고, 비판적 사고 자신감', '체계성'의 순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교육 측면 1) 간호학생의 간호지식 뿐 아니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2) 학교수업 및 임상실습은 임상에서 일어나는 실제상황을 고려하여, 복잡하고 위급한 상황에서 간호학생이 스스로 사고하여 그 상황에 적적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을 높일 수 있는 창의적인 교수방법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2. 간호실무 측면 1)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임상경험 년수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무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간호실무에서 신규간호사의 직무교육이나 간호사의 재직교육 전반에 걸쳐 비판적 사고성향 및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2) 간호전문대학을 졸업한 간호사가 비판적 사고성향이 가장 약하고, 간호대학 편입과정에 재학중인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대학을 졸업한 간호사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며, 간호사의 학력이 높아짐에 따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강해짐을 확인하였으므로, 간호사의 전반적인 간호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간호전문대학을 졸업한 간호사가 임상에서 학사학위과정을 계속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3)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수행능력과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병원에서 신규간호사를 선발할 때, 그 기준에 비판적 사고의 평가를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간호연구 측면 1) 우리 나라간호사의 비판적 사교성향과 간호수행능력에 관한 반복연구와, 간호사의 자가보고 형식의 간호수행능력 측정 외에 상위자가 평가한 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을 포함시켜 측정한 연구가 필요하다. 2)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외에 비판적 사고기술을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3) 신규 간호사가 간호사로 일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 경력간호사에 이르기까지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의 변화를 측정하는 종적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문헌고찰 = 6 A. 비판적 사고 = 6 B. 간호수행능력 = 20 C. 비판적 사고와 간호수행능력 = 23 Ⅲ. 연구 방법 = 27 A. 연구설계 = 27 B. 연구대상 = 27 C. 연구도구 = 27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30 E. 자료분석 = 31 F. 연구자의 윤리적인 측면 = 3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2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2 B. 비판적 사고성향 = 34 C. 간호수행능력 = 35 D.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 = 37 E.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수행능력 = 41 F.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수행능력의 관계 = 45 G. 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비판적 사고성향 = 47 Ⅴ. 결론 및 제언 = 48 A. 결론 = 48 B.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62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265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간호사-
dc.subject비판-
dc.subject사고성향-
dc.subject간호수행능력-
dc.title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dc.format.pagex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