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한국 TV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외국인이주노동자’의 재현적 특성

Title
한국 TV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외국인이주노동자’의 재현적 특성
Other Title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Foreign Migrant Workers" in Korea's TV Documentaries : With a Focus on Assimilation and Othering
Authors
장효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 사회 안에서 소수자·약자로 분류되는 외국인이주노동자에 주목하여 ‘주류 텔레비전’들이 어떤 방식으로 그들을 재현하고 있는 지 서사분석(narrative analysis)을 통해 살펴보았다. ‘외국인이주노동자’라는 동일한 소재를 다룬 지상파 방송 채널 4개의 다큐멘터리 MBC, SBS<그것이 알고 싶다>, EBS<똘레랑스>, KBS을 연구대상으로 재현방식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이야기 구조의 특성과 프로그램 안에서 이야기를 표현하는 서술행위인 담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야기분석과 담화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이주노동자의 재현방식이 그들을 동화시키고 있는지, 타자화시키고 있는지를 고찰해보았다. 첫째, 이야기분석결과 통합체분석으로 텍스트 네 편 모두 기승전결의 형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고, 프로그램 속에서 외국인이주노동자들이 겪고 있는 갈등이나 사회적, 제도적 불평등은 해결된 채로 시청자에게 전달되고 있었다. 이러한 서사적 종결구조(narrative closure)는 시청자가 이야기에 몰입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지만 다루고 있는 문제가 해결되어 전달된다는 점에서, 수용자가 문제의식을 갖지 않고 내용을 받아들이게 되어 문제에 대한 판단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이주노동자들의 문제들에 대한 제도적, 구조적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주위 사람들의 관심과 보호가 있다면 한국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것으로 신화화(神話化)하거나 정부 주도의 정책들에 의해 사회통합이나 동화되어야 할 대상으로 접근함으로써, 그들의 문제를 사적인 영역으로 축소시켜 스스로 극복해야 하는 과제로 남겨두고 있다. 계열체분석 결과, 이항대립 갈등구조로 합법/불법, 우리/이방인, 정상/일탈, 안전/위험, 개인/제도, 우호/차별, 서구/비서구 등의 이항대립 가치들이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항대립 가치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 외국인이주노동자들은 일탈 행동을 하거나 범죄를 저지르는 인물, 내국인노동자들의 노동력을 잠식시키는 적대적인 인물 등으로 규정하거나, 백인노동자와 유색인노동자를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백인노동자를 중심으로 표준화하거나 인식하게 만들어, 역전된 오리엔탈리즘이나 복제오리엔탈리즘으로 아시아를 비하하고 타자화하는 서구인의 시각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었다. 둘째, 담화분석으로 진행자, 취재자, 전문가집단들의 언술표현방식과 영상표현방식으로는 시청자를 응시하며 직접화법으로 내용을 전달하고 있고, 미디엄클로즈업, 미디엄샷, 평각앵글, 느린 줌인 등으로 객관적 중립성과 안정적인 권위를 표현하여 그들에 대한 권위와 발언에 힘을 부여해준다. 하지만 주변인물(외국인이주노동자 동료, 유가족, 동네주민 등)과 외국인이주노동자들의 언술표현으로는 합법과 불법, 백인노동자와 유색인노동자로 나뉘어 음성변조와 함께 모자이크 처리를 하거나, 가명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영상표현방식에서도 불안한 카메라샷, 앵글, 움직임이나 신체 일부분만 제시되는 영상적 관행들은 외국인이주노동자의 부정적인 현실을 재현하는데 기제로 작용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외국인이주노동자’를 재현하는 방식에서 그들을 타자화하거나 동화하는 기제를 찾아볼 수 있었는데, 크게 ‘잠정적 범법자로 투영하기’, ‘열등한 존재로 폄하하기’, ‘경계하기’, ‘시혜의 대상화’로 타자화되거나 한국사회에서 ‘적극적으로 적응하기’로 동화를 강조하며, 함께 살아야 할 우리 모두의 당면과제이기보다는 새롭게 등장한 복지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즉 외국인이주노동자들을 일방적으로 피해자의 위치에 놓거나 잠정적인 범법자, 시혜의 대상, 한국사회에 적응해야 할 대상 등으로 묘사하여, 그들을 하나의 고정된 존재로 인식하게 만드는 경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재현방식은 근대적 편 가르기에서 비롯된 배타적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동시에 같은 외국인이주노동자라고 해도 서열적 인종관으로 인해 동일한 시각으로 그들을 바라보지 않고, 인종차별적 형태를 강화하는 담론을 생산하는 것이다. 결국 외국인이주노동자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와 차별들은 이주노동자들의 타자성을 수용하지 못하는 한국인의 편협한 ‘우리의식’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에 불과하며, 오래 전부터 ‘우리’ 안에 들어 와 있는 ‘그들’의 다름을 수용하지 못하고, 배제하며 환대하지 못하는 한국인들의 ‘자기중심적’태도와 ‘다름이 곧 차별’에서 비롯된 결과물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외국인이주노동자들은 자신들의 이해관계나 의사와 상관없이 우리의 지배적인 가치관과 생활방식에 의해 규정지어지며,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말하기보다는 주류미디어 담론에 의해 말해지는 양상을 보였고, 나와 다른 것은 곧 틀린 것으로 받아들이는 논리는 미디어에서도 그대로 재현되어 주류사회의 시각에 맞추어진 차별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답습하고 재생산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Placing a focus on the representation of foreign migrant workers who were labeled as the minority group, the weak, and the Diaspora by Korea's TV documentaries, this study investigated four documentaries on the four groundwave TV stations dealing with the common subject of "foreign migrant workers." The four programs include PD Memo of MBC, We Want to know of SBS, Tolerance of EBS, and KBS Special of KB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presentation styles were examined through the narrative analysis. After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a narration act to tell a story in a program as well as those of the story structure, the study considered if the representation styles of the programs for foreign migrant workers were assimilating them or othering them. First, the story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all of the four programs told a story in the format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through syntagm analysis and delivered the conflicts and social and institutional inequalities experienced by foreign migrant workers as they were resolved to the viewers. Such a kind of narrative closure can help the viewers commit themselves to the story but, at the same time, hinder their judgment of the problems since they are delivered with solutions and thus the viewers don't need to develop consciousness for the problems. The program also mythicized the whole issue by maintaining that they could adjust to the Korean society when supported by the interest and protection of people around them and failing to suggest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solutions to their problems. By approaching them as the objects of social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by the government policies, the programs reduced their problems to the level of their private area and left them to their own solutions. The paradigm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values of binary opposition embedded in the programs including legal/illegal, we/outsiders, normal/deviant, safe/dangerous, individual/institution, friendly/discriminating, and Western/non-Western. Those values of binary opposition were used to define foreign migrant workers as those who engage in deviant actions, commit crimes, and hostile figures to take jobs from the Korean workers in the Korean society. By dividing the white workers and colored workers and making the former as the standard, the program reproduced the Western viewpoint of belittling and othering Asia with reversed and copied Orientalism. Second, the discour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hosts, reporters, and experts were staring at the viewers and delivered the stories through direct address both in verbal and film delivery and resorted to medium-close up, medium shot, eye-level angle, and slow zoom-in to maintain their objective neural position and stable authority. Those techniques also granted them with power for their authority and words. But when delivering the words of the surrounding figures(the coworkers, bereaved families and neighbors of foreign migrant workers) and the foreign migrant workers themselves, the programs distinguished legal and illegal and white workers and colored workers and applied voice change, mosaic, and false names in most of the cases. The practice of filming them in instable camera shots, angles, and movements and showing them only in certain body parts worked as a mechanism to represent the negative reality of foreign migrant workers. Based on those results, mechanisms of assimilating and othering "foreign migrant workers"could be found in the ways of representing them. They were othered through "projecting them as potential criminals," "belittling them as inferior beings," "being alert against them" and "regarding them as the objects of benefits." And their assimilation was emphasized through "actively adjusting to the Korean society." In a word, they were defined as the newly emerging objects of welfare rather than the urgent issue facing all of us. They thus tended to make the viewers see them as a fixed group by describing them as victims, potential criminals, objects of benefits, or those who needed to adjust to the Korean society. Such a representation approach reproduces the ideology of exclusive nationalism derived from the modern separatism and creates the discourse to reinforce discrimination by failing to see them equally due to the hierarchical racism. The Koreans' attitude and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 migrant workers reproduce the "we" consciousness that doesn't embrace their othering and thus cannot be narrower. They are the result of Koreans' "self-centered" attitude and belief that "Difference leads to discrimination" as they don't accept the difference of "them" already among "us," exclude them, and don't welcome them. In short, foreign migrant workers are being defined acording to our dominant values and lifestyles regardless of their interests and intentions, and communicated according to the discourse of the mainstream media instead of their own voice. As the logic of taking different as wrong is reproduced in the media, the discriminating images by the viewpoints of the mainstream society keep being produced, followed, and reproduc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